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대량
최고
d라이브러리
"
최대
"(으)로 총 4,326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의 난제 π값 계산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하는 점이다. 아르키메데스의 사고법을 전하는 그의 저서 '방법의 발견'은 20세기
최대
의 대발견으로 일컬어진다.1906년 콘스탄티노플 수도원의 도서실에서의 일이다. 그의 논문은 모두가 완벽했지만 어디에도 그가 어떻게 해서 그런 생각을 하게 됐는가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이 없었다. 오랫동안 ... ...
생물- 수질오염원인 과학적 탐구요령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있는가? 자료의 해석 및 결과의 분석3물고기가 생존할 수 있는
최대
수온과 북한강의
최대
수온을 비교한 결과 물고기가 죽은 8월에 송어는 타격을 받겠지만, 다른 물고기는 생존에 지장이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온도가 물고기 죽음의 원인이라고 할 수 없다.가설의 설정 4가설 4. 용존 ... ...
1 한번쓴 자원, 원상회복 안된다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상태라고 하는데 이를 우주의 종말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열사상태는 엔트로피가
최대
인 상태로 생명체나 어떤 물질 분자도 없고 열만이 존재하는 상황이다.유일하게 한정된 자원이 아니면서 지구의 엔트로피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아닌 것은 태양에너지 정도다. 지구의 엔트로피를 ... ...
인터네트 필수상식 25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계정을 만들어, 누구나 접속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최대
인원수에 제한이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FTP 서비스를 익명 FTP(anonymous FTP)라 한다.익명 FTP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익명 FTP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ftp를 이용해 접속한 후(예:ftp ftp.sogang.ac.kr) login 프롬프트에서 ...
원자로 기술자립의 표본 한국형 경수로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알려져 있다. 서방의 전문가들은 러시아형 경수로가 화재 등 비상시에 취약한 것이
최대
약점이라고 말한다. 더구나 44만kW짜리의 경우 격납용기조차 없다. 따라서 러시아형의 건설비는 한국형에 비해 반밖에 들지 않는다(한국형은 1백만 kW짜리 건설비용이 1조7억원 ).과거 동독은 러시아형 경수로 ... ...
PART 2. 무진장의 자원이용, 공업화 5단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좋기 때문이다.■ 연료가스회수월면에서 쏘아올린 우주선의 배기가스, 특히 수증기를
최대
로 획득해 재이용하는 방법이다. 우주선 발사시 고온의 배기가스가 분출되는데 이를 회수해 냉각시켜 물을 응축시키는 방법. 달에서는 물이 귀하기 때문에 이 방법으로 물을 얻으면 연료값을 충당할 수 있다 ... ...
'양치식물의 천국' 제주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나무에 붙어서 식생하는 일엽초, 밤잎고사리 등을 볼 수 있었다.넷째날제주 사상
최대
의 폭우. 태풍 버그가 사라지기 직전에 흘린 눈물이라는 이 비로 하루 강수량이 9백mm에 육박했다. 탐사는 바람을 동반한 폭우 속을 헤치고 강행되었지만 많은 한계가 있었다.먼저 한라산국립공원 900m 고지에서는 ... ...
목성고별관측 - 혜성충돌자국선명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같이 하는 행성이 하나있다. 바로 이달 27일 동방
최대
이각이 되는 수성이다.이때 수성의
최대
이각은 26도 08분이고 밝기는 0.1등급으로 토성보다 밝지만 지평선 근처라 상대적으로 어두워 보인다. 그리고 이 각은 크지만 적위값이 작아 태양이 지고 곧바로 따라 지므로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다행인 ... ...
지구과학 - 16세기 과학혁명의 주역 지동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돌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그림2).[생각해 보기] 금성의
최대
이각에 비해 수성의
최대
이각이 작은 이유를 공전 궤도와 관련지어 생각해 보자. 갈릴레오와 망원경천문학자로서의 갈릴레이는 태양계에 대한 프톨레마이오스의 체제를 그대로 받아 들이는 대신 자기가 직접 망원경으로 관측한 ... ...
달착륙 4반세기 새로운 도전 NASA 우주센터를 가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다시 부착시키고, 우주왕복선이 지구궤도를 무사히 순회할 수 있는지를 최종점검한다.
최대
로 4대까지 재조립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우주왕복선은 한번 쓰면 폐기되는 것이 아니라 재사용할 수 있는 우주비행체이기 때문에 건강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여기서 삐끗하면 하루 아침에 공든 ... ...
이전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