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d라이브러리
"
적은
"(으)로 총 5,301건 검색되었습니다.
야광귀를 아시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2호
2006년 새해가 시작된 지도 보름을 지나 벌써 1월이 다 가고 있어요. 하지만 아쉬워 마세요. 1월의 마지막에는 민족 고유의 설날이 있으니까요. 또 한 번의 새해 첫날을 기다리면서 여러분은 무엇을 기대하고 있나요? 세뱃돈이라구요? 세뱃돈도 좋지만 이번 설에는 5000년 역사 동안 하나의 민족임을 고 ... ...
2. 정자 없이 수정하는 난자 처녀생식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아버지 없이도 자식이 태어날 수 있을까? 상식을 뒤집는 질문이다. 하지만 최근 생명과학 연구들을 보면 ‘이론적으로는’ 가능하다.실제로 지난 2004년 ‘아버지 없는 쥐’가 태어난 적이 있다. 정자 없이 난자 두 개가 만나 수정이 이뤄진 ‘처녀생식’의 결과였다. 당시 머지않아 레즈비언 커플도 ... ...
분자의 과속은 무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때는 지금으로부터 150여년 전. 프랑스의 어느 살롱에 모인 귀족들이 옥신각신 다투고 있다.귀족 1 : 그거 들었스왕? 달리는 말의 네 발굽이 땅에서 동시에 떨어진다고 함스왕.귀족 2 : 농~. 믿기 어렵스왕. 달리는 말의 네 발굽이 어떻게 땅에서 동시에 떨어지겠스왕? 그렇다면 말이 날기라도 한단 말 ... ...
언어는'웨' 바뀌는가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적어서 생기는 불편보다 편리한 점이 더 많기 때문이다. 권 교수는 “발음 가짓수가
적은
데도 큰 불편이 없는 것은 각 언어의 독특한 구조 때문”이라며 “만약 불편했다면 발음이 다시 바뀌었을 것”이라고 설명한다.언어학자들은 “언어 변화는 1세기 이상 긴 시간에 걸쳐 연구해야 한다”고 ... ...
차세대 하이브리드카 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일본 미쓰비시는 새로운 하이브리드카를 선보였다. 포 도어(4 door), 사륜구동 콘셉트카인 이 차는 1L 용량의 연료엔진과 4바퀴에 모두 전기모터가 달려 있어 화석연료보다 더 강한 전기의 힘으로 움직인다. 북반구의 열대 대양상에서 북동 무역풍의 영향을 받아 흐르는 북적도해류 북대서양을 환류 ... ...
개는 죽어서 우정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발견해 ‘하이포글리세미아지’에 발표했다. 그는 개가 저혈당 환자의 땀에 포함된 아주
적은
양의 ‘카테콜아민’이란 물질을 구별하는 것으로 추측했다. 사람과 개, 유전자 75% 공유한다사람과 침팬지에 이어 개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도 현재 진행 중이다. 지난 2003년 6월 미국 화이트헤드 ... ...
11개 중 2개의 진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Q수백 개의 금화가 가득 든 11개의 자루가 있다. 이 가운데 2자루에는 11g짜리 진짜 금화가, 나머지 9자루에는 진짜 금화를 복제한 10g짜리 가짜 금화가 들어있다. 접시저울을 단 한 번만 써서 진짜 금화가 든 자루를 찾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A이 문제는 너무나 유명해서 퍼즐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 ...
현실이 된 '투모로우'의 재앙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영화 ‘투모로우’의 재앙이 현실로 나타났다. 지구온난화의 재앙을 다룬 이 영화는 북극의 빙하가 녹으면서 북대서양의 따뜻한 해류가 끊겨 북반구 대륙에 빙하기가 온다는 내용이다. 불행히도 영화 속 상상 만이 아니었다.영국해양연구소 해리 브라이든 박사는 “지난해 북대서양의 남쪽에서 유 ... ...
3. 아시아로 세계로 아웃 오브 코리아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아웃 오브 아프리카’(Out of Africa).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프리카 케냐의 광활한 사바나 초원이 아름다운 영상으로 펼쳐지던 영화를 떠올릴 수 있겠다. 하지만 인류유전학을 연구하는 필자에게는 아프리카에서 아시아로 이주한 뒤 다시 여러 대륙으로 팽창해 나가면서 자연선택과 돌연변이, 도태 ... ...
5. 나랏말씀이 두뇌에 좋아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요즘 TV를 보면 서툰 한국어로 한국 연예인의 이름을 외치는 외국인 ‘오빠 부대’가 심심찮게 등장한다. 베트남이나 몽골에서도 한국어로 한국 가수의 노래를 흥얼거리며 따라 부르는 젊은이를 쉽게 볼 수 있다고 한다. 중국에는 한국어학과가 개설된 대학이 27개로 학생 수는 3942명이나 된다. 일본 ... ...
이전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