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때"(으)로 총 22,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초과학의 힘, IBS] 나노입자 연구단, 원자 수준으로 관찰하는 나노입자의 3D 증명사진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잘 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촉매 반응에 사용했을 때의 활성도나 양자점을 구현했을 때 광학적 성질을 계산해볼 수 있다. 무엇보다 이번 연구로 나노입자 분야의 응용 연구와 이론 연구의 괴리를 메울 수 있게 됐다는 데 큰 자부심을 느낀다. 그동안 과학자들은 나노입자의 실제 구조를 정확히 알 ... ...
- [나의 미국유학일기] 친해지는 시간이 다를 뿐 영어가 전부는 아냐~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여럿이 대화할 때 문맥에 맞는 농담도 쉽게 던질 수 있고, 모르는 주제나 은어가 나왔을 때 그 자리에서 아무렇지도 않게 물을 수도 있게 됐다. 물론 아직도 영어 발음이나 문장 구사력이 미국에서 태어난 사람과 같지는 않지만 더 이상 영어가 친구를 만드는 데 걸림돌이라고 생각하진 않는다. 설사 ... ...
- [서평] 언어가 뇌를, 뇌가 행동을 개조한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그런 이중 언어 사용자였기에 가능한 연구였다. 이 책에는 2018년 12월 저자가 사망할 때까지의 연구 결과물이 집대성돼 있다. 그를 통해 언어가 뇌를, 뇌가 행동을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 탐구해보자 ... ...
- 지뢰찾기가 수학계 7대 난제라고?수학동아 l2020년 10호
- ×9크기의 지뢰찾기를 해결하려면, 컴퓨터는 약 5.80×10120번의 계산을 해야 하거든.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일일이 열어보지 않고 더 쉽게 지뢰를 찾을 수 있는 알고리듬을 찾아야만 해. 이 알고리듬이 과연 존재할까? 이 문제가 바로 인간 세계에서 유명한 난제인 ‘P 대 NP 문제’야. P다, NP다 새로운 ... ...
- 셀프 디자인도 AI와 함께!수학동아 l2020년 10호
- 만들면 디자이너가 이를 보고 최종 결정하는 방식입니다. AI가 새로운 옷을 디자인할 때 다양한 옷의 소매 모양, 무늬, 목 부분 모양 등을 조합해 수많은 경우의 수를 만들지만, 예상과 달리 각각 인기 있는 항목들을 조합해도 잘 어울리지 않을 수 있어 결정은 사람이 하죠.유전 알고리듬은 미국의 ... ...
- [아이돌 수학] AKMU와 작곡 속 수학수학동아 l2020년 10호
- 한 자릿수를 넘어가는 피보나치 수는 각 자릿수의 숫자를 그대로 친다. 예를 들어 55를 칠 때는 0~9 사이에서 5번 자리를 두 번 누르는 식이다. 피아노가 가까이 있다면 아래에 나열한 피보나치 수를 그대로 연주해보자. aSongScout은 왼손으로 선율에 맞는 반주를 넣었지만, 오른손만으로도 충분히 ... ...
- [가상인터뷰] 외계행성 찾아 떠난 위성 ‘키옵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HD93396’과 그 주변을 도는 행성 ‘켈트-11b’를 관찰했어. 켈트-11b가 항성 앞을 지나갈 때 키옵스로 들어오는 빛의 양이 얼마나 줄었는지 살펴봤고, 이 관측 결과로 켈트-11b의 지름이 18만 1600km에 달한다는 걸 알아냈어. 키옵스 프로젝트를 주도한 베른대학교 빌리 벤츠 박사는 “지구에서 잰 것보다 ... ...
- 너넨 우주를 보니? 핵물리학자는 우주를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핵력’이라는 힘으로 서로를 속박하다, 핵이 깨지면 모두 자유로운 상태가 돼요. 이때 쿼크와 글루온이 뒤섞인 거대한 수프 같은 상태를 ‘쿼크-글루온 플라즈마’라고 하지요.여기에 핵물리학자가 미니 빅뱅을 만드는 두 번째 이유가 있어요. 떠다니는 쿼크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궁금해 ... ...
- [한페이지 뉴스] 습도 조절해 기계적 에너지 만든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제공할 수 있다는 뜻이다.첸 시 뉴욕시립대 고등과학연구센터 교수는 “물이 증발할 때 결정의 망구조에 큰 변형이 일어난다”며 “이를 활용해 물의 증발 현상으로도 구동할 수 있는 (인공 근육, 나노 기계 등의) 새로운 액추에이터(작동기)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 ...
- ‘테넷’ 시간 역행, 현실에서 따라잡기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시간에 대한 퍼즐을 숙제로 남긴다. 인버전에 의해 꼬여버린 시간을 하나씩 풀어헤칠 때마다 영화 속 세계관이 얼마나 논리적으로 탄탄하게 만들어졌는지 느끼게 될 것이다. 이무성 KAIST 물리학과 시간역행반사연구단 및 의광학 연구실에서 박사과정 연구원으로 있다. 고해상도 현미경 기술 ... ...
이전3393403413423433443453463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