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너지 위기 해양조류로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대량 양식이 가능하고 에너지의 원료로 다량 사용해도 옥수수나 사탕수수와 달리
인간
의 식탁을 위협하지 않는다.현재 미국에서 바이오연료용 옥수수를 재배하는 면적은 약 850만ha(헥타르, 1ha=1만m2)다. 여기서 생산할 수 있는 바이오에탄올은 약 14만 5000L다. 그런데 같은 면적에서 재배된 해조류를 ... ...
우리 집 뒷강에 물귀신이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수압의 변화는 물론 미세한 소리의 진동을 느낀답니다. 이 두 기관으로 물고기는
인간
보다 더 미세한 음파를 들을 수 있어요.”닥터고글의 설명에 나소심 군은 물귀신을 만났을 때보다 더 놀랄 지경이다.“그럼 동자개 말고 다른 물고기들도 소리를 내고 소리를 느낄 수 있는 건가요?”“그럼요. ... ...
올림픽 기록 끌어올리는 스피도 'LZR 수영복'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바시트라신의 구성성분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아스파라긴의 가수분해로 얻을 수 있다
인간
에게는 비필수아미노산이다 혈액 속에 들어 있는 산과 염기 중 산이 증가한 상태 혈액의 산성 · 알칼리성은 탄산에 의한 산성과 중탄산에 의한 알칼리성의 상대적인 농도 비율에 의해 좌우된다 따라서 ... ...
1957년 조지 윌리엄스 교수의 자연선택 담은 노화진화이론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초파리에서 인슐린 수용체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생식력이 떨어지지만 수명은 길어진다.
인간
의 노화는 생식 확률을 최대한 끌어올리기 위한 자연선택의 결과라고 해석한 윌리엄스 교수의 이론은 많은 생명과학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고 그의 이론을 지지하는 연구결과가 계속 ... ...
여름방학과 여름휴가를 수학책과 함께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이해할 수 있게 안내한다. 컴퓨터 과학자로 인공지능 연구자이기도 한 저자는 이 책에서
인간
의 사고를 모방하는 컴퓨터와 인공지능의 미래도 전망하고 있다.★ 수학 걸유키 히로시 지음 | 김정환 옮김 | 동아일보사 | 1만 2000원“수학은 심장을 두근거리게 만드는 가슴 벅찬 게임”이라고 주장하는 ... ...
놀랄 때 눈 동그랗게 뜨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땐 코를 찡그릴까. 캐나다 토론토대 심리학과 아담 앤더슨 교수팀은 얼굴 표정이
인간
이나 동물이 살아남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가설을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6월 15일자에 발표했다.앤더스 교수팀은 컴퓨터를 이용해 공포, 메스꺼움, 행복, 슬픔과 같은 감정을 잘 드러낸 얼굴 표정(사진)을 ... ...
머리가 크다고 똑똑하진 않아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머리 크기는 상관없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영국 킬대 세스 그란트 교수팀은
인간
이 진화하면서 지능이 높아진 이유는 뇌가 커졌기 때문이 아니라 뇌의 신경세포 간 연결이 복잡해졌기 때문이라는 연구결과를 6월 10일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단세포 생물인 효모, 곤충인 ... ...
물 먹은 바오밥나무에서 해수욕 즐기는 펭귄까지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생활하기 때문에 열기와 난류가 흐르는 적도 부근을 넘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만약
인간
의 힘으로 펭귄들을 북극으로 옮겨 놓는다면? 전문가들은 기후와 먹이가 펭귄에게 적합하기 때문에 얼마든지 잘 살아갈 수 있다고 예측한다. 사막에 웬 홍수?나미비아는 남아프리카공화국 바로 위에 붙어 ... ...
1. 내 몸 지키는 식욕 호르몬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극복의 파트너그렐린은 식욕을 자극하는 ‘몹쓸’ 호르몬으로 오해하기 쉽지만 사실
인간
을 보호하는 ‘착한’ 호르몬이다. 몸은 체중이 늘어 에너지가 넘친다고 판단하면 그렐린의 분비를 줄여 음식 먹는 양을 줄인다. 반면 식욕이 없거나 체중이 줄 땐 혈중 그렐린 농도를 보통 때 보다 2배나 높여 ... ...
영혼을 잃고 헤매는 가엾은 육체의 광시곡 바디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걸어 무의식적인 기억을 되살려냈다는 소문을 듣는다. 무의식적인 기억이 가능할까.
인간
의 대뇌는 이성과 논리적 판단을 하는 전두엽, 감정과 기억에 관계된 측두엽, 운동과 감각 피질이 많은 두정엽, 시각피질이 밀집한 후두엽으로 나뉜다. 현재까지 알려진 연구결과에 따르면 기억은 뇌의 ... ...
이전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