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성
특질
특색
성격
개성
성질
기질
d라이브러리
"
특징
"(으)로 총 4,511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닷물로 담수 만들기 첨단기술 6가지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제일 중요한 것은 얼마만큼 싸게 물을 만들 수 있느냐 하는 점이다. 현재 여러가지
특징
을 가진 해수 담수화 장치가 실용화되고 있는데, 지역조건이나 설계능력에 따라 방법 선정도 폭이 넓혀지고 있다 ... ...
국내 첫 컴퓨터 바이러스 연구소 세운 의학박사 안철수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힘든 요즘의 세태를 고려한다면 이같은 현상은 별 이야기거리도 못될 것이다. 범용성을
특징
으로 하는 컴퓨터가 한 두 '천재'에 의해 오늘날처럼 정보사회의 중심으로 우뚝 선 것은 아닐 것이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다양하다보니 이 매력적인 기계에 특별한 관심을 가진 사람이라면 그가 무엇을 ... ...
2 모델 동물실험 의약산업 혁명 눈앞에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것이다.분리된 유전자의 구조(염기서열)를 살펴보니 과연 호르몬을 만드는 유전자의
특징
을 갖추고 있고, 또한 생쥐를 굶기면 유전자발현이 증가했다. '비만' 돌연변이 생쥐는 이 유전자가 기능을 잃어버린 것임을 확인하게 된 것이다. 특히 흥미로운 것은 사람의 비만 유전자를 분리하여 분석해보니 ... ...
2 우주의 지름길 웜홀 통해 과거여행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그릴 수 있다. 만일 어떤 당구공이 오른쪽 구멍(웜홀의 입구)으로 들어가면 웜홀 구조의
특징
으로 인하여 왼쪽구멍으로 거의 동시에 나오게 된다. 만일 이 웜홀이 시간지연 현상에 의해 오른쪽 입구의 시간이 늦어진 타임머신이라면 과거로 여행한 셈이 된다. 그렇게 하여 왼쪽 구멍으로부터 나온 ... ...
생물- 곤충모형만들기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그 전에는 노랗지요.잠자리는 어떤 점이
특징
일까요? 잠잘 때도 접지 않는 날개가
특징
이지요. 또한 아주 큰눈을 가지고 있어요. 그래서 움직이는 물체를 쉽게 구별할 수 있지요.방법① 고무찰흙으로 머리 가슴 배를 만든다. 이때 배(꼬리)는 가늘고 길게 만든다.② 머리에 커다란 두개의 눈과 짧은 ... ...
옹기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구분하듯 옹기의 모양새가 지형지세 및 환경과 기후조건에 따라 형성되고 있는 점이
특징
으로 보인다. 즉 중부지역은 일조량과 기온이 높지 못하여 장을 담글 때 자외선을 중분히 쪼이기 위해 아구리를 벌렸으며 영호남지역은 중부지역에 비해 기온이 높고 일조량이 많아 아구리가 넓으면 ... ...
멧새, 바람피운 '아내'새끼 박대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검은머리쑥새와 유사한 종이다. 이 멧새는 우리가 아는 일반적인 새들과는 다른
특징
한가지가 있다. 우리가 아는 보통 새들은 교미기간에 한번 교미하여 알을 낳고 새끼가 부화하면 자랄 때까지 어미아비가 교대로 먹여서 새끼가 다 자라면 한 철이 끝나는 게 보통인데, 이 멧새는 한 철에 연속하여 ... ...
2. 거대체구, 냉혈로는 체온유지 불가능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확실히알 수 있다.이러한 자세로 움직이는 모습은 온혈성 동물들에게서 볼 수 있는
특징
이다. 이를 특히 고에너지 방식(high-energy system)의 행동이라고 하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행동방식이 많은 음식물을 섭취하고 왕성한 열량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행동양식은 곧 온혈성 동물에서만 ... ...
"자연과 인간 함께 사는 방법을 배웠다"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때문이죠. 또 숫놈과 암놈의 울음소리나 표현방법도 다른데, 이를 잘 연구하면 종의
특징
이나 혈통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되리라고 봅니다.안동식-전에 개인적으로 서산 간척지나 주남저수지 철원 등지에서 한 두번씩 탐조활동을 한 적이 있습니다만 이번에 원교수님과 함께 활동하면서 확실하게 ... ...
옛지도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어느 지도보다도 내용이 자세하고 정확한 지도라고 할 수 있다.대동여지도의 또 다른
특징
은 목판 인쇄본이라는 점이다. 정척과 양성지, 정상기의 지도는 모두 필사본이어서 그 수효가 한정돼 일반이 널리 볼 수 없었다. 그러나 대동여지도는 인쇄본이어서 내용이 똑같은 지도를 여러 벌 찍어낼 수 ... ...
이전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