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d라이브러리
"
반대
"(으)로 총 4,967건 검색되었습니다.
반물질을 로켓 연료로 사용하면?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성질이
반대
라는 특징을 가진다. 예를 들어 양성자와 반양성자는 질량이 같지만, 전하는
반대
다. 또 입자와 반입자가 만나면 사라지면서 엄청난 에너지를 만들어낸다. “바로 이 에너지가 보통의 화학 연소에서 발생하는 것보다 약 1백억배나 많다”고 NASA 마샬우주비행센터의 과학자 조지 슈미트 ... ...
게임돌풍, 인터페이스의 미래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했는데 대부분의 사람은 적응하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이식 실패로 끝난 적이 있다.이와
반대
의 경우로 비디오게임이 PC로 이식될 경우, 가장 큰 문제는 인터페이스의 재현은 쉽지만 단순성이나 반응면에 대해서 비디오 게임기에 비해 친화되기 어렵다는 점이다. 즉 액션성이 강한 게임은 PC에 별도로 ... ...
3 광속으로 통신하는 손목형 단말기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로 바뀐다.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정보가 오는 경우 이와
반대
과정을 거친다.이처럼 입력된 데이터가 디지털과 아날로그로 변환된 후 또다시 아날로그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거나, 또는 안테나를 통해 입력된 RF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꿔줘야 하는데 필요한 것이 ... ...
항공우주재료공학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잘 미끄러지기 때문에 쉽게 변형되고 강도도 약해진다. 반면 결정립의 크기가 크면
반대
상황이 발생한다. 경계면이 적기 때문에 고온에서 미끄러지기 어렵고 따라서 강도가 강하다. 따라서 이런 점을 이용해 재료의 미세조직을 조절하면 우수한 항공우주재료를 만들 수 있다.1천8백˚C 견디는 재료 ... ...
패러데이의 양초의 화학사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많은 연료를 태워버릴 수 있는 상태까지 가열할 시간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와는
반대
로 위에서 연소할 때는 매우 소량의 연료만이 심을 따라 올라오게 되므로 불꽃의 열이 이것을 충분히 가열할 수 있게 됩니다”라거나, “그런데 불가사의하게도 불꽃 그림자의 가장 어두운 부분이 실제로는 빛이 ... ...
단1회 탐사로 밝혀진 절반의 이력서 수성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주기가 같은 행성이라고 생각했다. 따라서 선탠할 기회가 없이 영구한 어둠으로 덮인
반대
쪽은 태양계에서 가장 차가운 곳일지도 모른다고 천문학자들은 여겼다. 전파망원경이 만들어지자 1961년 수성을 향해 안테나를 맞췄다. 그런데 태양계에서 가장 차가울 것으로 예상된 수성의 밤 부분에서 ... ...
정전기 성의 세관문 통과하기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전자는 압정으로 이동해간다. 그런 후 (-)전기로 대전된 압정이 회전해 접촉자의
반대
쪽에 있는 방전자와 만나면 방전자에게 전자를 빼앗긴다. 전자는 알루미늄 선을 따라 다시 콘덴서로 이동해간다.■■■ 비닐 끈은 왜 부풀어오를까 비닐을 화장지로 마찰시키면 화장지의 전자들이 비닐 끈으로 ... ...
3 득점의 꽃 프리킥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양력을 일으킨다. 또 진공이 아니기 때문에 피할 수 없는 힘인 저항력이 공의 진행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한다.저항력은 축구공이 공기를 뚫고 날아가기 때문에 생긴다. 공의 밀도가 일정하고 변형이 생기지 않는다면 공이 받는 저항력은 공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그렇다면 공의 속도가 빠를수록 ... ...
풍선과 병이 만났을 때 - 풍선 잡아먹는 병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입구에 풍선을 씌운다. 풍선이 저절로 안으로 빨려 들어가기도 하고
반대
로 저절로 부풀어오르기도 한다. 어떤 경우일까.■ 왜 그럴까?유리병을 뜨거운 김으로 따뜻하게 데우면 유리병 내부 공기의 부피가 커진다. 이때 공기가 유리병 밖으로 빠져나가고, 대신 수증기로 가득 차게 된다. 여기에 ... ...
1. 축구장에 숨어있는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누르고 아래층으로 내려올수록 입자가 커지기 때문에 물의 통과 속도는 빨라질 것이다.
반대
의 경우를 생각해 보자. 맨 위층이 자갈층이라면 물이 통과하는 속도는 빠를 것이다. 하지만 아래로 갈수록, 속도는 점점 느려져 결국 아래층부터 물이 차올라 올 것이다. 더구나 자갈층은 모래에 비해 ... ...
이전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