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6,996건 검색되었습니다.
추억의 히트곡 '연' 만든 생명과학자 조진원
과학동아
l
200802
가장 좋아하는 미
발표
곡을 소개해 달라. 혹시 자신의 노래를 주고 싶은 가수가 있다면?미
발표
곡 가운데 친구의 죽음을 떠올리며 만든 ‘그대를 생각하면 눈물이 난다’라는 곡이 있다. 이 곡을 지난해 라이너스의 보컬 최광수 씨가 죽었을 때 연주했는데, 눈물이 가슴에 고였다.요즘 가수는 잘 ... ...
내 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인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2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하여 지문을 신분 증명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이론을
발표
했어. 하지만 실제적인 사용은 1892년에서야 이뤄졌지. 아르헨티나 경찰관 후안 부체티크가 살인범을 잡는 데 세계 최초로 지문을 이용했어. 이 후 1960년대 후반에 들어서야 지문을 전자적으로 기록하는 시스템이 ... ...
고래 조상은 너구리만 한 포유류?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2
물가에 살았던 너구리만 한 포유동물인 ‘인도휴스’가 고래의 조상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
되었습니다. 미국 오하이오대학교의 한스 테비센 교수팀은 수백 마리의 인도휴스뼈화석을 찾아 분석했어요. 그 결과 두개골과 귀, 작은 어금니가 고래와 매우 비슷하다는 걸 알아 냈지요. 게다가 뼈의 ... ...
“하하하!” 오랑우탄도 웃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2
독일 하노버대학교팀은 웃음이 인간과 영장류의 공통 조상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발표
했어요. 연구팀은 대표적인 영장류인 오랑우탄 25마리의 행동을 관찰해, 오랑우탄 한 마리가 입을 크게 벌려 웃는 것과 같은 행동을 하면 다른 오랑우탄들이 이 행동을 따라한다는 것을 알아 냈어요. 오랑우탄이 ... ...
죽은 쥐 심장 되살렸다
과학동아
l
200802
이 연구결과는 생물의학분야 국제저널 ‘네이처 메디신’ 1월 13일자 온라인판에
발표
됐다.연구팀은 살아난 심장 세포 조직을 현미경으로 검사한 결과 혈류 이동과 심장박동이 모두 정상이었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심장 조직의 일부를 재생시킨 연구결과는 있었지만 장기 전체를 되살린 경우는 ... ...
기네스북에 오른 괴물 포켓나이프
과학동아
l
200802
세균 1957년 4월 12일에 원자핵분열의 발견자 오토 한 등 독일 원자력과학자 18명이 서명,
발표
한 핵병기보유 반대 선언 교감신경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 아드레날린 등 교감신경 흥분제에 길항(拮抗)한다 교감신경 자극효과를 발휘시키는 약물 교감신경이 흥분했을 때 체내에는 카테콜아민(아드레날린 ... ...
후각 무디게 하는 '몸속 반란' 우울증
과학동아
l
200802
후각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알아내 미국 의학저널‘관절염과 류머티즘’ 1월호에
발표
했다.연구팀은 전신홍반성낭창(루푸스) 같은 자가면역질환을 겪는 환자들이 우울증에 걸리는 원인을 조사했다. 그 결과 자신의 체성분을 공격해 류머티즘 같은 질환을 일으키는 자가항체(autoantibody)가 ... ...
남극 녹아내린다
과학동아
l
200802
얼음이 녹으며 10년 동안 평균 75%가 사라졌다. 최근 국제저널 '네이처 지오사이언스'에
발표
된 연구에 따르면 2006년 빙하가 녹으면서 바다로 배출한 물의 양은 1920억 톤에 이른다. 물 속에 있는 콜로이드상태 또는 가는 입자상태 현탁질에 흡수되어 입자 표면의 전하를 중화시키거나 입자 사이에 ... ...
EPISODE1 또 하나의 '투모로우'
과학동아
l
200802
기후변화위원회)는 금세기 말 기온이 최대 6.4℃ 올라갈 거란 비극적인 시나리오를
발표
했다. 안순일 교수는“대기 중 온실기체의 농도가 계속 높아지면 지구의 기후가 밀란코비치주기의 영향을 아예 받지 않을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지구의 기후를 조절해온 자연 주기가 힘을 잃을 수도 있다는 ... ...
EPISODE3 인류구원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02
궤도를 바꿔 지구를 구하는 방법을 연구해 국제저널 ‘천체물리학과 우주과학’에
발표
했다. 연구팀은 지름 100km짜리 소행성(또는 혜성)을 갖고 시뮬레이션을 했다.먼저 궤도를 바꿔 지구로 향하는 데 소량의 에너지가 드는 소행성을 찾는 게 좋다. 소행성에 역추진로켓을 장착해 지구 근처로 향하는 ... ...
이전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