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Info] “ 한반도 지진 제대로 알려면 역사 속 지진도 연구해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큰 지진 관측 횟수는 거의 일정하다”고 잘라 말했다.과학동아 카페는 과학동아가 연 8회 이상 개최하는 과학 강연 겸 토크콘서트다. 매달 표지 및 공지사항을 통해 주제와 개최 일시를 독자에게 알린다. 유료(2만 원) 행사지만 과학동아 정기구독자는 동반 1인까지 무료다. 11월 12일에는 2016년 노벨 ... ...
- Part 3. 인간의 이기심이 무서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양서류의 종 수가 포유류보다 훨씬 많지만, 포유류에 대한 연구 결과는 양서류보다 10배 이상 많아요.생명다양성재단 김산하 사무국장은 사람들이 외모로 동물을 차별하는 것에 대해 “사람의 기준으로 동물을 평가해선 안 된다”며 “모든 동물은 아름답다”고 말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 ...
- Part 1. 이런 게 다 곡선?!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있다. 직선은 곧게 끝없이 이어진 선을 뜻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곡선이라고 하는 것도 이상해 보인다. 우리는 아래 보이는 굽어진 도로처럼 부드럽게 굽어 있는 선만을 곡선이라고 생각한다.그러나 여기에는 함정이 있다. 곡선이라고 해서 반드시 굽어있을 필요는 없다. 수학에서는 직선도 곡선에 ... ...
- [지식] 세계는 스팸과 전쟁 중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스스로 학습해서 여러분의 메일함으로 가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스팸의 양은 상상 그 이상입니다.이렇게 경험을 토대로 어떤 사건의 확률을 추론할 때 유용한 원리가 바로 ‘베이즈의 원리’입니다. 1701년경에 영국에서 태어난 토머스 베이즈가 확률론에 대해 쓴 원고에서 처음 발견돼 그의 이름이 ...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곳곳에 작은 소용돌이들이 생겨나 마침내 표면을 가득 채운다고 생각해 보자. 이제 더 이상 잔잔함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을 것이다. 이렇게 소용돌이로 가득 찬 상태는 잔잔한 호수 표면과는 위상이 다른 상태다(소용돌이 하나가 생기는 것은 빵에 구멍을 하나 뚫는 것과 같다). 이것이 2차원 고체의 ... ...
- Part 2. 우주방사선을 극복하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있다. 지난해 9월 말 NASA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화성의 건물 디자인을 공모했다. 165개 이상의 작품이 접수됐고 점수가 높은 30개 작품은 ‘메이크페어’ 행사에 전시됐다. 그 중에는 가장 현실적인 대안인 지하동굴 형태, 돔 형태의 거주시설이 많았지만, 특이한 재료를 사용하거나 지구에는 없을 법한 ...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쓰지 않아서 인체에 무해하다. 안 연구원은 “서로 다른 항암 효과를 주는 두 종류 이상의 siRNA를 함께 전달할 수 있고, 기존 항암 화학치료제에 대한 거부반응(항암 내성)을 완화시켜 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연구팀이 항암 내성을 일으키는 단백질을 억제하는 siRNA와 항암제를 함께 투약해 ... ...
- [Interview] 우주생물학자의 ‘발칙한’ 문명 재건법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지극히 단순한 도구를 만들어낼 능력과 자원을 동시에 가진 사람이 지구에 더 이상 없다는 것이 결론이었다. 산업화와 전문화의 그늘을 지적한 연구였다.그런데 여기, 이 결론에 도전한 사람이 있다. 서울 종로구 김영사 사옥에서 만난 영국 웨스트민스터대 생물학과 루이스 다트넬 교수는 뽀얀 ... ...
- [Tech & Fun] 과학은 네트워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기술이었다.과학을 거대한 네트워크로 치환하면 많은 것이 달라 보인다. 아니, 많은 것이 이상해 보인다. 과학기술은 왜 일자리를 창출할 도구로 소비될까, 어떻게 5년 만에 가시적인 성과를 내라고 할까, 교육과정은 어째서 문․이과로 나눠져 있을까, 과학자들은 왜 살상기술을 막지 않을까. ... ...
- Part 1. 연속 대지진을 부른 ‘불의 고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지진 규모 상위 10개 중 9개가 불의 고리에서 발생했다. 지난 1년간 전세계에서 발생한 M7.0 이상 강진 중 약 80%가 불의 고리에서 일어나기도 했다. 이 지역은 태평양판과 가장자리의 작은 판들이 끊임없이 이동하며 부딪히고 있는 곳이다.]지구의 표면은 마치 퍼즐 조각처럼 나뉘어 있어요. 맨틀 ... ...
이전3383393403413423433443453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