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손대면 톡(talk) 터지는 휴대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UI를 탑재한 아이폰은 지난해 6월 출시된 이래 지금까지 약 400만대가 팔릴 정도로 대
성공
을 거뒀다. 현재 WCDMA* 방식의 제품도 곧 출시될 예정이라 국내에서도 만나볼 수 있을 전망이다.인터넷업체인 구글도 도전장을 내밀었다. 구글은 자사가 주도하는 ‘오픈핸드셋얼라이언스’(OHA)라는 휴대전화 ... ...
뒤엉킨 전선 안녕, 와이트리시티 탄생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발전소’MIT의 와이트리시티가 획기적인 이유는, 비교적 먼 거리인 2m에서 무선기술을
성공
시켰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 주변을 둘러보면 이보다 가까운 거리에서 무선기술을 구현한 예는 얼마든지 볼 수 있다. 우리가 매일 이용하는 교통카드 안에는 반도체 칩이 들어 있다. 칩이 동작하려면 ... ...
생물 다양성의 감소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계산기를 고안했으며(19세기), 23세에 토리첼리의 진공실험을 추시(追試)하는 데
성공
했다25세 때 퓌이 드 돔 산정에서의 야외실험에 의해 수은주의 높이의 증감은 대기압에 의한 것이며, 그 때까지의 스콜라적 통념이었던「자연이 진공을 싫어하기」때문이 아니라는 것을 실증했다 공간적으로 ... ...
눈 깜짝할 사이에 영화 한 편이 뚝딱!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60GHz주파수대를 이용해 대용량 멀티미디어 정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데
성공
했거든요.이번에 개발된 전송기술을 이용하면, 650Mb짜리 파일을 1~2초 안에 내려받을 수 있다고 해요. 한 시간 정도 분량의 영화 한편을 눈 깜짝할 사이에 내려받을 수 있는 거죠. 게다가 60GHz 주파수대는 아직 개발되지 않은 ... ...
“꼭꼭 숨어라 집게발 보인다~” 소백산에서 희귀종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몸 길이 0.8㎝의 작은 거미예요. 50여 년 전에 처음 발견됐는데 아주 드문 동물이라 관찰에
성공
한 적이 거의 없었어요. 특히 수컷이 아직까지 한 번도 발견되지 않아 많은 과학자들이 이 수컷을 찾느라 동분서주하고 있었지요.그런데 최근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소백산에 사는 생물들을 조사한 결과 ... ...
PART1 인간광우병 환자 프리온이 MM형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단백질이 있다. 본 모습을 버리고 변신해 말썽을 일으키는 이들 단백질을 통제하는데
성공
하느냐 여부가 앞으로 인류 삶의 질을 크게 좌우할 전망이다.돌이켜보면 광우병과 인간 광우병은 소의 사료를 바꾸어서 초래한 인재다. 도축한 동물의 찌꺼기가 아까워 사료로 활용해 이득을 보려던 영국의 ... ...
우주에서 돌아온 뒤 그들은 무얼 할까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많다. 1962년 미국 우주인으로서 최초로 지구 궤도를 돌았던 존 글렌은 정치적으로 가장
성공
한 우주인이다.그는 1974년부터 1999년까지 무려 25년 동안 오하이오 주 상원의원을 4번이나 지냈다. 1976년에는 지미 카터의 러닝메이트로 부통령 후보에 올랐고, 1984년에는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경선에 ... ...
3. 고품질 바이오석유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발암물질인 벤젠류의 화학물질과 유황이 없는 청정연료다.인간게놈 프로젝트를
성공
적으로 이끌어서 유명해졌던 미국 크레이그 벤터 연구소(CVI)의 대표인 크레이그 벤터 회장도 미국 매릴랜드주 락랜드에 ‘신세틱 게노믹스’(Synthetic Genomics) 사를 창업하고 바이오연료를 만드는데 열을 올리고 ... ...
1998년 이서구 교수의 활성산소 신호전달 메커니즘 규명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이 분야에서 발표한 논문이 인용된 회수는 1만 회가 넘는다. 보통 사람 같았으면 이런
성공
에 도취될 만도 했겠지만 이 교수는 이 와중에도 다른 연구에 시간을 할애하고 있었다. 이 교수팀은 1980년대 후반 효모에서 활성화되면 과산화수소를 없애는 효소 퍼록시레독신(peroxiredoxin)을 발견했다. 보통 ... ...
디지털 캐릭터에 생명 불어넣는 CG 기술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닮은 ‘연꽃 모양의 입’을 가진 ‘디지털 크리처’‘괴물’이 있었다.‘괴물’의
성공
은 한편으론 씁쓸함을 남겼다. 국내 디자이너가 무려 1년 4개월 동안 스케치만 2000여 장을 그려 ‘괴물’의 모습을 완성했지만, 정작 디자인에 생명을 불어넣는 컴퓨터그래픽(CG) 작업은 ‘메이드 인 ... ...
이전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