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결방안
해결책
솔루션
d라이브러리
"
해결방법
"(으)로 총 4,088건 검색되었습니다.
손톱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건강의 창」으로 통하는 손톱은 간질환 심장질환 당뇨병 등 전신성 질환을 미리 암시하기도 한다.눈을 마음의 창이라고 한다면 손톱은 건강의 창이라고 부를 수 있다. 신경도 피도 통하지 않는 각질부, 그야말로 죽은 세포덩어리에 불과한 손톱을 가리켜 건강의 창이라니. 아마도 의아롭게 생각 ... ...
단백질의 위력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단백질은 과히 신통치 않게 들리는 단어로서 영양분을 연상시킨다. 우리는 단백질과 많은 탄수화물과 약간의 지방질을 섭취해야 한다. 사람들은 가공식품을 살 때 함유목록을 훑어보곤 하는데 이는 지방질보다는 단백질의 양이 더욱 많기를 기대하기 때문이다. '고단백질' 시어리얼이 있는가 하면 ... ...
스타시티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인류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를 쏘아올리고 최초의 유인 우주비행을 성공시킨 곳. 요즘에는 미르를 건설해 우주시대를 앞당기고 있는 스타시티를 가보자.'별의 도시'(Star city). 이름만 들어서는 과학소설속에 등장하는 은하계, 혹은 태양계에 있는 별에 건설된 우주도시를 연상케 하는 도시 ... ...
5 파일럿이 되는 길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국내에서 항공기조종사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과정을 밟아야 하는 걸까? 인간이 만든 최초의 동력추진 비행기로 하늘을 난 것은 1903년 12월17일 캐롤라이나 북부 키디호크 모래언덕에서였다. 용감하고 지혜로운 라이트 형제는 인류의 오랜 꿈을 현실로 만들어낸 것이다.우리나라에서는 1922년 12월1 ... ...
정자(精子)전쟁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정자는 최종결승점을 향해 경쟁적으로 질주한다. 마침내 하나의 정자가 난자의 외벽을 뚫고 나면…생명체란 살아있는 모든 것이라고 간단히 정의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면 움직이고 변화에 반응하며 성장하고 생산(生產)이 가능한 존재다. 그러면 생명의 시작은 어디서부터일까. 이 문 ... ...
바늘구멍 하나가 세계를 바꾼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원양어선을 타던 존은 배 창고의 통기구멍을 응용한 각설탕 포장지를 만들어 미국 각설탕이 세계를 지배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발명에도 방법이 있다. 모든 일이 그렇듯이 방법을 알면 손쉽게 할 수 있다. 발명도 예외가 아니다.첫번째 방법은 '더하기 발명'이다. 시멘트(㉠)와 모래나 자갈(㉡)과 물( ... ...
컴퓨터 그래픽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하나의 그림이 백마디 설명보다 가치있다.' 컴퓨터환경이 문자정보에서 점차 그림정보로 옮겨감에 따라 그래픽이 핵심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영화 광고 애니메이션 기초과학 의학 등에 널리 쓰이는 컴퓨터그래픽은 어떻게 시작됐을까.글자가 없는 시대에도 그림은 있었다. 그림은 최초의 만국 공 ... ...
세계 최초 초전도선 야마토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일본 미쓰비시중공업은 최근 길이 30m 속도 8노트를 지닌 초전도 시험선 야마토를 진수했다.선박은 프로펠러에 의해 추력을 발생시켜 추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최근 프로펠러가 없는 획기적인 추진장치인 전자추진장치가 초전도 물질의 발달과 더불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선박의 전자추 ... ...
준비는 완료, 장기확보가 문제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조직형 검사의 고도화, 면역억제제 기능향상 등을 기반으로 많은 국내 의료진들이 비공개적인 동물실험을 통해 이식수술의 기술을 확보했지만 뇌사인정 등 사회적인 공감대가 형성되기 전에는 이식수술 확대를 기대하기 어렵다.지난 3월 19일 인제대의대 서울 백병원에서는 국내 두번째의 간이식 ... ...
로봇 3형제의 묘기대행진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대전EXPO에서는 꿈돌이 안내 로봇과 기념촬영도 하고 로봇이 새겨준 얼굴조각도 받고 사물놀이로봇이 연주하는 우리의 전통가락도 감상할 수 있다.많은 사람들에게 첨단과학을 상징하는 물체를 하나 예로 들라면 아마 십중팔구는 로봇이라고 말할 것이다. 로봇의 개념이 처음 등장한 것은 1910년 체 ... ...
이전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