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위
향기
경향
방면
냄새
방침
진로
d라이브러리
"
방향
"(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 온난화는 허리케인 만드는 '촉진제'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그 역의 작용을 한다따라서 극성이 틀리는 4중극전자석을 두 개 이상 결합시킴으로써 두
방향
에 대해 집속렌즈로 작용하게 할 수 있다 미지수(未知數)의 최고 차수가 4차인 방정식 네 개의 자유도(自由度)를 가지는 공간 상대성이론(相對性理論)에서는 공간(위치)의 자유도 셋과 시간의 자유도 하나를 ... ...
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대한민국은 아무런 문제없이 순항 중이었다. 사회 문제로 대두된 몇몇 일들은 잠시 배가
방향
을 바꾸거나 속력을 높이기 위해 힘을 내느라 요동친 것뿐이다. 아이들은 건강하게 자라고 있고 직장인은 열심히 일하고 있으며 노인들 역시 편안하게 노후를 맞이하고 있었다. 래빗의 원맨쇼를 보고 ... ...
거꾸로 돌아가는 계량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이뤄져 있고, 원자는 다시 핵과 전자로 되어 있지요. 어떤 힘을 받으면 이 전자들이 한쪽
방향
으로 흐르는데, 이러한 전자의 흐름이‘전기’예요. 그리고 전기가 흐르는 정도를 ‘전류’로 나타내지요.”전류를 흘려 보내는 힘을 ‘전압’이라고 하는데, 단위는 볼트(V)를 쓴다. 건전지에 써 있는 1. ... ...
지구 대규모 생물 멸종은 태양계의 공전 궤도 탓?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사실을 발견했다.멜롯 교수는 “태양계가 공전궤도면의 위쪽으로 멀어질수록 처녀자리
방향
에 있는 이웃 은하단에서 나오는 막대한 양의 방사선에 많이 노출된다”며 “900m 두께의 바위를 뚫을 만큼 강력한 뮤온입자로 이뤄진 방사선이 생물체 속의 DNA에 손상을 줬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 ...
화성으로 향한 피닉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이 입자를 독립적으로 발견한 S C C 팅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궤도의 법선
방향
으로 향한 가속도의 성분 질점이 가속도 운동을 하고 있을 때 가속도는 속도에 평행하는 성분과 수직의 성분으로 ... ...
PART3 행성에서 생명체까지, 상상플러스 공간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있다. MIT 연구팀은 NASA의 적외선우주망원경 스피처를 이용해 지구에서 카시오페이아자리
방향
으로 1만3000광년 떨어진 펄서 ‘4U 0142+61’ 주변을 세밀하게 관측했다. 열을 감지하는 스피처로 관측한 결과 대량의 먼지가 이 펄서에서 200만km 떨어진 곳에 원반을 이루고 있는 것이 아닌가.연구팀에 ... ...
뫼비우스의 띠 0.58:1의 비밀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때 처음에는 어느 쪽이 앞인지 알 수 없다. 하지만 한쪽
방향
을 앞이라고 정하면 반대
방향
은 저절로 뒤가 된다. 이처럼 좌표의 기준을 정할 수 있으면‘가향’이라고 부른다.‘ 비가향’은 기준을 정할수없는 경우다.OHP 필름처럼 투명한 뫼비우스의 띠를 상상해보자. 뫼비우스의 띠에는 ... ...
강 돌고래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탄성변형부분이 커지면 유선(流線)
방향
에 변형력 이외의 장력이 생기고 이것과 수직
방향
에 압력이 생기는 현상 생물이 체내에 갖춘 생물 시계에 의해 지배되는 주기적 변화의 리듬 개월(槪日) 리듬 외에 개윌(槪月) 리듬, 개년(槪年) 리듬 등이 알려져 있다우리의 일상생활에서도 매일의 취침과 눈뜸 ... ...
PART1 우주등대, 1초에 1000번 깜박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될 정도로 자기장이 강하다.1979년에 처음 발견된 마그네타는 지구에서 궁수자리
방향
으로 약 5만광년 떨어져 있는 ‘SGR 1806-20’이란 천체다. 이 마그네타는 크기가 20km 정도에 자전주기는 7.5초이고, 자전속도는 빛의 속도의 10%에 이른다. 이 천체는 2004년 12월 27일 태양이 10만년간 방출하는 ... ...
ISS를 신나는 '과학교실'로 만든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훈련에서 두 사람은 김 교수팀이 개발한 실험도구의 조작방법을 익히면서 실험의 개선
방향
을 함께 논의했다. 이 씨는 “ISS에 이미 갖춰져 있는 펜치나 식량용 캔 같은 여러 가지 도구를 활용하면 물체의 회전운동을 보여주는 간단한 ‘즉흥실험’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하지만 ISS에 있는 ... ...
이전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