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크기
범위
스케일
사이즈
치수
중소규모
중소
d라이브러리
"
규모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솔린 바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연소시킴으로써 야기되었던 문제이다. 그러나 언젠가는 인간이 다른 태양계의 위성에 대
규모
정착을 하는 그런날이 올지도 모른다. 그 경우에 타이탄과 트리톤은 좋은 자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확실히 그들이 공급하게 될 가솔린은 에너지용이지는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원거리 이주에 의한 ... ...
로스 알라모스에서 열린 최초의 회의보고 인·공·생·명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단순한 프랙탈 기하학의 언어로 기술될 수 있음을 발견했다. 프랙탈 기하학에서 다른
규모
로 반복되는 규칙으로부터 형태를 구축한다. 그런 법칙들이 실재 식물의 유전 인자에서 어떻게 암호화 되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그럼에도 로스 알라모스에서의 몇가지 실험은 실재 양치류나 나무, 심지어 ... ...
제1회 한국과학대상 수상자 김진의 교수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전망도 나오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 실험이 가능한지요. "실험장치는 그리 거대한
규모
는 아니고 10만달러 정도면 마련할 수 있읍니다. 그렇지만 워낙 실험이 예민해 국내에서 제대로 장치를 만들 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제 이론에 따르면 아주 가벼운 액시온은 우주에 1㎤당 10조개의 꼴로 많이 ... ...
과학기술계에도 대전환 있어야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판매허가가 나왔는데, 이는 생명공학 기술이 만들어낸 최대의 약품으로 그 시장
규모
가 10억달러에 달할 전망입니다. 이렇게 되면 생명공학 연구자들의 사기도 올라가고 본격적인 호황기가 도래하겠지요. 국내적으로 보면 기본적인 과학기술정책은 큰 변동이 없을 듯합니다. 투자라든가 인력양성도 ... ...
PART2 발사체 96년에 실험발사를 목표로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위해서는 2005년에 예상되는 우리나라의 GNP 4천억달러의 0.06% 수준인 연간 2천억원의
규모
의 연구개발이 투자되어야 한다. 이 시기가 되면 우리나라는 본격적인 우주산업국 위치에 있을 것이므로 연간수백억달러의 수출이 가능해 질 수 있을 것이다 ... ...
블랙홀은 결코 괴물이 아니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천체물리학자들의 관심을 끌어왔다. 거대한 블랙홀 주위에 형성되는 유입물질원반도
규모
만 다를 뿐 그 내부의 물리학은 본질적으로 같은 것으로 간주된다. 거대한 블랙홀 주변의 유입물질원반이 쌍성계의 작은 유입물질원반과 명확히 구분되는 점이 있다면, 그것은 내부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 ...
PART1 종속이냐 자립이냐 앞으로 10년이 선택의 갈림길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프랑스 독일 영국 등을 중심으로 여러 나라가 유럽공동우주국(ESA)을 설립하여 대
규모
의 우주사업을 계획 추진중에 있다. 개발도상국인 인도 중국 등은 범국가적 차원에서 과학실험위성을 여러개 발사했으며, 그외에도 여러 목적의 인공위성을 연구개발 중에 있다. 자기나라가 직접 통신위성을 ... ...
PART3 위성체 2천년대 초에는 통신위성을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우주관련분야의 연구는 역사가 아주 짧다. 그동안 국내 학계와 연구소에서 산발적으로 소
규모
의 기초연구가 진행되어 온 정도이다. 모든 연구는 그 필요성과 연구대상물의 수요가 있을 때에 활발해지고 지원을 받게 되는 것이다. 우주로 가기 위해서는 지구의 대기권을 통해야 하고 지구로 ... ...
가속기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집적회로 특히 이들 제반 기술들을 종합 이용하는 X-선 석판화(lithograph)는 미래의 초대
규모
집적회로(VLSI)의 제작에 있어 방사광 X-선의 공간 고분해성과 고강도 성질로 인해 초고밀도의 집적회로 양산의 유일한 방법으로 인정되고 있다. 예를 들어 1M DRAM에서의 공간분해능이 1백만분의 1m(㎛)에 ... ...
시베리아에서 있은 폭발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추정되었다. 어느 경우든, 그것은 초속 20마일 정도의 속도로 지구에 진입하여 대
규모
수소 폭탄만큼의 피해를 가져왔을 것같다는 것이다(물론, 방사능 낙진은 빼고). 그 충돌은 커다란 구멍을 팠을 것이고, 아마도 그 운석을 땅속에 묻거나 그 일대를 쇠나 운석의 파편들로 뒤덮었을지 모른다. ... ...
이전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