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분
일환
부위
갑부
부호
부자
d라이브러리
"
일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기술 앰배서더 강연 맛보기 : 아주대 김하진 교수의 '0을 이해 못하는 컴퓨터'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극복하지 못했다. 그러나 퍼지컴퓨터는 컨트롤 능력이 뛰어나 냉장고나 세탁기 같은
일부
가전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 컴퓨터 개념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 양자컴퓨터다. 작년 미 매사추세츠공대 기계공학과에서 양자컴퓨터를 만들었는데, 실용화에 성공할지는 아직 미지수다.컴퓨터는 ... ...
우주로 향한 로켓기의 여정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하나 주로 볼형 광속계(光束計)가 사용된다 그 구조는 내면을 백색으로 칠한 볼형의 방
일부
에 창을 설치하고 그 창에 무색(無色)의 확산투과(擴散透過) 유리를 끼워 놓았다 광전효과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1905년에 아인슈타인이 제창한 가설 빛을 금속에 접촉시키면 광전효과 현상으로 전자가 ... ...
05. 자연과 호흡하는 도시생태 복원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도시 생태계를 복원하려는 실험이 시도되고 있다. 현재 수도권 지하철과 대구 지하철
일부
구간에서 지하수 자원의 활용이 적극 검토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미래 삶을 확 바꿀 10대 웰빙 테크놀로지 과학동아가 선정한 10대 웰빙기술 01. 행복을 알약으로 먹는다 해피드럭 02. 무공해 ... ...
대한해협 터널구상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수면위로 떠올랐다. 이번에도 일본에서 유럽 대륙에 이르는 긴 구간을 연결하는 노선의
일부
로 한일터널이 제시됐다. 이후 1980년대 일본에서는 해당 지역의 육상 시추, 해협의 음파 탐사 등 실질적인 조사가 이뤄지면서 한일터널 연구가 큰 활기를 띠었다.반면 한국은 일본에 비해 소극적인 ... ...
09. 조용한 공간 창조하는 소음제거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노출되면 청력이 차츰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주로 젊은층이 선호하는 MP3 플레이어나
일부
휴대전화들은 볼륨을 최대로 높일 경우 1백dB 이상의 소리를 낸다. 이런 소리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청력에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은 그만큼 높다는 것이다.일상 소음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자 ... ...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방출된다. 지진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때 지각이 재배치되면서 지진이 발생한 주변의
일부
지각에 변형이 일어난다. 이렇게 변형이 생긴 지각이 깨지며 응력을 해소하는 과정이 여진으로 나타난다.결국 뒤틀린 지각이 깨지며 재배치되는 과정이 한번에 끝나지 않기 때문에 큰 지진에는 거의 ... ...
01. 행복을 알약으로 먹는다 해피드럭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우울증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는 약물들이 연구되고 있다. 그 중
일부
는 개발이 완료돼 실제 임상에서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쓰이고 있다.이처럼 미래에는 노화와 관련된 질병들을 예방 또는 치료할 뿐 아니라 마음의 상태까지도 조절하는 각종 해피드럭이 속속 개발돼 쓰일 전망이다. 이같은 ... ...
진화의 고리, 미생물의 힘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발달로 병원균 박테리아는 전체 미생물의
일부
에 불과하며, 오히려 대부분의 미생물은 토양을 비옥하게 하고, 식량을 생산하며, 소화작용을 돕고, 자연의 순환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이러한 연구 결과는 서로 다른 생물체가 투쟁을 하지 ... ...
유전자 집어넣어 바람기 잠재운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비슷한 메커니즘이 사람에게도 적용될지는 아직 미지수”라면서도 “자폐증 환자의
일부
에서 V1a 수용체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DNA 영역의 돌연변이가 관찰된다”며 타인과 친밀한 관계를 맺지 못하는 성격을 이 유전자로 설명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 6월 17일자에 ... ...
08. 미래형 족집게 진단장비 생체자기센서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한다. 지금까지는 심장질환을 진단할 때 심전도를 이용했다. 심장에서 발생한 전류 중
일부
가 가슴 또는 팔다리까지 도달해 형성된 전압을 측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심전도만으로는 심장질환이 발생한 정확한 위치를 알아내는데 한계가 있다. 심장 자기장 분포인 심자도가 각광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 ...
이전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