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페로브스카이트 소재로 고성능 메모리 소자 구현했다동아사이언스 l2021.06.13
- 메모리인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를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이장식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태양전지에 쓰이는 소재인 페로브스카이트 소재 기반 고성능 메모리 소자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이장식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저항변화 메모리는 전원이 ... ...
- [프리미엄 리포트]비건 패션, 트렌드가 되다 과학동아 l2021.06.12
- 세포로 가죽을 만들어 동물의 무분별한 희생을 막으려는 노력도 있다. 2018년 미국 생명공학 스타트업인 모던 미도우는 실험실에서 얻은 콜라겐으로 가죽 ‘조아’를 제작했다. 여기에는 콜라겐을 만들어내도록 유전자를 변경한 세포가 사용됐다. 조아는 천연가죽보다 얇지만 강도는 가죽과 ... ...
- ‘궁극의 원전’ 찾아 4세대로 눈 돌린다…韓 100MW ‘살루스’ 연구 시작동아사이언스 l2021.06.11
- 선박 전원을 MSR로 공급하기 위한 연구를 막 시작했다. 김성중 한양대 원자력공학과 교수도 자율운전형 MSR을 위한 기초연구를 진행 중이다. 임채영 원자력연 혁신원자력시스템연구소장은 “테라파워를 시작으로 2030년대 중반에는 4세대 원자로를 300MW 이하 소형모듈원자로(SMR)로 짓는 차세대 원전 ... ...
- 탄소나노튜브를 갈아서 유기용매에 넣으면 일어나는 일동아사이언스 l2021.06.11
- 식물의 호흡과 광합성 과정에 접목해 각종 환경 센서로 사용하며 ‘식물 나노생체공학’ 분야를 개척한 전문가로 유명하다. 2016년에는 바이오센서 역할을 할 나노입자를 시금치 잎 뒷면에 주입해 지뢰나 탄약 같은 폭발물에 포함된 질화방향족 기체가 감지되면 잎이 형광색으로 바뀌는 기술도 ... ...
- [과기원은 지금] 최민기 KAIST 교수팀, 효소 닮은 촉매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1.06.10
- ‘앙게반테 케미’에 지난달 17일 온라인으로 공개됐다. ■포스텍은 9일 차형준 화학공학과 교수와 박우찬 동아대병원 안과 교수팀이 상처난 눈을 홍합과 양막으로 재생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양막은 태반 안쪽의 배아를 덮고 있는 막이다. 상피 재생을 촉진하는 인자가 많이 들어있다. ... ...
- [랩큐멘터리] 원자에서 소재의 본질 찾는다동아사이언스 l2021.06.09
- 것이다. 양유정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박사과정생. 최시영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전자∙원자구조 이미징 해석 연구실’은 눈에 보이지 않는 원자와 전자 연구를 통해 유용한 미래소재를 개발하는 게 목표다. 소재 이미징 연구에는 기본적으로 투과전자현미경이 활용된다. ... ...
- 김현진 서울대 교수, 국제로봇자동화학회 무인비행체분야 최우수논문상동아사이언스 l2021.06.09
- 공대는 김 교수 연구팀이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5일까지 중국 시안에서 열린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 산하 ICRA에서 이같이 상을 받았다고 9일 밝혔다. ICRA는 매년 상반기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 로봇 학술대회다. 연구팀은 로봇팔을 부착한 비행형 매니퓰레이터를 개발해 발표했다. 비행형 ... ...
- 줄기세포로 사람 소장 상피 조직 세계 첫 개발…신약 인체 흡수 평가 활용 기대동아사이언스 l2021.06.08
- 약물 흡수 평가가 가능해 신약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손미영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줄기세포융합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인간 전분화능줄기세포로 2차원 소장 상피 모델을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3차원 장 오가노이드를 2차원 상피 모델로 전환하는 것도 가능한 ... ...
- 경제 발전한 도시가 녹지 더 많고 시민도 행복하다동아사이언스 l2021.06.08
- 사이언스 그룹 CI(Chief Investigator·KAIST 전산학부 교수) 연구팀이 정우성 포스텍 산업경영공학과 교수, 원동희 미국 뉴저지공대 교수 등과 공동연구를 통해 인공위성 이미지 빅데이터를 활용해 세계 60개국의 도시 녹지 공간을 찾아내고 녹지와 시민 행복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연구결과를 국제 ... ...
- 대장균이 무지갯빛 색소 생산한다동아사이언스 l2021.06.08
- 활용되는 소수성 천연 색소에 주목했다. 미생물의 대사회로를 조작하는 기술인 ‘대사공학’을 이용해 카로티노이드 계열 색소인 아스타잔틴(빨강), 베타-카로틴(주황), 제아잔틴(노랑)과 비올라세인 유도체 계열 색소인 프로비올라세인(초록), 프로디옥시비올라세인(파랑), 비올라세인(남색), ... ...
이전3383393403413423433443453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