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d라이브러리
"
공동
"(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민족과학기술자 협의회」결성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한민족과학기술자종합학술대회에 참석한 국내외 과학기술자들은 '세계한민족과학기술자
공동
협의회'를 결성했다. 이 협의회에는 미국 캐나다 일본 중국 러시아 우즈베크 카자흐 독일 프랑스 영국 등 한인 과학기술자협회가 구성된 10개국 대표와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가 참여했다. 초대 ... ...
컴퓨터·소프트웨어 전시회 개최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정보처리 전문가협회와 전자신문사가
공동
주최하는 제6회 한국컴퓨터/소프트웨어전시회가 6월 27일부터 닷새동안 한국종합전시장에서 열렸다. 이번 전시회에는 우리나라를 비롯 미국 일본 대만 호주 등에서 2백20개 업체가 8천여점의 신제품을 전시했다. ...
새로운 단백질 찾는 열쇠 cDNA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30만 염기쌍으로 이뤄진 효모염색체 3번의 염기서열 전부를 11개국 31개 연구팀(1백47명)의
공동
연구로 밝혀냈는데, 여기에서도 역시 대부분의 단백질 합성유전자가 새로운 것들이었다.cDNA에 대한 특허여부는 몇년 후에나 결정되겠지만 이들 유전자 염기서열들로부터 그 발현산물인 단백질까지 특허가 ... ...
리우 민간환경단체 '92 지구포럼'현지 취재 "시민의 힘만이 지구를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인색한 태도를 보여 오히려 비난을 받기도 했다. 또 민간단체들의 활동도 다른 나라와
공동
보조를 맞추기 보다는 스스로를 드러내기 위한 개별적인 활동이었다는 평가다.이번 회의에는 특히 '그린피스' '제3세계 네트워크' '지구의 친구들' '자연보호 세계기금' 등 4개 단체가 기자회견을 통해 '이번 ... ...
일본서 떠다니는 물고기 농장 건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자회사인 노모자키아쿠아개발이 그 농장을 경영하도록 했다.스미토모사가 다이요사에
공동
참여를 제안했을 때 다이요사의 임직원들은 이 사업이 큰 이익을 보장해 줄 것으로 직감했다고 한다. 일본에는 정지형 물고기농장이 여럿 운영되고 있으나 모두 해안과 가까이 위치해 있기 때문에 물고기의 ... ...
(1) 인간 오감(五感)을 기계에 이식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컴퓨터업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IBM 인텔 애플 등 내로라 하는 컴퓨터업체들이
공동
전선을 펴고 있는 적군은 그동안 PC시장을 독점해 오면서 일찍부터 멀티미디어 분야에 터줏대감으로 군림한 빌 게이츠의 마이크로소프트사다.마이크로소프트의 빌 게이츠 회장이 멀티미디어사업을 ... ...
국내반도체산업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않다. 우리나라도 지난 90년 전자통신연구소를 중심으로 삼성 금성 현대 등 반도체 3사가
공동
개발에 성공, 양산단계를 눈앞에 두고 있다. 16메가D램은 93년부터 본격적인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보이는데 개당 1백80달러에 이르는 고부가가치 상품이다.반도체와 특허반도체 제작과정에는 수백가지의 ... ...
붙이는 약 전성시대 다가 왔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을 이용해 약물을 몸안에 전달하는 방식이다. 현재 한국화학연구소와 동신제약이
공동
으로 개발중인 붙이는 인슐린이 그 대표적인 예다. 이온영동을 이용한 붙이는 약은 피부투과가 어려운 약물, 즉 친수성(親水性) 약물이나 거대분자량을 가진 약물들을 피부에 강제로 넣어주는 것이 특기다.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히루딘을 곧 상품화할 예정인데 여기에 국내의 몇몇 제약업체와 옛소련 NPO 생물연구소가
공동
으로 참여하고 있다. 훌러렌 양산법 세계최초로 개발-종전보다 4~8배 생산량 늘어'꿈의 신소재'라고 일컬어지는 훌러렌(${C}_{60}$)의 대량생산법이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소헌영 조양구박사팀에 의해 세계 ... ...
경제개발·환경보존 두 토끼 동시에 잡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마지막 시도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된다. 책임을 서로에게 미루고 있는 사이에 파멸은
공동
의 것으로 시시각각 다가오기 때문이다. 개발을 위해 환경에 대한 책임을 방기해왔던 우리의 테도도 지구환경보호를 위해서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나 UNCED를 계기로 환골탈태하지 않으면 안된다. ... ...
이전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