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0,904건 검색되었습니다.
- 피라미드에 숨겨진 퍼즐수학동아 l201011
- 많이 남아 4개를 더 만들었죠. 만든 피라미드를 쌓았더니…. 앗! 놀라운 일이 벌어졌어요! 큰 정사면체에 정팔면체 모양의 구멍이 생긴 거예요. 삼각형으로 정사면체와 정팔면체를 모두 표현한 거죠. 제 작품 어떤가요 ... ...
- 부등식, 동물세계의 재판관 되다수학동아 l201011
- 바치면 용서하겠노라.”● 엉터리 동상을 찾아라 산신령의 경고를 들은 동물세계는 큰 소란이 일었어요. 두 나라의 장군들은 서로를 의심하며 아웅다웅 시간만 보내고 있었습니다. 이때 용맹한 호랑이 왕이 위엄 있는 목소리로 이야기합니다.호랑이 왕 : 다들 진정하시오. 우리에겐 시간이 얼마 ... ...
- 짜릿한 전기 세상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011
- 바람의 혼란이 줄어들었어요. 그 그 결과, 정말 마법 같이 여러 개의 작은 풍력발전기가 큰 발전기만큼의 전기를 만들어 냈답니다.전기장? 자기장?전기장 : +전하와 -전하 같이 서로 다른 전하 사이에는 잡아당기는 힘이 생기고, +전하와 +전하처럼 같은 전하 사이에는 미는 힘이 생겨요. 이 힘이 ... ...
- 제1게임 먼저 두는 사람이 유리한 오목수학동아 l201011
- 오목판에 돌을 둘 수 있는 경우의 수는 (15×15)!=225!로 약 10105이다. 읽을수 없을 정도로 큰 수다 보니 경우의 수를 일일이 따져 가며 오목을 두는 것도 불가능하다. 돌 하나를 두기 위해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돌을 놓을 수 있는 곳의 가치를 매겨 높은 곳의 경우만 따져가며 ... ...
- 다리엔 왜 줄이 많을까?수학동아 l201011
- 때문에 긴 다리가 필요한 곳에 많이 쓰인다. 예를 들어 바다 위를 가로지르는 다리는 큰 배가 지나다닐 수 있게 만들어야 한다. 높이도 높아야 하지만 무엇보다 기둥 사이의 거리가 넓어야 안전하다. 일본의 아카시 해협에 지은 아카시대교는 세계에서 기둥 사이의 거리가 가장 긴 다리로 그 ... ...
- 캐나다, 선배가 수학 도우미로 나선다수학동아 l201011
- 학생을 보면서 우리나라 학생이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다.우리나라 수학교육과 가장 큰 차이점은 제도에 있다. 학생의 진로에 따라 4년제 대학에 진학하려는 학생은‘학문적인 수학’을 배우고, 2년제 대학 진학이나 중등학교 졸업만을 원하는 학생은‘응용 수학’을 배운다. 두 수업은 교과서뿐 ... ...
- 수학아, 놀자!수학동아 l201011
- 계획하고 총괄한 미동초 김연비 선생님은 “올해는 시범으로 운영했는데, 내년에는 더 큰 수학체험전을 계획하고 있으니 기대해 달라” 고 말했습니다 ... ...
- 교육 선진국 스웨덴·핀란드 교사단, 한국에서 한 수 배우다수학동아 l201011
- 만들 수 있대. 작은 구조물을 만들고 싶다면 가위로 연결봉을 잘라 사용하면 되고, 큰 구조물을 만들고 싶다면 연결봉을 여러 개 연결해서 사용하면 되지. 또 여러 종류의 연결대를 이용해 0°부터 360°까지 다 표현할 수 있어. 특히 무게가 가벼워서 거대한 구조물을 만들어도 위험하지 않아. 이 ... ...
- 제2의 지구 찾아 삼만 광년과학동아 l201011
- 공전하는 행성을 찾을 뿐만 아니라 그 행성의 환경이 어떤지를 알아내기도 한다. 가장 큰 관심사는 역시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지, 혹은 사람이 가서 살 수 있는지의 여부다.가장 중요한 판단 기준은 행성의 온도다. 행성이 너무 차갑거나 뜨거우면 생명체에 필수적인 액체 상태의 물이 있기 ... ...
- 외계행성을 지구처럼과학동아 l201011
- 영구히 정착해 살아갈 계획이라면 서로 다른 환경에서 고립돼 살아간다는 것은 큰 문제가 된다. 오랜 세월이 흐른 뒤 각각 다른 행성에서 살고 있던 두 집단이 다시 만났을 때 둘 사이의 생물학적인 차이는 현재 지구의 인종 차이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커질 것이다. 만약 서로 아이를 낳을 수 없을 ... ...
이전3403413423433443453463473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