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결과"(으)로 총 3,51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에 몸을 던진 과학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080414
- 동물 실험으로 증명하려고 했지만 계속 실패하자 1984년 미생물 배양 접시에 키우고 있던 헬리코박터 균을 직접 마셔 버렸다. 실험 결과는 대성공! 균을 삼키자 위산 분비가 멈추고 구토가 나면서 위염에 걸린 것이다. 이어서 헬리코박터 균을 없애는 항생제를 먹자 천천히 병이 나았다. 직접 몸을 던진 이 실험을 통해서 마샬 박사는 헬리코박터 균이 위 ...
- 둥둥~ 한강에 뜬 인공섬어린이과학동아 l20080414
- 왔어요(맨 위, 아래 사진). 유럽우주국의 과학자들은 그 사진을 조합해 깊이가 8㎞나 되는 균열 지대의 입체 사진을 만들었어요. 그 결과 예전에 이 곳에 많은 양의 물이 흘렀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혀졌어요. 물이 있으면 생명체가 있을 가능성도 높아져요. 따라서 과거 화성에 생명체가 살았을지도 모른다는 기대감이 점점 커지고 있답니다. [소제시작]소 ...
- 눈 깜짝할 사이에 영화 한 편이 뚝딱!어린이과학동아 l20080313
- 유적을 분석해 개 한 마리의 뼈를 찾아 냈어요. 그리고 이 개가 언제 살았는지를 ‘*탄소연대측정법’이라는 기술로 알아 냈지요. 그 결과 이번에 조사한 뼈는 지금부터 최소한 6300년 전에 살았던 개의 뼈로 밝혀졌어요. 또 뼈의 모양과 크기로 보아 야생의 개가 아니라 집에서 길렀던 개라는 사실도 알게 되었지요. 이 시기는 돌을 갈아 날카로운 바늘 ...
- 불시착한 우주선에서 살아서 귀환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080313
- 큰 어려움은 없었어요. 하하!” 이번 훈련의 책임자인 가가린우주센터의 알렉산더 게르만 중령은 고산 씨와 이소연 씨의 훈련 결과에 대해 크게 만족했어요. 고산 씨와 이소연 씨는 생존훈련을 마친 바로 다음날 가가린훈련센터로 돌아가 그동안 받은 훈련을 반복하며 발사일을 기다리고 있어요. 왠지 두 우주인 후보의 쿵쾅거리는 심장소리가 멀리 러시아에서 들 ...
- 거대 동물 멸종 미스터리(2)어린이과학동아 l20080313
- 한다고 주장해요.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1만 5000년 뒤엔 거대 동물 친구들이 살았던 시대처럼 다시 빙하기가 돌아올 것이라는 연구결과도 있지요. 끊임없이 변하는 지구의 생물, 인간은 멸종하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을까요? 미래의 지구엔 누가 살고 있을까요? [소제시작]플러스 과학 이야기 영화 속 이야기 모두 사실은 아니야![소제끝] 신기한 거 ...
- 스르르륵~ 물에서 사라지는 마법종이가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080229
- 좀 가져와!” 삐리리리리리~. 닥터 고글이 사인펜, 볼펜 등을 꺼내 성분 분석기에 넣자 펜에 따라 여러 가지 성분이 들어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온다. “펜의 색을 내는 안료는 한 가지가 아니에요. 여러 안료가 섞여 있죠. 종이에 사인펜으로 점을 찍은 다음 종이 끝을 물에 담궈 보면 쉽게 확인할 수 있어요. 그리고 수성 안료든 유성 안료든 접착제 ...
- CD 표면에 펼쳐진 아름다운 무지개어린이과학동아 l20080229
- 하지요. CD의 표면에는 아주 작은 홈이 있어요. 이 홈에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요. 빛이 이 홈에서 반사될 때에도 간섭이 일어나요. 그 결과 CD 표면에 무지개가 생긴답니다. CD 표면에 물방울을 뿌리고 이쪽 저쪽에서 빛을 비추며 관찰해 보세요. 더 멋진 무지개를 볼 수 있을 거예요 ... ...
- “에너지 팍팍!” 무릎 발전소어린이과학동아 l20080229
- ” 탐구과제 발표는 5학년 신상수, 김영현, 김선화 학생이 함께 맡았어요. 탐구 계획에서부터 실험, 보고서까지 직접 참여해서 준비한 결과 어느 팀보다 더 자신 있게 발표했다는 평가를 받았답니다. 금관분교 꼬마 과학자들에게 다시 한 번 축하의 박수를 보내며, 누에 관찰로 시작된 관심이 더욱 다양한 탐구활동으로 계속 이어지길 기대해 봅니다 ... ...
- 너에게 주고싶은 달콤함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080229
- 아스파탐, 사카린 같은 0칼로리 인공감미료가 오히려 비만을 만들 수도 있대. 미국 퍼듀대학교 연구팀이 쥐를 가지고 실험한 결과 인공감미료를 먹은 쪽이 설탕을 먹은 쪽보다 더 비만해졌거든. 설탕의 단맛이 식품 속 칼로리를 예측할 수 있게 하는데, 칼로리가 거의 없는 인공감미료는 이 예측에 혼란을 줘서 더 살찌게 만든 거지. 소장도 단맛을 느낀다? ...
- 똑똑똑~, 공부'뇌'를 깨워라(2)어린이과학동아 l20080229
- 달랜 뒤에 공부를 하는 게 더 효과적이야. 재미 없는 공부는 뇌도 재미 없어 한다 2004년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김성일 교수님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재미를 느낄 때 생각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담당하는 부위인 이마엽이 활발하게 반응한대. 어? 그럼, 개그콘서트를 보면서 공부를 하면 생각도 잘 되고 이해도 더 빨리 되겠다구? 흠~, 아쉽게도 그건 ...
이전3383393403413423433443453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