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위
근처
둘레
외주
가장자리
부근
원주
d라이브러리
"
주변
"(으)로 총 6,588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발전소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헤드폰처럼 생긴 이 장치는 머리에 쓰기만 하면 사람의 관자놀이에서 발산되는 열이나
주변
빛을 모아 전기를 만든다. 연구팀은 이 시스템을 좀 더 발전시키면 두뇌의 활동을 수시로 감지하는 연구용 장비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KAIST 신소재공학과 박귀일 연구원(박사과정)은 “현재는 ... ...
안녕! 디스커버리호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발사 직전 갑자기 엔진이 꺼지면서 모든 동작이 멈췄다. 엔진에서 산소가 새어나와
주변
기기에 불이 붙었다. 다행히 두 달 뒤인 8월 30일 비행에 성공해 27년 째큰 탈 없이 현장에서 뛰고 있다. 하지만 만약 그때 불이 전체로 옮겨 붙었다면 처녀비행에서 뜨지도 못하고 폭발하는 불운의 ... ...
노력은 열정에 비례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답답함을 느끼는 K학생에게 선생님은 단점도 장점으로 바꿔보라는 충고를 했다. “집
주변
에서 생태연구소를 찾아봐. 그곳에서 민물고기나 물에 대해 연구하는 걸 견학해보면 어떨까. 연구에 참여해 나중에 탐구대회에서 관련 주제로 발표를 해보면 좋을 것 같구나. 그리고 봉사활동으로 생태 ... ...
우리 손으로 그린 첫 남극 그림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땔감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인간의 탐욕의 끝은 과연 어디까지일까.세종과학기지
주변
에서는 ‘도둑갈매기’ 스쿠아(Stercorarius parasiticus)도 볼 수 있다. 스쿠아는 오리보다 조금 큰 새로 발에는 물갈퀴가 있고 부리는 매와 닮았다. 닥치는 대로 잡아먹는데다 공격적이어서 이곳 육상 먹이사슬에서는 ... ...
'바다 위의 기상대’ 기상 1호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속력으로 연속해서 25일 이상 약 7400km 거리를 항해할 수 있다. 위험기상 현상을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 장기간 연속 관측할 수 있고, 필요할 때는 북서태평양 해역까지 이동해 특별관측을 할 수 있다. 기상1호가 1년 중 바다 위에 떠 있는 시간은 200일 정도. 그래서 기상1호의 또 다른 별명은 ‘바다 위의 ... ...
남태평양 리얼 야생 체험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빗물은 매우 깨끗해서 마실 수 있다. 대체로 하루에 한번은 큰 비가 내리는 미크로네시아
주변
바다는 사실 태풍이 생기는 곳이다. 이곳 바다에서 자라난 태풍이 동아시아로 올라오면서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등지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알고 보면 축의 바다는 한반도와 그리 먼 곳만은 아니다.차를 ... ...
달콤살벌한 먹이사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다른 생물들이 편히 살 수 있도록 자연 속 먹이사슬을 지켜 줘! 찌르르~, 나는 딱새야.
주변
에서 흔히 보는 참새의 한 종류지. 난 씨앗이나 열매뿐 아니라 이렇게 곤충이나 거미를 잡아먹기도 한단다.거미야, 미안하지만 내 먹이가 되어 줘야 겠어. 내 부리에 꼼짝없이 잡혔잖니 ... ...
슛~~ 과학으로 즐기는 2010 월드컵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마음대로 공을 회전시킬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네.공이 회전할 때와 그렇지 않을 때는
주변
공기의 흐름이 다르고, 이 공기의 흐름이 슛의 방향을 결정하기 때문이지. 호날두 선수와 카를로스 선수의 환상적인 슛을 보며 설명해 주겠네.골문으로 빨려들어간다! 바나나킥선수가 공을 중심에서 비껴 ... ...
당신은 날 믿었어야 했어요!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병도 물려받은 것 같아 항상 불안해한다. 때때로 불안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그녀의
주변
사람들은 캐서린의 이러한 행동 때문에 아버지의 능력을 뛰어넘는 새로운 증명을 완성했을 때도 그녀의 업적이라고 믿어 주지 않는다. 심지어 그녀의 언니‘클레어’와 그의 연인‘할’조차도…. 이것으로 ... ...
다리엔 왜 줄이 많을까?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트러스 구조의 아치를 만들어 기둥 사이의 거리가 무려 518m다. 삼각형 뼈대의 안정성
주변
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다리는 ‘거더교’ 다. 거더는 기둥과 기둥 사이에 걸치는 큰 보를 뜻한다. 수평으로 놓인 보를 수직으로 세운 기둥이 받치는 간단한 구조여서 안정적이면서도 빠르게 만들 수 ... ...
이전
337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