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일러 프로젝트] 길 찾기 달인 모여라! 경로 찾기 문제수학동아 l2019년 02호
- ‘→↓→↓→’ 같은 식이죠. 오일러 프로젝트 15번 문제는 결국 3개의 →와 2개의 ↓를 나열하는 모든 경우의 수를 찾는 거랍니다. 즉 같은 것이 있는 순열의 수로 풀 수 있어요. 순열이란 서로 다른 물건들 중에서 몇 가지를 뽑아 일렬로 나열하는 것을 말해요. 이런 경우의 수를 계산하다 보면 ... ...
- Part 2. 특징 - 뇌가 크면 인간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소니아 아르망 교수 연구팀은 아프리카 케냐의 ‘로메크위3’ 유적지에서 149개에 달하는 석기를 발굴했어요. 지층의 연대를 분석하니, 이 석기들은 무려 330만 년 전에 만들어진 것이었어요. 연구팀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이 석기를 만들었을 것으로 추측했죠. 도구를 만드는 데 꼭 큰 두뇌가 ... ...
- [과학뉴스] 변신 드론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어떤 상태인지 파악할 수 있을 정도로 물체에 가까이 접근할 수 있었지요. 연구팀이 개발한 드론은 크기를 조절하며 좁은 공간을 통과할 수 있어 화재나 지진으로 인해 무너진 건물 사이를 이동하며 구조작업에 나설 수 있어요. 연구에 참여한 스테파노 민체프 박사는 “이 드론은 사고 현장에서 ... ...
- Part 2. 반려동물 버리면 다른 동물도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교수)“‘들개’도 교육이 가능해요!” 제가 ‘부라보’라고 이름을 지어준 개는 목줄을 채웠을 때 5초도 가만히 못 있을 정도로 싫어했어요. 그러다 우리가 주는 음식을 먹으며 경계를 풀었고, 전문가가 목줄을 매주셔서 산책도 다녀왔어요. 그게 좋았는지 나중엔 제가 산책을 안 시키면 똥을 안 쌀 ... ...
- [이달의 PICK] 밥상 떠난 오징어를 찾습니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약 78%가 2~4년령에 해당하는 18~40cm였다”고 밝혔다. 강 연구관은 자연산 명태의 개체수가 증가한 원인 중 하나로 명태 산란장의 수온 변화를 꼽았다. 그는 “최근 동해에서 잡힌 명태 대부분이 태어났던 2015년, 산란장의 수온이 산란 적수온인 2~7도였던 것으로 분석됐다”며 “향후 명태가 ... ...
- [이달의 PICK] ‘파리협약’ 본고장 파리의 실험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개발하는 등 기본 기술력이 갖춰진 만큼, 수소를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차세대 기술 개발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미혜 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화석연료를 태우면 이산화탄소뿐만 아니라 결국 최근 국내에서 심각한 문제가 된 미세먼지도 많이 배출된다”며 “친환경에너지 ... ...
- Part 3. FRUIT, BEER, MAKGEOLLI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전 과정을 자동화했다. 맥아, 효모, 홉, 향료(플레이버)를 각각 건조해 밀봉한 캡슐 4개를 물과 함께 넣고 작동 버튼을 누르면 끝. IPA, 페일에일, 밀맥주, 스타우트, 필스너 등 5가지의 수제 맥주를 만들 수 있다. 한 가지 단점(?)은 맥주 종류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평균 2주 정도 기다려야 맥주 5리터 ... ...
- [TECH] 카메라는 눈높이에 스피커는 어디에?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몸통입니다. 3차원 테트리스처럼 전자 부품 넣기 앞으로 제가 과학동아를 통해 11개월 동안 만들 로보트 재권V는 사람처럼 직립 보행을 할 뿐만 아니라 스키를 타거나 축구도 할 수 있는 휴머노이드입니다. 스포츠에 능한 휴머노이드인 셈이죠. 로보트 재권V의 몸통에는 어떤 부품이 들어가야 ... ...
- [나의 영국 유학 일기] 땅값이 비싼 런던에서 대학교에 다닌다는 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경우에는 화장실까지 공유한다. 학생들은 냉장고와 냉동고 한 칸, 열쇠로 열 수 있는 개인 수납공간을 하나씩 배정받는다. 방에 들어오기까지 총 4번에 걸쳐 열쇠를 사용하기 때문에, 플랫메이트(영국에서는 같은 주거 공간을 사용한다는 뜻에서 룸메이트 대신 플랫메이트라고 부른다)만 잘 ... ...
- 새로운 도형이 나타났다!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사면체가 6개 또는 8개 연결된 칼레이도사이클에 대한 연구는 많습니다. 하지만 홀수 개의 사면체로 이뤄진 칼레이도사이클의 연구는 거의 없었어요. ‘실제로 존재하면 어떤 모양일까?’라는 간단한 질문에서 이 연구를 시작하게 됐지요. 다른 구조들을 공부하면서 사면체의 연결 각도를 바꾸는 ... ...
이전3383393403413423433443453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