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루
일일
일일간
낮
주간
날씨
일기
d라이브러리
"
날
"(으)로 총 6,527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은 살아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어떻게 캐릭터가 로봇이 될 수 있냐고? 물론 캐릭터 자체가 로봇은 아니야. 하지만
날
이 갈수록 로봇의 겉모습이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에 캐릭터는 로봇이 살아 숨쉬는 데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되고 있지. 어때? 이제 로봇들이 살아 있는 것처럼 보이니?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은 어떤 상상력과 ... ...
특성으로 살펴본 숫자 4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숫자 4가 옛
날
부터 중요한 숫자였다는 게 신기하지? 4의 참모습을 알게된 사람들은 4의 다양한 특성을 연구하기 시작했어. 그 뒤로 숫자 4의 가치 ... 피노키오! 수학으로 거짓말을 밝혀 줘~ 의뢰 1 군사작전을 해도 될까요? 의뢰 2 도박으로
날
린 돈을 찾아 주세요 의뢰 3 마술의 비밀을 밝혀 ... ...
구석구석 내 몸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양이다.150 재채기를 할 때 공기가 몸 밖으로 나가는 속도는 시속 150㎞이다.206 우리가 태어
날
때는 뼈가 300개 이상이지만 자라면서 서로 붙는 뼈가 있어 어른이 되면 206개가 된다.도전! 나도 섭섭박사오, 놀라워라! 지난 호에 소개된 편광연구실에 정말 많은 친구들이 찾아와 주었어요. 편광 필름을 ... ...
진짜기자 명예기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2010년 1월 27일 오후. 나 섭섭박사는 연구실에서 꾸벅꾸벅 졸고 있었어요.그런데 어디선가 나의 단잠을 깨우는 소리가 들리는 거예요.“나는 과학과 만화를 사랑 ... 활짝 펴고 훨훨 하늘을
날
것만 같아요. 지금 이 글을 읽고 있는 친구들은 내년에 명예기자로 만
날
수 있겠죠? 기대할게용~ ... ...
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초점이 나간 사진을 보냈으니 그럴만 했죠.”2조 원이 투입된 프로젝트가 실패로 끝
날
수 있는 상황이었다. NASA의 입장도 난처했다. 원인을 조사해 보니 핵심 부품인 지름 2.4m짜리 반사경에 문제가 있었다. 머리카락 두께의 50분의 1 정도를 잘못 가공한 것이다. 결국 반사경의 초점에 빛이 모이지 ... ...
아이폰으로 ‘별자리’ 본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기능을 이용해 어떤 별이 뜨는지 미리 알 수 있다.
날
씨 때문에 관측이 불가능한
날
에도 성도화면에 나오는 정보를 염두에 두고 관측할 수 있다. 아마추어 천문학모임 ‘천문노트’ 공동운영자인 이형철 씨는 “낮에도 별을 보고 싶으면 증강현실 기능을 이용해서 실제 밤하늘과 똑같은 성도 ... ...
천 년 전 경주의 밤하늘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3월 21일 오후, 경주 대능원 입구에 사람들이 하나 둘씩 모인다. 한국천문연구원 소속 천문학자들이 자리를 잡더니, 뒤따라 고천문의기 ... 의미를 현대적으로 해석해 보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천 년 전 춘분
날
별자리를 보고 신라 사람은 어떤 해석을 했을지 벌써부터 궁금해진다 ... ...
현재의 과학적 상상력은 왜 과거만 못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상상이 보여준 미래에 다가가려는 노력이 계속된다면 언젠가 영화 속 로봇을 현실에서 만
날
수 있을 것”이라며 희망적인 전망도 잊지 않았다.상상력의 적 ‘경제성’네그로폰테 교수는 “상상력과 미래를 향해 만들어지는 기술에는 점차 다양한 관점이 형성되고 있다”고 말한다. 단 하나의 ... ...
내 얼굴이 홍당무처럼 빨개진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얼굴이 새하얘진다는 사람도 있다. 확장된 혈관을 원래 상태로 수축시키기 위해 아드레
날
린을 분비시키는데, 이 작용이 강하게 나타나면 오히려 얼굴이 창백해질 수 있다.최근 ALDH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서양인보다 아시아인에게 더 많으며, 쌀을 주로 먹기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 ...
종이컵에 컵슬리브 끼기까지 86년 걸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그 뒤로 많은 발명품이 쏟아지면서 이제 펜은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 됐다. 오늘
날
필기구 분야는 발명의 각축장이라 할 만큼 다양한 아이디어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우리나라에서도 무수히 많은 아이디어들 이 특허로 등록돼 있다. 필기와 동시에 핵심부분에 표시형 테이프인 플래그를 ... ...
이전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