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나노세계 건설하는 두 가지 방법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이름을 붙였다. 탄소나노튜브와 은나노입자를 번역하면 난쟁이 탄소관, 난쟁이 은입자 정도로 부를 수 있다. 결국 나노기술이란 원하는 형태의 난쟁이 물질들을 만들거나, 물질을 구성하는 난쟁이들인 원자와 분자를 의도한대로 조절하는 기술을 말한다. 어떻게 과학자들은 이런 난쟁이들을 ... ...
- [Issue] 내 옷이 만든 재앙 해양 미세섬유의 습격과학동아 l2017년 05호
- 2010년까지 미세플라스틱 관련 논문이 14편뿐이었으나, 2011년 이후로 465편의 논문이 나올 정도로 미세플라스틱 자체가 과학자들이 최근에 관심을 갖게 된 주제”라면서 “미세섬유는 물론 미세플라스틱의 오염물질 흡착이나 독성에 대한 연구, 나노 크기의 플라스틱에 대한 연구 등 앞으로 해야 할 ... ...
- Part 1. 기대수명 90세는 통계의 환상?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방식보다는 메틸화 분석법이 훨씬 정확하게 기대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며 “메틸화 정도로 개인의 기대수명을 예측해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등 활용 범위가 넓을 것”이라고 말했다. + 더 읽을거리1) doi:10.1016/S0140-6736(16)32381-92) doi:10.1186/gb-2013-14-10-r1153) doi:10.18632/ag ...
- Part 4. 할아버지, 어떻게 그렇게 건강하세요?과학동아 l2017년 05호
- miRNA는 전령RNA(mRNA)의 말단에 결합해, mRNA가 단백질을 만드는 것을 방해한다. 22개 정도의 짧은 가닥이기 때문에 miRNA는 일종의 ‘범용 조절자’로 작동할 수 있다. 즉, 하나로 여러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다. 이론상으로는 수십~수백 개까지 가능하다. 특정 miRNA의 변화만으로 다양한 단백질의 ... ...
- Part 1. 헛걸음을 하지 않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찾는 건 일벌 중에서도 ‘정찰 벌’ 담당이에요. 정찰 벌은 벌집 근처에서 반경 10km 정도를 살펴봐요. 적당한 꽃 무리를 발견하면 집으로 돌아와 다른 벌들에게 꽃의 위치를 춤으로 알리지요.이 춤에는 벌집에서 꽃까지의 거리와 방향 정보가 들어 있어요. 집에서 꽃까지의 거리는 일정 시간 내에 ... ...
- [수학뉴스] 정수 남매의 수학 용어 사전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두 항을 2와 1로 바꾸면 어떨까요? 이 수열 역시 ‘루카스 수열’이라는 이름으로 불릴 정도로 유명해요. 이처럼 피보나치 수열의 규칙을 따르면서 초기 두 항을 다르게 정하면 다양한 피보나치 수열이 만들어져요. 이런 피보나치 수열은 경제 현상을 설명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일례로 ... ...
- 수학명언 책갈피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뜻을 알고 있나요? 무한대처럼 계속 늘어나지 않지만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큰 수에는 재미있는 이름이 있어요. 1 뒤에 0이 64개 붙어있는 수는 ‘불가사의’, 68개 붙어있는 수는 ‘무량대수’, 그리고 무량대수보다 0이 32개 더 많은 10100을 구골이라고 해요. 이 거대한 숫자에 이름을 지어준 사람이 ... ...
- [포커스 뉴스] 생물인 듯 생물 아닌 ‘프랑켄슈타인’ 바이러스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바이러스는 입자의 지름이 300nm(1nm는 10억 분의 1m) 로 광학현미경을 통해 볼 수 있을 정도로 컸고, 갖고 있는 유전정보도 방대했다. 유전체 속 염기가 157만 쌍에 달했는데, 이는 박테리아와 맞먹는 규모다. 특히 클로스노이바이러스는 생물처럼 단백질을 합성 해내는 유전자 번역 시스템을 거의 ... ...
- [Interview] “초대칭 이론, 아직은 흔적 못 찾아”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해결하는 가설 중 하나다(실제 관측되는 힉스 입자의 질량은 양성자의 100배가 조금 넘는 정도지만 이론에 따르면 훨씬 커야 한다). 물리학자들이 초대칭성을 좋아하는 이유는, 현존하는 세 가지 문제를 한꺼번에 풀 수 있기 때문이다. 힉스 입자의 질량뿐만 아니라, 암흑물질의 후보물질을 제시할 수 ... ...
- [Issue] 2070년 어린이날 웰컴 투 아스트로월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입술이 흔들릴 정도로 빠르게 달리다가 360°로 몇 바퀴 회전하는 롤러코스터, 웬만한 아파트보다도 높이 올라갔다가 1초 이내로 뚝 떨어지는 드롭타워…는 이미 식상하다. 울타리에서 나고 자라 이미 야생성을 잃어버린 지 오래인 사자와 호랑이도 시시하다. 앞으로 50년쯤 지난 미래에는 어떤 ... ...
이전3393403413423433443453463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