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스페셜
"
연구원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치매·정신질환 완치의 길 여는 '100번째 뇌'
동아사이언스
l
2019.05.22
최근 100증례를 넘어섰다. 사후 뇌기증 희망자도 현재까지 총 795명이 등록했다. 한국뇌
연구원
은 KBBN 포털에서 다양한 뇌자원 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있다. 현재까지 총 14건의 뇌자원을 분양했다. 다만 사후 뇌자원은 아직 협력병원 뇌은행과의 공동연구로만 분양중이다. 한국뇌은행은 202 ... ...
'진단의학 전문의보다 더 정확하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2
아닌데 양성으로 판단한 경우도 11% 줄였다. 연구에 참여한 스라브야 세티 구글 선임
연구원
은 “폐암은 암 중 생존률이 가장 낮으면서도 CT 촬영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범용적인 검진이 어렵다”며 “우리의 연구는 AI가 검진 과정을 효율적으로 만들어주고 정확도를 높여주는 데 쓰일 것을 ... ...
[2019 ICAN] 장소는 기억의 거점, 길을 기억하는 세포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2
작동 과정을 밝히는 실험 과정을 설명하는 서배스천 로열 KIST 책임
연구원
로열 책임
연구원
팀은 트레드밀 벨트 중간중간에 뾰족한 튜브로 장애물을 설치한 뒤 쥐에게 달리게 했다. 그 뒤 날이 지날수록 쥐의 해마에 길에 대한 정보가 어떻게 저장되는지 빛을 이용한 뇌세포 개별 자극 기술(광유전학 ... ...
[2019 ICAN]“공학과 과학이 만날 공간,젊은 학자의 아이디어가 뇌공학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1
마이크로시스템공학연구소 그룹리더(사진)는 21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
연구원
(KIST)에서 개최된 국제신경공학컨퍼런스(ICAN) 현장에서 뇌공학 발전 방안을 묻는 질문에 이렇게 말했다. ICAN은 전자공학자 등 공학 전문가와 뇌 전문가, 의학자 등이 모여 뇌과학 기술의 현주소를 발표하는 미국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밝혀질 수 있을까
2019.05.21
해내길 바란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
으로 근무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직접 쓴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7권),《생명과학의 기원을 찾아서》가 있다. ... ...
[2019 ICAN]“지금은 기술이 뇌 연구의 과학적 발전 이끄는 시대”
동아사이언스
l
2019.05.21
폭발하는 '터닝포인트'에 서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20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
연구원
(KIST)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 교수는 이달 20~21일 KIST에서 열린 신경공학 분야 국제학회인 ‘국제신경공학컨퍼런스(ICAN)’ 참석차 방한했다. 전자공학을 전공한 이 교수는 2009년부터 미국 스탠퍼드 ... ...
빅데이터 지금보다 4배 빨리 처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1
김민수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정보통신융합전공 교수와 남윤민 박사과정
연구원
팀이 21일 관계형 데이터 처리기술인 GPT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현재 처리속도가 가장 빠른 소프트웨어보다 4배가량 더 빨라 향후 빅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 ...
공포치료·시공간 정보처리 과정 밝힌 신경공학, 뇌 연구 혁신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0
있다”고 말했다. 세바스천 로열 KIST 뇌과학연구소 신경커넥토믹스연구단 책임
연구원
신 단장 연구진은 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정재승 교수와 빛을 이용해 공포 반응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음을 쥐 실험으로 확인했다고 지난 2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소개했다. 연구진은 소리와 함께 전기 ... ...
NASA 관계자 "2033년 美 화성 유인탐사 계획 실현가능성 떨어져"
동아사이언스
l
2019.05.20
자원을 이용한 물, 공기, 연료에너지 생산 기술을 들고 있다. NASA는 미국 과학기술정책
연구원
(STPI)에 2033년까지 화성 유인 탐사가 가능할 지 타진했다. STPI는 지난 2월 이와 관련한 타당성을 발표하면서 "현재의 목표가 현실 가능성이 떨어지며 2039년에 가서야 현실적으로 가능해질 것"이라고 ... ...
"로켓·위성만 보면 안되는데…AI·로봇이 우주산업 이끌 것" 한불 우주포럼
동아사이언스
l
2019.05.17
로봇이다. 이 로봇은 로봇팔로 반복적인 일을 한다는 점에서는 기존 로봇과 닮았다. 박
연구원
은 “이 로봇에 AI 기술을 접목하면 예상하지 못한 돌발상황에도 사람처럼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렇게 마이크로 단위만큼 정밀도를 가진 로봇 기술을 활용해, 극고온이나 극저온 ... ...
이전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