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스페셜
"
교수
"(으)로 총 5,542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에게 바이러스 주입하는 '휴먼챌린지' 안전한 백신 만드는데 기여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7.02
주장이 나온 것은 이례적이다. 미건 데밍 미국 매릴랜드대 의대 백신개발국제보건센터
교수
와 ‘코로나19치료개입및백신가속화 워킹그룹’ 소속 연구자들은 “휴먼챌린지 과정을 포함한 ‘통제인간감염모델(CHIM)’을 통해 전통적 백신 개발보다는 빠르고, 현재 팬데믹 하에서 긴급하게 이뤄지고 ... ...
코로나19 중증 환자 폐 이식 국내 최초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07.02
조절하고 재활운동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형수 한림대 성심병원 흉부외과
교수
는 "코로나19 환자 중 국내에서 최고의 중증치료 사례였으며 환자의 폐를 떼어낼 때 건강한 폐와 다르게 크기도 작게 수축 되었고 마치 돌덩이처럼 폐가 딱딱한 느낌이었다”며 “건강하고 젊은 코로나19 ... ...
[과학게시판]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현장 간담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7.0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충북 오창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 하위법령 개정을 위한 현장 간담회를 개최한 ... 또는 부서장, 국내외 과학기술관련단체 또는 기관의 장, 박사과정이나 박사후 연구과정 지도
교수
다 ... ...
별 핵합성 규명·신경모방 소자 개발 등 개인연구자 17명에 각각 72억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20.07.01
최원용 포스텍
교수
, 차세대 헬스케어를 위한 디지털 기술을 연구하는 권성훈 서울대
교수
가 선정됐다. 2020년도 선도연구센터에는 모두 18개의 연구단이 선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과기정통부는 10인 내외의 우수 연구집단에게 한 해에 14억~20억씩 7년간 지원하는 ‘선도연구센터’ 선정 ... ...
"광범위한 검사가 코로나19 확산 막았다" 이탈리아 도시 '보'의 교훈
동아사이언스
l
2020.07.01
감염자는 그들의 생활을 바꾸지 않고 많은 사람을 만날 수 있다”고 말했다. 도리가티
교수
는 “보의 사례는 집단감염을 조기에 찾아내고 적절현 격리를 함으로써 전염병 초기 전파를 억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최근 새로운 집단감염의 위험과 두 번째 파도가 올 수 있는 상황임을 고려할 ... ...
나노기술의 최전선을 만난다...'나노코리아 2020 개막'
동아사이언스
l
2020.07.01
열렸다. 국무총리상에는 정운룡 포스텍
교수
와 아모그린텍이 각각 선정됐다. 정
교수
는 다양한 나노물질의 합성법을 개발하고 잘 늘어나는 전극과 센서를 만들었다. 아모그린텍은 자동차 발광다이오드(LED) 램프용 열전도성 플라스틱을 개발했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일본 수출규제와 ... ...
[의학바이오게시판] 고대의료원, 마다가스카르에 가상해부 시뮬레이터 지원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여러 대학들에서 해부학 교육에 사용하고 있다. ■전북대병원은 고명환 재활의학과
교수
팀이 ‘2020년도 재활로봇실증사업’에 참여한다고 30일 밝혔다. 이 사업은 국비 지원을 통해 구입된 재활로봇장비를 병원에 보급해 그 효과를 실증하는 사업이다. 보급되는 재활로봇은 보행재활로봇 ... ...
"팬데믹 잠재성 있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중국 돼지 농장에 널리 퍼져"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회복한 흔적이 있어 모니터링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리우진화 중국농업대 수의대
교수
팀은 중국 내 돼지의 검체를 조사한 결과 인간에게 팬데믹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새로운 A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검출했다고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29일자에 발표했다. 인플루엔자 ... ...
사회적 거리두기, 개인주의 성향일수록 참여 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느끼는 무력감이 크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더글라스
교수
는 “’우리는 함께 전염병을 겪고 있다’는 집단주의적 생각을 사람들에게 불어넣는 것은 사회적 거리두기 참여와 위생수칙 준수를 북돋을 수 있다”며 “집단주의적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음모론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는 정말 총천연색을 보고 있을까
2020.06.30
정보를 입력하는 데는 문제가 없다. 미국 다트머스대 심리뇌과학과 캐롤린 로버트슨
교수
팀은 시야 중심부와 주변부에 대한 주의력 차이가 대상의 형태나 존재 지각 여부뿐 아니라 색 지각 여부에도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로 했다. 시야 주변부의 색을 서서히 흑백으로 바꿀 때 ... ...
이전
340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