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뉴스
"
한계
"(으)로 총 3,999건 검색되었습니다.
양극화된 미래를 그린 영화 ‘엘리시움’과 스위스의 ‘기본소득’
2016.06.18
정도다. 물론 기본소득이 궁핍은 해결할 수 있지만 권태와 방탕은 해결할 수 없다는
한계
점이 분명하기 때문에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역소득세(Negative Income Tax)도 함께 소개하긴 했지만, 자본주의의 핵심 동인인 소비의 근간을 마련하고 궁핍을 해소할 대안의 시발점으로 테크노 경영학자들이 ... ...
차세대 반도체 소재 ‘흑린(검은색 인)’이 뜬다
2016.06.14
있지만, 용량이 늘어날수록 요구전압이 커지고 한 번에 읽고 쓰는 속도를 높이는 데도
한계
에 다다르면서 새로운 반도체 소재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연구팀은 메모리를 저장하는 데 전자만을 이용하는 실리콘과 달리, 흑린이 전자와 정공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양극성 소재’라는 점에 ... ...
최대 8배까지 늘어나는 투명전극 개발
2016.06.13
윤석구 고려대 기계공학부 교수(왼쪽)와 논문 제1저자로 참여한 안성필 연구원. - 고려대 기계공학부 제공 8배까지 쭉 늘려도 끄떡없이 전기가 흐르는 유연한 투명전극이 개발됐다. 윤석구 고려대 기계공학부 교수팀과 알렉산더 야린 미국 일리노이대 교수팀은 공동으로 고분자 나노섬유에 구리를 ... ...
신생아가 행동 따라한다는 속설, 틀렸다
과학동아
l
2016.06.13
기존의 연구들이 혀를 내밀거나 입을 크게 벌리는 한정된 행동으로만 실험을 해온
한계
를 극복하기 위해서다. 관찰 결과 아기들은 단 하나의 행동도 정확히 따라하지 못했다. 슬로터 교수는 “기존 연구들은 아기를 대하는 어른의 행동을 정확하게 통제하지 않은 채 아기의 반응만을 관찰했다”며 ... ...
살아있는 두뇌 속 실시간 관찰 ‘두개골 윈도’ 개발
2016.06.13
두개골 윈도는 단단한 재질 탓에 뇌에 직접 자극을 주거나 시술을 하지 못한다는
한계
가 있었다. 연구팀은 유연한 재질의 투명 플라스틱 ‘PDMS’를 이용해 뇌 속 관찰은 물론이고 뇌혈관이나 뇌세포에 직접 시술을 할 수 있는 ‘소프트 윈도’를 개발했다. 생쥐를 통해 실험한 결과 대뇌 뇌세포 중 ... ...
연구개발서비스 일자리, 2025년까지 12만 개 만든다
2016.06.09
활성화 방안’을 심의·확정했다. 폐쇄형 연구개발로 인한 신산업 발굴의
한계
를 느끼고 있는 상황에서 연구개발서비스업을 미래 성장 동력으로 적극 육성해 고급 일자리를 12만 개를 창출한다는 취지다. 2009년 221개에 불과하던 연구개발서비스기업은 지난해 857개로 빠르게 성장했다. 정부는 ... ...
단백질, 축구공 모양 탄소 분자 만나자 전기 통하네
2016.06.06
촉매제나 의약품 등에 많이 쓰이는 나노 물질이지만 같은 분자끼리 뭉치는 현상이
한계
로 작용했다. 또 생체 재료로 쓰기 위해 단백질과 결합시키려는 시도가 많았지만 원자 수준의 구조는 파악하지 못했다. 연구진은 단백질 수용액에 플러렌을 녹이고 초음파를 쏘이는 방식으로 단백질-플러렌 ... ...
빛의 파장보다 작은 물체 관찰하는 ‘메타렌즈’
2016.06.05
그래서 복잡한 형태로 여러 개의 렌즈를 겹쳐서 사용해야 했다. 메타렌즈는 이런
한계
를 넘어섰다. 렌즈에 굴곡을 만드는 대신 나노 크기의 이산화티타늄으로 만든 핀을 평면의 유리 표면 위에 배열했다. 이렇게 만든 표면을 ‘메타표면’이라 하는데, 메타표면은 입사된 빛의 방향을 틀어 특정 ... ...
유전공학 인간 만드는 세상 올까… 유전자 ‘쓰기’ 연구 출범
2016.06.03
여는 것이어서 윤리적인 우려를 낳고 있다. 과학자들은 “이번 프로젝트는 기술적
한계
와 이론에 그쳤던 개념들을 기하급수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 강조했다. 하지만 이번 프로젝트가 성공하기 어렵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었다. 합성생물학자인 톰 엘리스 임페리얼컬리지 런던 교수는 ... ...
될 수 있다! 스파이더맨!
수학동아
l
2016.06.03
실험을 했다. 그리고 당당히 실험에 성공했다! 놀랍도록 우수한 자연을 흉내 내 인간의
한계
를 극복하고 ‘스파이더맨’을 탄생시킨 것이다. ※ 논문 ‘Extreme positive allometry of animal adhesive pads and the size limits of adhesion-based climbing‘, ’Human climbing with efficiently scaled gecko-inspired dry ... ...
이전
339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