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찬성
저항
이의
상반
역
항쟁
항거
뉴스
"
반대
"(으)로 총 3,440건 검색되었습니다.
E=mc² 아인슈타인만의 것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역시 그렇게 명쾌한 것은 아니다. 아인슈타인은 부피가 없는 가상의 점입자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빛을 내보내는 상황에 대해 고정 좌표계와 일정 속도로 이동하는 좌표계에서 바라볼 때(상대론적 도플러 효과) 차이를 교묘하게 계산해 E=mc²라는 관계를 발견했다. 즉 복사를 하면 점입자의 질량이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놀라운 발견이 있었지만 이것들은 생물다양성 세계지도에 작은 점을 찍는데 불과했다.
반대
로 우즈의 고세균 발견은 새로운 대륙을 발견한 것과 같다.” 이렇게 좋은 말로 시작하지만 곧 본색이 드러나 “여기서 우즈가 생물학자로 교육을 받지 않았고 따라서 분류의 원리에 대해 친숙하지 않다는 ... ...
핵폐기물 부피도 반감기도 뚝~‘파이로프로세싱’의 모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손쉽게 얻을 수 있지만, 핵무기 제조에 악용될 수 있다는 것 때문에 미국은 결사
반대
하는 방법이다. 우리나라와 미국이 공동연구를 통해 개발하고 있는 건식 재처리 방법인 ‘파이로프로세싱’ 을 써서 재활용할 수도 있다. ‘파이로프로세싱은 금속 처리방법과 비슷하다. 쇳덩어리를 제련하고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복제의 길을 열었다는 비난도 받았는데, 그 자신은 동물복제를 옹호하면서도 인간복제는
반대
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15. 루이즈 존슨 (1940. 9.26 ~ 2012. 9.25) 구조생물학 발전에 기여한 결정학자 20세기 후반 생명과학이 눈부시게 발전하게 만든 두 축은 분자생물학과 구조생물학이라고 할 수 있다.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한편 남아프리카는 인종차별정책으로 악명 높았는데 토비아스는 학창시절부터 이에
반대
하는 운동에 적극 참여했다. 1948년 비인종남아공학생국가연합 대표를 맡았고 이후 40년 동안 줄기차게 반인종주의 활동을 이끌었다. 남아공의 인종차별정책은 1993년 막을 내렸다. 1999년 넬슨 만델라는 그의 ... ...
천문대에서 제임스 딘을 만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찾아와 경치와 함께 우주도 즐기는 모습이 참 좋아 보인다. 천문대 건물에서 내려오니
반대
편 산등성이 쪽에는 할리우드(HOLLYWOOD)라는 영문 표지판이 멀리 보인다. 또 난간 앞쪽에는 제임스 딘의 흉상이 단 위에 놓여 있다. 교통사고로 24살의 젊은 나이에 죽었지만 전 세계인에게 강렬한 인상을 ... ...
건강하게 오래 살려면 1日1食해야 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따라 수명연장에 칼로리 제한은 효과가 있지만 SIR2는 효과가 없는 경우도 있었고 그
반대
인 경우도 있었다. 어떤 균주는 SIR2 유전자가 없어도 칼로리 제한으로 오래 살았다. 결국 이들은 2004년 SIR2 과발현과 칼로리 제한은 서로 관련이 없다고 주장하는 논문을 발표했다. 가렌티 교수는 이들의 논문에 ... ...
촛불 하나만 있으면 빙글빙글 멋진 모빌 완성!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공기가 데워지면서 공기의 흐름이 바뀐다. 따뜻해진 공기는 가벼워져서 위로 올라가고
반대
로 차가운 위쪽의 공기는 상대적으로 무거워져 아래로 내려온다. 이런 현상을 ‘대류’라고 하며 이런 흐름이 나선 모형을 밀어 올리기 때문에 빙글빙글 회전하는 것이다. 대류 현상은 온도에 따라 밀도가 ... ...
지구의 날에 대형 산불이?
동아사이언스
l
2013.04.23
지역이다. 일반적으로 따뜻한 바다에 더 많은 생물이 살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그
반대
다. 초록색과 빨간색으로 보이는 지역은 파란지역 보다 온도가 낮고 영양분이 풍부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생물들이 살고 있다. 특히 대륙주변에서 영양분이 많고 생물이 많이 서식할 수 있는 이유는 ... ...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4.01
말의 5번 염색체가 쪼개져 프르제발스키 말의 23번과 24번 염색체가 됐음이 밝혀졌다(그
반대
일 수도 있다). 그럼에도 둘의 염색체는 전반적으로 구조가 유지돼 있다. 따라서 생식세포를 만드는 감수분열에서 염색체 쌍이 배열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거의 생기지 않는다. 1974년 학술지 ... ...
이전
340
341
342
343
344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