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가
참석
관여
출석
가입
조인
곁듣기
d라이브러리
"
참여
"(으)로 총 4,366건 검색되었습니다.
암호를 해독하기 위해 탄생한 컴퓨터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포탄과 미사일의 탄도계산을 하기 위해 발명했다. 에니악은 훗날 수소폭탄 개발에
참여
했다. 에니악의 결점은 기억장치가 없다는 것. 이러한 미국 중심의 컴퓨터 역사는 그동안 일급비밀로 감춰졌던 영국의 콜로서스가 공개됨에 따라 무너졌음은 물론이다.그런데 이번에는 미국 아이오와대학의 ... ...
우리나라 최초의 과학의 날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김성수(1891-1955), 이화여전 교수 김활란(1899-1970) 등 당시 내로라하는 1백여명의 사람들이
참여
한 ‘과학지식보급회’가 7월 5일 서울 공평동 태서관에서 결성됐다. 이후 과학지식보급회는 발명학회에서 운영하던 ‘과학조선’을 인수하고, 지방순회 강연회를 개최하면서 조선 과학대중화운동을 ... ...
히틀러와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두뇌들이 유출되는 것을 보고 매우 안타깝게 생각했으며, 히틀러의 우라늄계획에는
참여
하지 않았다. 하지만 전쟁이 끝나자 하이젠베르크와 더불어 연합군에게 억류됐다.히틀러 치하에서 독일 과학자들이 어떤 일을 했는지는 아직까지 베일에 싸인 것이 많다. 특히 인간생체실험에 대한 것은 ... ...
자연의 일부 생태건축 그린빌딩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박사는 “생태건축이란 기본적으로 건축을, 순환하는 자연의 한 고리에 넣어 생태순환에
참여
시키려는 발상”이라고 말한다. 이제 건축도 자연의 일부가 되는 길을 모색할 시점이라는 것이다.생태건축의 기본은 모든 면에서 자연과 친화하는 것이다. 언덕을 깎아 평지로 만들어 집을 지으려 했던 ... ...
④ 쥐 정소에서 사람 정자 성숙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미성숙한 정자를 쥐의 정소에서 길러 성숙하게 만들었다는 의미다.이 ‘실험’에
참여
한 남성은 정소에 결함이 있어 자체적으로 성숙한 정자를 만들지 못했다. 만일 원형정세포까지 만들 수 있다면 ROSI를 통해 임신이 가능하다. 하지만 훨씬 이전 단계인 정원세포나 제1정모세포에 머물고 있는 ... ...
천문학자 밴 앨런과의 대화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대부분 놓친다. 그런데 밴 앨런대가 내대와 외대로 구별되는 천체는 지구뿐이다.현재
참여
하고 있는 프로젝트는?1972년에 쏘아올린 파이어니어 10호가 26년째 운항되고 있다. 이 탐사선 프로젝트는 내가 직접 개입한 프로젝트다. 현 위치는 지구로부터 1.04×1010km 가량으로 아직도 자료를 보내고 있다. ... ...
중세) 절대불가침의 영역 적십자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구호의 상징’인 적십자 마크다.적십자가 창립된 계기는 1859년 이탈리아 통일전쟁에
참여
한 스위스의 뒤낭이 전쟁에서 구호단체가 필요하다는 내용을 쓴 ‘솔페리노의 회고’였다. 뒤낭은 부상을 당한 병사를 구하기 위해 국제적인 상설기관이 설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1963년 스위스 ... ...
한국과학문화재단 조규하 이사장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정예화된 전문인력은 더욱 필요하다. 또 과학문화재단과 더불어 과학문화운동에
참여
할 과학기술자, 일반인 회원들을 늘리는 일도 있다.“과학문화재단은 이제 시작입니다. 기술복권으로 예산의 숨통이 트였다고 하더라도, 겨우 과학문화운동의 뱃길이 잡혔다고 해서 앞으로 닥쳐올 파고가 결코 ... ...
인터넷 과학공부방 베스트 10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자세를 취하기 쉽다는 것이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문제에 대해 깊이 생각하고
참여
하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3. 신근섭 선생님의 홈페이지 http://hansung-sh.ed.seoul.kr/keunsup/index.asp한성과학고 물리 선생님인 신근섭 선생님의 홈페이지로 고등학교 수준의 체계적인 물리학습을 할 수 있다는 것이 ... ...
미래도시 생태산업공원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연구해왔다. 1993년에는 정부에서 주도한 G7 환경공학분야 연구과제의 기획과정에
참여
했으며, 1994년에는 ‘맑은물 연구센터’를 설립해 한국과학재단 장려연구센터로 선정되기도 했다. 1997-98년에는 시화호 수질관리대책을 세웠다. 지금까지 환경공학연구실은 20여명의 박사와 30여명의 석사를 ... ...
이전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