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1,894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 삼세번이 진리, 완성의 수 3
수학동아
l
201203
길이가 처음 정삼각형의 ⅓에 해당하는 정삼각형을 아래 그림과 같이 붙여야 한다. 그
결과
얻은 각 변에 대해서도 이 과정을 계속해서 반복하면 코흐의 눈송이가 만들어진다. 흥미롭게도 코흐의 눈송이는 유한과 무한을 동시에 갖고 있다. 코흐의 눈송이 넓이는 유한하지만, 그 둘레의 길이는 ... ...
Part4. 인공 뇌에도 마음이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03
영향을 주고, 정서에 영향을 주는지 활발히 연구하고 있다. 앞으로 밝혀질 이러한 연구
결과
는 정신에 대해 지금까지 인류가 생각했던 것과 다른 설명을 내놓을 전망이다.이 중에는 인공지능에 관한 것도 있다. 뇌를 인공적으로 만들려는 시도의 궁극적인 목적은 사람과 구별할 수 없는 인공지능을 ... ...
Part1. 이 걸 먹는다고?
과학동아
l
201203
역시 시간이 지날수록 초기에 나타난 효과를 보지 못하고 5년 뒤 죽었다. 현재 그의 실험
결과
는 플라시보 효과로 추측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세상에서 가장 더러운 연구Part1. 이 걸 먹는다고?Part2. 세균을 찾아서Part3. 별 걸 다 맡아!Part4. 사체는 내 사랑Part5. 원초적인 더러움, ... ...
Part6. 엽기적이라 더러워!
과학동아
l
201203
자기 머리인냥 자연스럽게 헤엄쳐 돌아다녔다. 그리고 드디어 교미가 일어났다. 관찰
결과
머리가 몸을 지배했다. 수컷 머리를 단 암컷들은 암컷을 꾀기 위해 온 몸을 흔들어 구애행동을 했다. 또 실제 암컷과 교미를 하는 것도 관찰됐다.머리 둘 달린 개가 장기 이식의 시작모스크바 ... ...
“5000만~2억 년 후, 북극 중심 초대륙 형성”
과학동아
l
201203
예일대 지질학자 로스 미첼 연구팀은 북극 근처에서 초대륙을 형성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
를 8일 ‘네이처’에 발표했다. 아메리카 대륙과 유라시아 대륙이 붙고 아프리카 대륙과 호주 대륙이 합쳐져 북극 근처에서 새로운 초대륙 ‘아마시아’가 형성될 것이라는 결론이다.연구팀은 수억 년의 시간 ... ...
초파리의 구충제는 ‘술’
과학동아
l
201203
미국 에모리대 생물학과의 토드 쉬렌키시 교수팀은 초파리 애벌레가 술을 마신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효모나 다른 곰팡이가 발효시킨 과일에서 ... 고생할 것인가, 기생충 때문에 죽을 것인가’를 놓고 고민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
는 ‘커런트 바이올로지’ 2월 16일자에 실렸다 ... ...
육지보다 귀한 바다 생물
과학동아
l
201203
생물은 바다에서 태어나고 진화했지만 현재 바다 생물 종 수는 육지 생물보다 크게 적다. 전체 생물의 15~25%만이 바다에 산다. 육지 생물의 4분의 1에서 6 ... “전체 종 조사를 하면 수수께끼를 확실히 풀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
는 ‘영국왕립학회보B’ 2월 8일자에 실렸다 ... ...
[hot science] 그 위성은 왜 죽었을까
과학동아
l
201203
물질은 작은 크기의 위성을 만들어내는 재료로 사용된다.실제로 카시니 탐사선이 관측한
결과
와 일치한다. 토성고리의 바깥쪽에서 이런 물질이 응축돼 새로운 위성이 탄생하고 있었다. 팬, 아틀라스, 테티스 같은 토성 안쪽 위성들이 그 주인공이다.토성 고리를 이루는 얼음알갱이는 토성 주위를 ... ...
“게코도마뱀 발바닥에서 딱정벌레 날개를 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1203
” 이렇게 만난 두 사람은 기발한 아이디어를 쏟아내기 시작했고 실험을 할 때마다 좋은
결과
가 나왔다. 서 교수는 MIT에 1년 반 있는 동안 논문을 무려 14편이나 써냈다. “저도 큰 도움을 받았지만 알리도 제 덕을 톡톡히 봤죠. 지금 하버드대 의대 교수가 됐거든요.”낯선 곳에서 길을 찾다MIT 체류 ... ...
혀를 알면 발음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1203
최근 발표했다. ‘지터’와 ‘쉼머’라는 음성분석기기를 이용해 발음의 특성을 측정한
결과
‘혀 체조’와 ‘발음 정확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발견한 것이다. 조 교수는 “일반 사람들이 막연하게 좋을 것이라 생각하는 것을 정량적으로 분석해서 실제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 것도 과학”이라고 ... ...
이전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