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d라이브러리
"
공동
"(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신경과학학회 초대회장 박찬웅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뒤에라야 가능하겠죠."- 앞으로 학회가 할 일로 계획된 것은 무엇인지요?"학회라는 곳이
공동
의 사업을 수행하는 것이 목표이기보다는 서로간의 정보교환이 더 큰 의미를 갖는 집단이기 때문메 우리 학회의 목표도 전혀 달라보이는 영역에서 각각 신경과학을 연구하고 있는 사람들의 정보가 서로 ... ...
새로운 단백질 찾는 열쇠 cDNA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30만 염기쌍으로 이뤄진 효모염색체 3번의 염기서열 전부를 11개국 31개 연구팀(1백47명)의
공동
연구로 밝혀냈는데, 여기에서도 역시 대부분의 단백질 합성유전자가 새로운 것들이었다.cDNA에 대한 특허여부는 몇년 후에나 결정되겠지만 이들 유전자 염기서열들로부터 그 발현산물인 단백질까지 특허가 ... ...
첨단기술 갖고 한국 찾은 옛 소련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처음 방문했는데, 당시 광운대 김철 교수와 응용수학에 관한 대학교재를 영문으로
공동
저술하기로 한 약속에 따라 이번에 올 때 절반 분량의 원고를 직접 가지고 왔다고 말했다. 경계 눈빛 노골화하는 미국구 소련 과학기술자의 역할에 관한 국내 과학자들의 평가는 긍정적인 편이다. CIS는 재료 ... ...
2 흑연 다이아몬드에 이은 제3의 화합물 ${C}_{60}$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실험하던 텍사스의 라이스대학 스몰리교수와 영국 서섹스대학의 크로토교수로 이뤄진
공동
연구팀은 탄소클러스터중 탄소가 60개로 구성된 클러스터가 유난히 안정함을 발견했다. 이때까지의 실험은 질량분석기 안에서 수행됐으므로 생성된 물질의 양이 극히 적었다. 구조확인을 위한 양에도 ... ...
겨울잠의 신비 밝혀 인간질병 고친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먹기도 하지만 그 때도 단백질이 풍부한 살코기는 버리고 지방층만을 먹는다.넬슨박사와
공동
연구중인 사스카치완대학의 램제이박사는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 곰조차도 요소를 단백질로 전환시켜 체내의 단백질을 유지한다고 추측하고 있다. 줄어드는 단백질은 대부분 젖으로 분비된다 ... ...
국내반도체산업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않다. 우리나라도 지난 90년 전자통신연구소를 중심으로 삼성 금성 현대 등 반도체 3사가
공동
개발에 성공, 양산단계를 눈앞에 두고 있다. 16메가D램은 93년부터 본격적인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보이는데 개당 1백80달러에 이르는 고부가가치 상품이다.반도체와 특허반도체 제작과정에는 수백가지의 ... ...
붙이는 약 전성시대 다가 왔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을 이용해 약물을 몸안에 전달하는 방식이다. 현재 한국화학연구소와 동신제약이
공동
으로 개발중인 붙이는 인슐린이 그 대표적인 예다. 이온영동을 이용한 붙이는 약은 피부투과가 어려운 약물, 즉 친수성(親水性) 약물이나 거대분자량을 가진 약물들을 피부에 강제로 넣어주는 것이 특기다. ... ...
일본서 떠다니는 물고기 농장 건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자회사인 노모자키아쿠아개발이 그 농장을 경영하도록 했다.스미토모사가 다이요사에
공동
참여를 제안했을 때 다이요사의 임직원들은 이 사업이 큰 이익을 보장해 줄 것으로 직감했다고 한다. 일본에는 정지형 물고기농장이 여럿 운영되고 있으나 모두 해안과 가까이 위치해 있기 때문에 물고기의 ... ...
(1) 인간 오감(五感)을 기계에 이식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컴퓨터업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IBM 인텔 애플 등 내로라 하는 컴퓨터업체들이
공동
전선을 펴고 있는 적군은 그동안 PC시장을 독점해 오면서 일찍부터 멀티미디어 분야에 터줏대감으로 군림한 빌 게이츠의 마이크로소프트사다.마이크로소프트의 빌 게이츠 회장이 멀티미디어사업을 ... ...
'극초미니' 탐침현미경 STM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발명한(1932년) 독일의 엔지니어인 E. 루스카(Ruska)와 함께 1986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원자를 이동시키기 위해 아이글러와 슈바이처는 STM의 탐침(바늘, tip)을 원자의 표면에 최대한 가까이 접근시켰다. 이때 탐침과 표면 원자사이의 거리는 그 가운데에 원자 몇개가 들어갈 정도.STM의 ... ...
이전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