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이안 아골,위상수학에 마침표를 찍다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앞으로만 기어나간다면 어떻게 될까? 벌레는 분명 평면에서 앞으로만 기어가지만 언젠가 처음 출발했던 자리로 돌아오게 될 것이다.3차원 다양체는 전후좌우에 위아래의 개념까지 들어간다. 우리가 사는 세계가 대표적인 3차원 다양체다. 그 중에서 극도로 대칭적이어서 아주 예쁜 모양을 가지는 ... ...
- [소프트웨어]웰컴 투 게임카페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삼각함수로 설명했습니다. 새총을 잡아당겼을 때 지표면과의 각도(θ)를 이용해 새가 처음에 튕겨나가는 초기속도(υ0)를 구한 것입니다.새가 (x, y) 좌표에 놓여 있다고 생각하고, 초기속도도 앞으로 나아가는 방향과 수직으로 올라가는 방향으로 나눠 υ0x와 υ0y로 정했어요. 초기속도는 삼각함수로 ... ...
- [소프트웨어]로보티즈 IoT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사물인터넷은 말 그대로 사물과 인터넷을 연결한 것이다. ‘사물인터넷’이란 용어를 처음 쓴 것은 현재 벨킨의 책임자인 영국의 캐빈 애쉬튼이다. ‘Internet of Things’을 줄여 ‘IoT’라고 부른다. 사물인터넷은 사물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부착해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물은 ... ...
- [News & Issue]디웨이브, 진실을 말해줘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이동한다. 이 방법은 2002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물리학과 에드워드 파르히 교수가 처음으로 제안했다.이런 논란에도 불구하고 NASA, 구글, 미국 대학우주연구협회(USRA)가 공동으로 속해있는 양자인공지능연구실(QuAIL)은 디웨이브2X가 양자컴퓨터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배 교수는 ... ...
- [News & Issue]1986년 대전, 그때 그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경쟁력이라는 생각을 미처 하지 못했던 시기였다. 과학동아에 산업디자인 기사가 처음 실린 것도 1991년이었다. 대신에 여학우를 보려고 과를 바꿨다는 이야기가 농담으로 나올 정도로 여학생은 많은 과였다고 한다. 무려 50%에 가까운 비율을 자랑했다고. :)“(화학에서 중요한 연구 분야가 어떻게 ... ...
- [Tech & Fun]광물이야기11 ‘생얼’이 더 아름다운 광물 형석(Fluorite)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하게 된 이유는 누군가 이 광물의 아름다움을 살려내는 처리 방법을 알아 낸 덕택이다.처음 선보였을 당시 리엠바스마크 형석은 생성 과정에서 이차적으로 형성된 석영의 미세결정에 뒤덮여 본래의 아름다움이 드러나지 않았다. 그러나 손상을 막기 위해 왁스로 보호막을 입히고 형석 표면을 덮은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로봇이 알아서 척척! 사물 인터넷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프로그래밍 경험이 있는 조부민 기자는 능숙하게 프로그램을 완성시켰고, 코딩을 처음 해 보는 김신혜 기자도 설명서를 읽으며 차분하게 프로그램을 완성시켰지요.이수린 기자가 가장 먼저 카메라 리모컨을 완성했어요. 카메라 리모컨을 스마트폰과 연결한 뒤, 리모컨의 버튼을 누르자 ‘찰칵!’ ... ...
- [지식]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생물학 학회에서 발표할 때와 수학 학회에서 발표할 때 아주 다른 문장으로 얘기해요. 처음엔 어려웠지만 지금은 익숙해졌어요.생물학자를 이해하는 것도 중요해요. 생물학 실험이 굉장히 어렵다는 걸 이해해야 좋은 동료가 될 수 있어요. 생물학자의 실험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처럼 결과가 뚝딱뚝딱 ... ...
- [수학동아클리닉]우주를 품은 정십이면체!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면의 개수도 일치한다.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은 그의 저서 ‘티마이오스‘에서 처음으로 정다면체를 기술했다. 플라톤은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이 흙, 공기, 물, 그리고 불로 이뤄져 있다고 믿었고, 정다면체를 이 4원소(흙, 공기, 물, 불)에 대응시켰다.정사면체는 불이 타오르는 모습을 ... ...
- [News & Issue]GM연어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기술을 사용한 것이 아닌가 생각하는 독자 분도 있을 텐데요, 그렇지 않습니다. GM연어가 처음 개발된 1990년대엔 유전자 가위라는 기술 자체가 없었거든요. GM연어를 만든 비법은 플라스미드를 이용한 유전자 삽입법입니다. 대서양 연어의 염색체에 연어의 먼 친척인 등가시치과 물고기 ‘오션 파우트 ... ...
이전337338339340341342343344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