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세
세금
공세
공조
요금
조공
지불금
d라이브러리
"
세
"(으)로 총 7,755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보] 삼각형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생각하지 말고, 결론부터 시작해 가정에 이르게 하는 ‘거꾸로 증명 방법’을 써 보
세
요. 또 어려운 수학 문제를 풀 때도 무엇을 구해야 하는지부터 시작하는 거꾸로 방법을 추천합니다. 수학에 자신감이 생길 거예요 ... ...
Can a Program Become a Journalist?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때 웃음을 참을 수 없었다고 한다. “금요일 밤에 고등학교 미식축구 경기결과를 놓고 ‘
세
문단 기사 작성 공식’을 따르던 시절이 기억납니다. 그래서 웃었죠. 그들이 바로 그 기계적 작업을 컴퓨터 프로그램이 하도록 만들었다는 얘기니까요.” 스미스는 궁극적으로 스토리텔링이라는 대단히 ... ...
Part 1. 6가지 가정으로 예측해 보는 ‘만약에 지구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온도가 달라진다는 점이다. 지구는 더웠다 추웠다 정신 없이 환경이 바뀐다. 2009년
세
계 최초로 P타입 쌍성계 행성을 발견한 이재우 한국천문연구원 창의선도과학본부 박사는 “우리가 발견한 처녀자리 행성의 경우, 두 별이 각각 3만℃와 3000℃였다”고 말했다. 쌍성의 공전 주기와 행성의 공전 ... ...
시조새는 여전히 진화의 증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것으로 추정되는 까마귀만 한 크기다. 시조새는 이빨이 있고 긴 꼬리뼈에 앞발톱이
세
개가 있어, 두 다리로 걷는 육식형 수각류(獸脚類) 공룡에 가까웠지만 새처럼 온몸이 깃털로 덮여 있었다. 이 때문에 1868년 영국 생물학자 토머스 헉슬리는 “시조새는 파충류와 조류의 중간 단계”라고 말했다 ... ...
태양전지 옷 갈아 입혀 파워 업!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태양전지, 유기물로 만드는 3
세
대 태양전지를 연구하는 학자들이 함께 연구하는 시설은
세
계에도 드물다. 박 소장은 솔라에너지연구소가 GIST라는 대학교 안에 있는 만큼, IT나 생명공학과 같은 다른 학문 분야와도 융합을 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으리라 기대하고 있다.태양전지를 연구하는 ... ...
나에게 꼭 맞는 이어폰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스마트폰과 MP3가 보편화 되면서 이어폰은 이제 필수품이 됐다. 찾는 사람이 많아지고 매니아층도 생겨 종류와 가격도 천차만별. 하지만 소위 스펙 ... 4.2라면 스피커 4개에 우퍼가 2개 있다는 의미다. 스피커의 수가 많을수록 소리를 더
세
분화해 전달하기 때문에 풍부한 소리를 들을 수 있다 ... ...
꿈과 맞는 진로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과학콘서트’를 쓴 KAIST 정재승 박사를 보렴. 정 박사의 연구업적도 뛰어나지만
세
상에는 연구를 잘하는 사람이 아주 많은 있을 거야. 사람들에게 과학을 쉽게 잘 알려 주는 글을 쓸 줄 알기 때문에 더 유명한 거야.”독후감을 반드시 써 두자. 책을 다 읽고 나서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쓰려고 ... ...
Part 3. 튜링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구현하고자 하는 욕망 때문일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공지능 오딧
세
이Part 1. 튜링을 만나다Part 2. 생각하는 로봇Part 3. 튜링의 마지막 ... ...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세
기 단위)를 처음으로 돌파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1T는 1만 가우스(Gauss, 자기장의
세
기 단위)에 해당하는 자기장이다. 지구 자기장의 크기가 0.5가우스다. 100T는 지구 자기장의 200만 배에 해당한다. 병원에서 쓰는 MRI(자기공명영상장치)가 보통 1.5~3T 수준이고 최신 MRI도 7T에 불과하다는 점을 ... ...
세
상을 밝히는 등불처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위해, 나의 성과가 비추는 빛의 크기를 키우기 위해 노력을 다하고 있다. 최근에는 5
세
대 통신의 핵심요소 기술이 될 ‘단말간 직접 통신’이라는 새로운 연구를 시작했다.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제자들 그리고 부호 및 암호 연구실의 후배들이 자신만의 새로운 등불을 키워나가길 바란다 ... ...
이전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