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치
비정상
전형
꿈
포부
미래상
희망
d라이브러리
"
이상
"(으)로 총 10,479건 검색되었습니다.
도넛 가득한 세상
과학동아
l
201001
그래서 핵융합 장치를 ‘인공태양’이라고도 부른다.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려면 1억℃
이상
으로 뜨거운 플라스마(이온핵과 자유전자로 이뤄진 상태)를 토카막 안에 가둬야 한다. 토카막은 자기장을 도넛 모양으로 만들어 플라스마를 이 속에서 빙글빙글 돌려 가둔다. 2007년 건설된 ‘한국형 차세대 ... ...
The Best Invention of the Year: NASA's Ares Rockets
과학동아
l
201001
같은 참혹한 사건이 발생하게 된다는 것을 지나온 역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가장
이상
적인 것은 관료들이 디자이너에게 깨끗한 백지를 주고 꿈을 그려가게끔 하는 것이다. 뛰어난 발명품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천재성이 필요하고, 그것을 잘 활용하는 데에는 지혜가 필요한 법이다.기사 원문의 ... ...
미래 대 예측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1
지구에 생물이 살아남을 가능성은 거의 없을 거야. 지구가 노란 사막의 행성이 되는 것도
이상
한 일은 아니지.”여우의 말에 나는 깜짝 놀라 말했어.“그렇다면 지구에 사람이 살았다는 흔적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사람이 만든 문화와 과학, 도시가 모두 사라지고 만다는 거야?“바다가 완전히 ... ...
Part 4. 스키, 하늘을 날다
수학동아
l
201001
모습을 볼 수 있어. 스키점프는 90m
이상
을 나는 K90 경기와 더 높은 곳에서 출발해 120m
이상
을 나는 K120 경기로 나눌 수 있어. K는 한계점을 뜻하는 독일어의 머리글자야. 착지점에는 K 지점이 표시돼 있는데 선수는 K 지점보다 더 먼 곳에 착지해야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어. K 지점에 따라 출발 위치가 ... ...
[허풍의 퍼즐 세계일주] 칼잡이 잭의 부활?
수학동아
l
201001
악당들은 잡았나요?”“이미 항구를 통해 빠져나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더
이상
사건도 일어나지 않고 있습니다.”“선생님 어쩌죠? 그 악당들을 잡지 않으면 더 큰 사건이 생길 거예요.”“도형아, 넌 먼저 돌아가거라. 나는 녀석들을 잡으러 가겠다. 경성에 가서 나의 무용담을 전해다오.”“무슨 ... ...
타임머신
수학동아
l
201001
한들 그리 놀랄 일도 아닐 것이다. 하지만 이런 농담도 별 소용이 없었다. 아침 내내
이상
한 형상을 한 그들이 머리에서 떠나지 않았다.80만 년 동안 지구 위에서 살다 간 사람들이 모조리 유령이 되어 돌아다닌다면 어떨까요? 아마도 온 세상이 유령으로 뒤덮여 북적거리겠지요. 지금은 매년 약 1억 300 ... ...
그림 속 숨은 과학찾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1
수학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밝히기 위해 노력했어요. 음악과 수학을 연구했다니
이상
하게 들릴 수도 있지만, 당시에는 학자들이 악기를 연주하면서 자연과 우주의 질서를 논의하곤 했답니다. 음악과 수학에 대한 피타고라스의 생각은 플라톤에게 전해져 고대 그리스 수학 사상의 기초가 ... ...
2030년 한반도 하늘과 땅 손금 보듯 살핀다
과학동아
l
201001
또 독자적인 국지 조기경보위성 개발·운용을 시사한 바도 있다. 2009년 한 해에만 30차례
이상
로켓을 발사한 러시아도 이미 위성을 통신과 정찰 임무에 활용하고 있다. 우주작전 수행능력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사항이 된 셈이다.한반도에서 펼쳐질 우주작전은 적진을 감시하고 통신 중계를 하는 ... ...
사이언스誌 선정 10대 과학뉴스
과학동아
l
201001
성능이 한층 강화됐고 수명도 5년 연장됐다. 교체된 광각카메라의 해상도는 10배
이상
높으며 자외선을 감지하는 능력을 높인 광학설비도 장착됐다. 지난 9월 9일 NASA는 허블우주망원경이 찍은 나비 성운 등 천체 사진을 공개했다.최초의 X선 레이저 작동 시작미국 SLAC 국립가속기연구소는 지난 4월 ... ...
문어도 도구를 사용한다
과학동아
l
201001
다리 안쪽에 끼우고 우스꽝스런 모습으로 미끄러지듯 달렸다. 껍데기를 들고 한번에 20m
이상
헤엄치기도 했다.핀 박사는 “도구를 사용하는 것은 문어에게 고도의 지능이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지금까지는 사람을 포함한 영장류와 까마귀 같은 일부 조류만이 도구를 사용할 줄 아는 ... ...
이전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