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법
양식
스타일
형식
수단
방책
규범
d라이브러리
"
방식
"(으)로 총 6,226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닷물로 농사를 짓겠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최신 기술인 역삼투식 담수 시설이 더 많이 건설되고 있는 추세예요. 한국도 역삼투
방식
의 담수 시설을 건설하고는 있지만 아직 핵심 기술을 100% 국산화하지는 못했어요. 지금 한국기계연구원과 광주과학기술원을 중심으로 연구가 한창이니까 조만간 우리 기술만으로 만들 수 있을 거예요. 그런데 ... ...
마법 같은 제2의 양자혁명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SF소설에나 나오는 순간이동을 연상케 하는 양자 원격전송은 완전히 새로운 공간이동
방식
이었다.그리고 이때부터 봇물 터지듯 양자 원격전송과 관련된 수많은 연구가 쏟아졌다. 1997년 안톤 자일링거 교수는 세계 최초로 양자 원격전송 실험에 성공하며 양자역학의 새 시대를 예고했다.또 지생 ... ...
자연 속 하이테크놀러지 새 둥지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확인하는 분야에 한정돼 있었지만, 앞으로 새의 생태를 섬세하게 보여주는 새로운 연구
방식
이 나오길 기대한다.진정한 기다림의 미학“자연다큐멘터리 PD로 산다는 것은?” 언젠가 KBS환경스페셜에서 자연다큐멘터리만 10년 넘게 만들어온 선배에게 자연다큐멘터리 PD로 산다는 것이 무엇인지 ... ...
몸에서 에너지 뽑는 인간발전소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미국 MIT 미디어랩 니콜라스 네그로폰테 교수팀이 개발한 ‘100달러 노트북’도 자가발전
방식
을 채택했다. 노트북 측면에 발전용 손잡이가 달려 있어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제3 세계학생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팔을 일부러 돌리지 않고 그저 걷기만 해도 전기가 생기는 장치도 ... ...
2020년 한국판 아이언맨 나온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딴 로봇은 여럿 개발되고 있지만 두 날개를 펄럭이며 실제 파리가 날아가는 것과 똑같은
방식
으로 비행하는 로봇이 개발된 경우는 처음이다. 현재 로봇의 날개는 초당 150회 움직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서는 이런 군사용 나노로봇이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전투기에 ‘투명망토’ 입혀최첨단 ... ...
얼리어답터들이 만든 MP3 플레이어 ‘반디’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SAFA’라는 MP3 브랜드로 널리 알려진 천보전자는 터치키에 진동을 추가한 진동스크롤
방식
을 MP3 플레이어에 최초로 도입했다. 터치키는 노트북의 터치패드와 같은 기능을 하는 장치로 볼륨을 조절하거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해 손을 대면 그 아래에 있는 전극막이 눌리면서 전위차가 발생한 지점의 ... ...
[생물]광학이성질체의 양면성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경할과 위할이 교대로 계속 일어난다. 난할은 난황의 위치와 양에 따라 다양한
방식
으로 나타난다. 성게나 사람의 난자처럼 난황이 비교적 고르게 분포돼 있는 등황란은 등할을 하고, 개구리나 물고기처럼 난황이 식물극 쪽에 치우쳐 있는 란을 단황란이라고 하는데 이 중에서 약단황란은 부등할을, ... ...
과학으로 지키는 독도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활동 중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현철 박사는 “SCUFN(위원 총 12명)의 해저지명 등재 결정
방식
이 만장일치에서 다수결로 바뀐다”며 “우리 해저지명을 논문, 교과서 등에 많이 사용해야 유리하다”고 밝혔다.국토해양부는 독도 부근 해저지형에 해오름해산, 한국해저간극, 심흥택해산, 이사부해산 ... ...
확률과 통계의 함정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기록의 기울기(α)보다 더 가파르기 때문에 2156년 쯤 두 직선은 교차한다. 하지만 같은
방식
으로 추론한다면 2900년쯤에는 100m 기록이 0초가 되는 이상한 결론이 나온다.이런 오류는 미래가 현재와 같은 추세로 기록이 단축된다는 잘못된 가정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100m 기록을 11초에서 10초로 ... ...
자기조립의 꿈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지금까지는 반도체 칩처럼 복잡한 구조물을 만들 때 로봇으로 부품을 집어서 맞추는
방식
을 사용했다. 즉 로봇 팔이 반도체 칩이나 디바이스를 집어 배치하는 과정을 기계적으로 반복하는 ‘픽앤플레이스’(pick-and-place) 방법이 일반적이었다.하지만 이 방법의 가장 큰 단점은 로봇 팔이 집어야하는 ... ...
이전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