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류
날짐승
새짐승
겨를
틈
짬
사이
d라이브러리
"
새
"(으)로 총 3,669건 검색되었습니다.
망원경을 가진 인어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멀리 보이는 작은 섬들 하나하나에 뜻을 품고 바다로 나간 우리에게 많은 기억들을
새
겨주었던 것이다.해양조사 장비를 가지고 그곳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쟀고 플랑크톤(Plankton)도 채집했다. 실습이 끝날 즈음에는 나의 현 위치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바다 밑의 지형도 어느 정도 알게 되었다 ... ...
말썽많던 KAIST 연구부·학사부로 갈라진다.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KIST)과 고급인력 양성과 연구중심대학이라는 본연의 모습을 되찾기 위해
새
출발하는 한국과학원(KAIS)이 제길을 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정부의 과감한 정책적 배려와 재정적 뒤받침이 선결조건임이 분명하다. 사소한 것 같지만, 대덕으로 옮기는 과학원 교수, 교직원, 학생들이 주거 지원 및 ... ...
암의 예측과 이에 따른 예방 5년이내 가능할 듯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결장을 벗어나 우리 몸의 교통수단인 혈류(血流)를 타는데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또 이
새
변이는 낯선 부위에 간 암세포에 혈액을 공급, 자생력을 얻게 해주기도 한다.화이트박사팀은 가족 종류증(familial polyposis·선척적으로 5번 염색체가 없는 사람들이 걸린다)이 유전된 사람들은 결장암에 걸릴 ... ...
반도체 산업계를 뒤흔든 16메가칩 개발의 진상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일.또 하나는 당시 쌍둥이 적자를 안은 미국이 우리나라에 대해
새
통상법에 따른 우선협상국지정이라는 무기를 휘두르려고 하던 찰나였다는 점이다. 어떻게든 미국의 눈밖에 벗어나는 일은 피하려고 전전긍긍하던 것이 정부의 입장이었다. 당시 한국은 우선협상국지정을 ... ...
해시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24방위가
새
겨있고, 북쪽에는 '북극고 37도 39분 15초'(北極高三十七度三十九十五秒)라고
새
겨 놓았다. 한양의 북극고도를 전자체로 음각해 놓은 것이다.강윤의 해시계를 보면 서양 고대·중세의 전통적 해시계가 조선 해시계의 전통 속에 잘도 여과되었다는 생각이 든다. 대 위에 올려 놓았던 조선식 ... ...
개구리와 두꺼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보살피는 예가 있다. 예컨대 중·남미에 사는 개구리들은 물위에다 보금자리를 짓고
새
끼 올챙이를 보살피며 뜨거운 햇볕에서 몸이 마르지 않도록 물을 끼얹어 주는 경우도 목격되었다.다양한 모습과 생태 개구리와 두꺼비는 서식지역도 광범하지만 모양이나 생태등도 극히 다양해서 연구자들의 ... ...
약사 약사와 약장수의 갈림길에서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지역약국이라고 떳떳하게 부르기에는 너무나 미약한 '열린약국'이지만 얖으로 무수히
새
로 태어날 지역약국의 발판이라도 되었으면···○월 ○일양심적으로 거둔 수익은 양심적이고 실천적인 일에 선뜻 쓸 수 있으나, 사기와 거짓으로 번 돈은 자기 배불리는 데 쓰이기 쉽다. 내가 좋은 일에 ... ...
남태평양의 진주 폴리네시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산호초호수에 에워싸여 2백m 높이의 현무암 봉우리가 우뚝 서 있다. 그상공을 군함
새
와 갈매기가 유유히 날고 있다.보라·보라섬의 남동쪽에 있는 라이아티아섬과 타하차섬은 하나의 산호초호수에 에워싸인 두개의 섬으로 풍하제도에서는 특히 중요한 섬이다. 라이아티아 섬은 면적 2백80평방km, ... ...
「디스커버리」호에서 만들어진 단백질 결정(結晶)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이 반듯한 결정체는 물질의 구조를 밝히는데 매우 유용하다. 단백질의 구조를 모르고
새
단백질을 연구하는 것은 마치 청사진없이 건물을 짓는 것과 다름없기 때문이다 ... ...
천문연구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현상을 차례대로 분야에 따라 그린 그림이라고 해석된다.17세기 숙종 때 돌에 다시
새
겨 만든 또 하나의 천상열차분야지도도 매우 훌륭한 것이다. 그 당당하고 아름다은 모습은 조선시대 학자들의 높은 학문적 식견과 미적 감각을 잘 나타내고 있다. 지금 남아 있는 조선 천문도의 대부분은 이것을 ... ...
이전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