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소
즉석
곧
즉시
당장에
바로
d라이브러리
"
직접
"(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BRIDGE. “당신은 에볼라에 오염됐습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아프리카 시에라리온 지역에 파견된 우리나라 의료진이 현지에서 착용하는 보호장비를
직접
입어봤다. 환자와 접촉이 많은 의료진들이 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될 확률은 최고 20%에 달한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현지 의료진들에게 전동식 호흡장치 또는 2중 마스크, 전신 방호복과 2중 ... ...
[Hot Issue] 2015 태양계 탐사선 어디로 가나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태양계 외곽 왜행성인 명왕성이며 무려 10년의 여행 끝에 올해 7월 14일 도착한다. 비록
직접
혜성에 착륙한 로제타처럼 극적인 사건 없이 그저 스쳐 지나가겠지만, 태양계 바깥에 있는 왜행성과 그위성을 어떤 다른 탐사선보다 가까이에서(1만3695km거리) 관찰하는 것은 대단히 희귀한 기회다. ... ...
[Knowledge] 매혹의 공생 생물, 지의류의 ‘버티는 삶’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그 이유로 대기오염을 꼽았다. 실제로 일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기 중 아황산 농도가
직접
적으로 매화나무지의 등 지의의 생장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 중 아황산 농도가 0.02ppm을 넘으면 매화나무지의는 아예 살지 못한다. 문 연구관은 특히 중국에서 편서풍을 타고 오는 ... ...
Epilogue. 상대성이론 가지고 놀기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유럽우주국(ESA)이 돈을 쏟아부어 영상과 그래픽을 만드는 데는 이유가 있다. 사람들에게
직접
보여줄 방법이 없으니까.우주를 이해할 때 일상 언어는 꽤 요긴하다. 대중을 위한 천문학 잡지를 만드는 비영리단체 ‘우주라이크’에서는 우주에서 벌어지는 일을 설명할 때 늘 재기발랄한 비유를 ... ...
PART1. 에볼라 최전선으로 떠나는 한국 전사들 “두렵다. 그래도 간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근무하던 의사 2명이 바이러스에 감염됐으니까요.” 선발대를 이끌고 시에라리온에
직접
방문했던 정진규 심의관은 당시 느낌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었다. “개인 보호복을 입고 벗는 연습을 하는데 기분이 이상하더라고요. 온몸에서 피를 흘리는 환자들의 모습이 남 일 같지 않았습니다. 해야 할 ... ...
[Knowledge] 최초의 섹스, 판피어의 은밀한 사생활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짝짓기를 하고 후손을 남겼는지 전혀 몰랐어요. 그저 현존하는 연어나 송어처럼 물에
직접
산란한다고 가정해 왔지요. 더 중요한 건, 판피어가 지금까지 알려진 턱뼈가 있는 척추동물 가운데 가장 원시적인 물고기라는 점이에요. 삽입교미라는 복잡한 형태의 유성생식이 척추동물이 이제 막 턱뼈와 ... ...
Part 1. 우롱이 생태일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도시의 친구인 꿀벌도 함께 사라졌다. 대체 그들에게 무슨 일이 생긴 것일까? 꿀벌에게
직접
들어보기로 했다.꿀벌 꽃이 없어서예요. 밥이 없는 거죠.우롱기자 도시에도 꽃은 많이 있지 않나요?꿀벌 목련이나 개나리는 많아요. 하지만 이 꽃들, 향기가 없잖아요. 꿀이 없다는 이야기죠. 우리가 ... ...
PART4. 일반상대성이론 완성한 집단지성의 힘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증발해서 사라지려면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리겠지만.”┗시간이 어느 정도 걸리나요?“
직접
계산해 보시죠(웃음).”┗음... 태양의 2배 질량을 가지는 블랙홀이라면 1067년쯤 되겠군요. 우주 나이가 지금 1010년쯤이니 정말 기다릴 만한 시간은 못되는군요. 게다가 무거우면 더 천천히 증발하죠 ... ...
[Hot Issue] 상공 528km, 한반도에 ‘밤눈’이 생기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첨단 기술을 수출해 국가 경제 규모를 키운다”며 “앞으로 우리나라 기업이
직접
위성을 만들 수 있도록 차근차근 기술을 전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15세기 유럽 항해자들은 신대륙을 찾은 모험가로 불렸다. 그들이 찾은 신대륙은 유럽 국가를 부유하게 만들었고, 이를 바탕으로 서양은 ... ...
[과학뉴스] 인류 최초의 ‘낙서’는 50만 년 전에?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이런 흔적이 만들어지긴 어렵다”며 “의도를 갖고 그린 일종의 낙서”라고 결론지었다.
직접
도구를 가지고 재현을 해봤는데 제작이 몹시 힘들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낙서를 예술로 봐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라고 덧붙였다. 주덴스 박사는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만든 사람의 ... ...
이전
338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