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살코기
고기
육질
살가죽
살갗
식용부분
가죽
d라이브러리
"
살
"(으)로 총 3,721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말 사진현상소를 사라지게 할까?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컬러프린터가 있어야 했다. 우리 돈으로 거의 9백만원이나 되는 돈을 내고 이런 카메라를
살
수 있는 사람은 미국이나 일본에도 그리 많지 않았다. 일반소비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선 가격이 5백달러 정도로 떨어져야 했다.대신 사진기자들이 뉴스현장에서 필름을 현상하는데 시간을 뺏길 필요없이 ... ...
초여름 구상성단을 산책해보자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전체 광도는 태양밝기의 6만배, 실제 직경은 60광년이다. M9를 관측할 때 남서쪽 부분을 잘
살
펴보기 바란다. 이 성단의 가장자리를 암흑성운 버나드 64가 부분적으로 가리고 있다.M19 근처 지역에는 두개의 작은 성단이 놓여 있다. NGC 6356은 M9의 북동쪽 1.3º에 위치하고 있다. 분해되진 않지만 큰 빛의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우리는 유럽과 미국을 무대로 발전해온 과학소설의 역사를 주요한 몇몇 인물을 통해
살
펴 보았다. 이제 자연스럽게 '90년대에 들어선 우리는 언제까지 남의 이야기를 듣는 수준에서 머무를 것인가'라는 질문이 나올 차례일 것이다.아직 본격적인 과학소설의 소개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 ...
「돌연사」급증 8명중 1명 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를 차지하고 있다. 남녀별로는 남자가 5백89명, 여자2백9명으로 약3대1의 비율이다.사인을
살
펴보면 원인이 비교적 불분명한 심부전증 등 심장질환이 반이 넘고 뇌출혈 등 뇌혈관과 관련된 병이 35%를 차지하고 있다. 이외에는 위와 식도의 혈관이 파괴되는 소화기계통의 병과 당뇨병 등이 돌연사의 ... ...
1천9백여개의 망원경 탄생시킨 김한철씨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꿈은 접어두고 장사를 시작했으나 하는 족족 실패만 했다.잠재됐던 엔지니어의 꿈이 되
살
아났던 것은 국민학교 4학년에 다니는 큰아들의 방학 숙제를 해주면서였다. 안경점에 가서 볼록렌즈 하나 구하고 종이 원통을 이용한 망원경을 만들어주었더니 특상을 받아가지고 왔다. 이를 계기로 71년에는 ... ...
남은 수명 어떻게 계산하나?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발표했다. 여기에는 담배를 끊는다면 3.7년 생명연장이 가능하고 체중을 줄이면 0.5년 더
살
수 있다는 식으로 구체적인 예가 나와있어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이 시스템은 담배 술 염분섭취량 야채섭취량 운동량 등을 기초로 체중 혈압 콜레스테롤치 등을 고려해 남은 수명을 알아낸다. 이 ... ...
석기시대 목동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속하는데 이러한 별은 1백~1백50억년 안정적으로 빛을 낸다. 현재 태양의 나이는 약 50억
살
이다.별은 수소 연료를 다 써버리게 되면 서서히 부풀어 올라 적색거성이 되며 안정된 삶을 마감한다. 별들의 최후는 그 별의 무게에 따라 달라지는데 태양과 같은 별은 적색거성으로 되었다가 진동으로 그 ... ...
2001년 5월1일의 일기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망설이다가 사과를 해야겠다고 생각하고 딸애의 방으로 발을 돌리려는데 아까 부터
살살
아파오던 배가 더욱 심하게 쑤셔왔다. 방향을 돌려 황급히 화장실로 뛰어가는 연주의 눈에선 까닭 모를 눈물이 흘렀다 ... ...
모로코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설령 몇년간 포위된 채로 전쟁을 치러도 이 성곽속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큰 타격없이
살
수 있다고 한다.아랍의 고유음식인 꾸쉬꾸쉬를 시식하기 위해 메디나거리에 있는 전통음식점을 찾았다. 먼저 빵과 수프가 나오고 이어서 콩요리 야채요리가 등장하고 마지막으로 그 음식점의 간판 요리가 ... ...
뉴미디어 제조공장MIT 미디어연구소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완벽하게 구사한다. 수학이라는 것 자체도 일종의 언어라고 본다면 어찌하여 똑같은 여섯
살
어린이는 10년이 지나도록 아니, 평생 수학이라는 언어로 의사소통을 못하는가. 가상의 '수학의 나라'( Mathland)를 만들어 어린이가 거기서 자라는 동안 자연스럽게 수학을 깨우치게 할 수는 없을까? 연구소 ... ...
이전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