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뉴스
"
유전자
"(으)로 총 5,099건 검색되었습니다.
[뉴스룸] 세계 과학계에 민폐 끼친 中 ‘디자이너 베이비’
동아사이언스
l
2018.11.29
능력과 DNA를 끊는 효소의 기능을 결합해 이전과 비교할 수 없이 정확하게 원하는
유전자
부위를 찾아 잘라낼 수 있다. 보다 많은 식량을 생산하는 작물이나 가축을 개발할 때나 난치병 치료, 질병 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제는 요술 빗자루를 손에 넣은 동화 속 어린이처럼 이 도구의 ... ...
신희섭 IBS 단장, AAAS 펠로우 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18.11.28
주제로 뛰어난 연구 성과들을 발표해 왔다. 올해 4월에는 공감 능력 조절 메커니즘을
유전자
수준에서 처음 밝혀 공감 능력에 장애를 가진 정신질환 치료 연구에 새로운 단서를 발견했다. 수면 중 뇌파를 조절해 학습 기억력을 2배 높여 지난해 국제학술지 ‘뉴런’에 발표한 연구논문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놀리틱은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을까
2018.11.28
보고했다. 바야흐로 노화 연구에 새 지평이 열린 셈이다. 그러나 한계도 있다.
유전자
를 조작해 노화 세포를 선별적으로 없애는 방법은 임상에 적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이런 작용을 하는 약물을 찾기로 하고 세놀리틱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세놀리틱(senolytic)은 senescence(노화 ... ...
“
유전자
교정한 아기 태어났다” 中 과학자 주장
동아사이언스
l
2018.11.26
결국 그 해 12월 초, 미국국립과학원과 영국 런던왕립학회, 중국과학원 등이 함께 ‘인간
유전자
교정에 관한 국제 회담’이 열리게 된 계기가 됐다. 이번 연구는 아직 정식으로 동료 평가를 기다리고 있어 성공 여부를 논하기 어렵다. 하지만, 연구 결과에 앞서 배아를 직접 교정해 실제 아기를 ... ...
분자→세포→장기 순으로 연구… ‘상향식 생물학’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6
G) 티민(T) 시토신(C) 등 4종류의 염기를 이용해 만든 인공 DNA 분자를 박테리아에 넣어
유전자
473개, 염기쌍 53만1000개를 가진 인공세포를 만들었다.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연구진이 만든 생후 25~39개월 아기 수준의 규칙적인 뇌파를 생성하는 인공 미니 뇌. -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제공 ... ...
UNIST 대학원생, 한국 최초로 머크 생명과학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8.11.25
결과다. 그는 “TonEBP 단백질의 생성 정도를 보고 간암 예후를 예측하거나 이를 만드는
유전자
를 억제해 간암 재발과 전이를 막는 방법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며 "실제로 의약품을 만드는 기업에서 연구내용을 높이 평가한 만큼 상용화 가능성도 클 것 같아 뿌듯하다”고 말했다. 향후 암세포가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매번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당신은 '마이너리티'
2018.11.25
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인간의 성격은 다양한 요인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어느 단일한
유전자
변이로 단정지어서는 안됩니다. 게다가 어느 인구집단에서나 DRD4 III 7 repeat를 가진 사람은 소수입니다. 아무리 진취적인 집단에서도 여전히 마이너리티입니다. 대부분의 집단에서 DRD4 III 4 repeat가 ... ...
[암호기술 혁명]④프라이버시 지키며 유전체 빅데이터 연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24
암 발생에 얼마나 기여하는지 반영한 예측 모델을 얻을 수 있다. 이 모델에 누군가의
유전자
변이 정보를 입력하면 그 사람의 암 발생 가능성을 알 수 있다. 이 과제를 해결하겠다고 전 세계에서 약 30개 연구팀이 참가 신청을 했다. 최종적으로 완성 모델을 제출한 팀은 천 교수팀을 포함해 7개 팀에 ... ...
암 발생
유전자
, 알고 보니 알츠하이머 치료제 후보
동아사이언스
l
2018.11.23
엠보 리포트(EMBO reports) 11월 1일자로 게재됐다. 성균관대 연구진은 젊은 뇌에서
유전자
‘Ttyh1’을 발현이 신경줄기세포 인근 지역에 더 많이 존재하고 있다는 사실을 면역염색법을 통해 밝혀냈다. 성균관대 제공 ... ...
곰팡이로 오해받는 김치 표면막 정체는 '독성 없는 효모'
동아사이언스
l
2018.11.22
김 책임연구원은 “5종의 효모들의 전체
유전자
에서 독성을 띠는 물질을 만드는
유전자
는 확인되지 않았다”며 “골마지가 생긴 김치가 건강에 큰 문제는 없지만 추가 동물 실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골마지를 예방하기 위해선 김치를 포장할 때 모든 부분을 국물에 잠기게 하거나 ... ...
이전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