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루
일일
일일간
낮
주간
날씨
일기
d라이브러리
"
날
"(으)로 총 5,05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프로펠러 달고 몸 속 누비는 생체기계
과학동아
l
200103
붙여놓으면, 생체분자의 운동은 두개의 형광분자의 형광정도를 변화시킨다. 가위의 양
날
모양이 변화에 따라 전구의 불빛이 달라지는 것처럼 말이다.현재 단일분자 FRET를 통해 생체분자가 실시간으로 기능하는 동안 일어나는 구조적인 변화를 측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왜 그럴까. 이를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1 인간게놈프로젝트 성공시킨 주인공
과학동아
l
200103
저렴한 비용으로 다국적팀보다 늦게 시작한 인간게놈해독연구를 다국적팀과 같은
날
완결했다.유전자 염기서열 연구의 진행상황을 공공에게 개방한 다국적팀과는 다르게 셀레라는 연구결과를 끝까지 비밀로 하다가 결과만 공개했다. 이 사실 때문에 다국적팀의 공개된 자료 덕분에 더 빨리 적은 ... ...
'사이빌'에 등장한 16개 인격체 가진 여성
과학동아
l
200103
삶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아주 내성적이고 얌전한 성격이었던 그녀는 1898년 어느
날
난데없이 명랑하고 쾌활한 성격의 소유자로 돌변한다. 크리스틴과 전혀 다른 인격을 가진 그녀는 자신의 이름을 샐리라고 밝혔는데, 크리스틴은 샐리의 존재를 전혀 모르고 있었다. 그녀의 주치의였던 ... ...
여행달력겸용 해시계 만들기
과학동아
l
200103
짧은 하지를 가리킨다. 따라서 해의 그림자 길이가 달라지므로 그림자침의 끝을 읽으면
날
짜를 알 수 있는 것이다.한편 지구의 자전으로 우리는 매일 해의 일주운동을 보는 셈이다. 따라서 해시계의 그림자 침을 일주권의 중심인 지구 자전축이 있는 천구의 북극으로 맞춰야 한다.그러기 위해 우선 ... ...
쌍안경으로 즐기는 달나라 여행
과학동아
l
200103
익숙해지면, 반대로 하늘에 떠있는 달 모양만 보고도 월령을 짐작할 수 있을 뿐더러 음력
날
짜도 가늠해볼 수 있다.구경 50mm로 지름 10km 구덩이 본다맨눈으로 보름달을 보면 우리네 할머니와 할아버지가 들려주시던 이야기가 절로 생각난다. 계수나무 아래에서 떡방아를 찧고 있는 옥토끼의 전설. ... ...
불에 그을린 명화 NASA 기술로 복원
과학동아
l
200103
있을 정도라면 미국에서 이 화가가 차지하고 있는 위상을 알 수 있다.그런데 어느
날
이 미술관에서 작은 소동이 벌어졌다. 미술관 직원인 엘렌 박스터가 워홀의 작품인 ‘욕조’(Bathtub)의 한구석에 찍힌 붉은색의 립스틱 자국을 발견한 것이다. 마치 사인이라도 한 듯 선명한 입술 자국이었다. 어느 ... ...
봄비와 함께 찾아온 누런 용
과학동아
l
200103
시작했다.우물을 찾아낸 개가 모든 이들에게 사랑을 받은 것은 물론이었다. 어느
날
저녁에 선비가 개를 쓰다듬어 주면서“너는 도대체 누구냐?”고 혼잣말처럼 말했다. 그러자 개는 컹컹 짓더니 담을 넘어 서쪽으로 사라졌다. 그리고 그 쪽에는 밝은 개밥바라기가 반짝였고, ... ...
행운을 만드는 생물공학계의 아이디어 뱅크 이상엽
과학동아
l
200103
고분자를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효율로 얻을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다.그런데 어느
날
한학생이 이교수에게 뛰어왔다. 대장균 속에 가득차 있던 고분자(하이드록시카르복실산)가 없어졌다는 것이었다. 분명히 사진 속에도 있던 고분자가 거짓말처럼 사라진 것이었다. 당시 이교수는 대장균 속에 ... ...
화성과 금성 나타내는 행성기호 ♂ · ♀
과학동아
l
200103
어느새 눈에 보이지 않는 헤파이스토스의 그물에 갇혀 버린 것입니다. 헤파이스토스가 전
날
대장간에서 뚱땅거리면서 만든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 그물이었답니다. 그러니까 아프로디테와 아레스는 보이지 않는 그물에 두마리 새처럼 갇혀 버리고 만 것이죠. 그것도 알몸으로.♀과 ♂는 천문학 ... ...
반달과 벌이는 별의 숨바꼭질
과학동아
l
200103
못하는 성식이지만 이번에는 다소 특별하다. 지난 1월 10일 개기월식을 보았는가. 그
날
월식의 전 과정을 본 사람이라면 달 바로 옆에서 빛나던 밝은 별 하나를 기억할 것이다. 바로 그 별이 쌍둥이자리 델타별이었다. 천체망원경을 통해 월식을 관측한 독자라면 이 별이 월식 도중 달에 가려지는 ... ...
이전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