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8,184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몸으로 열려라 참깨! 바이오인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2
바꾸어 이미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는 거야. 나의 생체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발견
하면 내가 맞는지, 또 내가 누구인지 알아 낼 수 있단다.그렇다면 컴퓨터는 어떻게 생체정보의 특징을 찾아 내는 걸까? 가장 많이 쓰이는 지문과 홍채의 생체정보를 찾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자.소용돌이를 ... ...
한겨울에 곤충 보러 가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2
전시할 예정이래. 나비의 날개를 자세히 관찰하다 비늘이 아주 촘촘하게 붙어 있는 걸
발견
했어. 이게 바로 나비의 날개에 숨어 있는 비밀이지! 비늘은 나비의 날개가 물에 젖지 않도록 해 준대. 실제로 나비의 날개에 물방울을 떨어뜨려 보면 물방울이 흡수되지 않고 또르르르~ 굴러가. 즉 나비는 ... ...
기네스북에 오른 괴물 포켓나이프
과학동아
l
200802
걸쳐 A H 슈터트밴트가
발견
하여 명명했으며 식물에서는 33년에 G W 비들이 옥수수에서
발견
했다 이 인자는 실은 역위(逆位)이며, 그 존재가 재구성(再構成)을 감소시키고 또 설사 세포학적인 재구성이 일어나도 유전학적인 재구성이 효율적으로 억제된다 수혈할 때 환자의 혈액과 혈액 제공자의 ... ...
생체분자 인지 기능 단백질 구조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02
속으로 들어오는 미생물이 인체에 유해한지 여부를 검사한다. 그리고 유해한 미생물을
발견
하면 곧 면역작용을 개시한다. 그러나 면역 체계가 약하면 인식기능도 떨어지고 미생물을 인식하더라도 전달기능이 약해져 병에 걸릴 수 있다. 오 단장은 “면역 관련 단백질 가운데 한 개만 잘못돼도 ... ...
우리은하 향해 돌진하는 거대한 가스구름
과학동아
l
200802
존재하는 거대한 수소가스 덩어리로 1963년 네덜란드의 천문학자 게일 스미스가 처음
발견
했다. 천문학자들은 스미스구름이 우리은하나 이웃 은하가 탄생할 때 떨어져 나왔으며 태양 같은 별 수백만 개를 만들 수 있을 만큼의 수소를 갖고 있다고 추측했다. 그러나 그동안 이 구름의 정확한 크기나 ... ...
EPISODE1 또 하나의 '투모로우'
과학동아
l
200802
교수는“나무의 나이테로는 수천 년 전의 계절 변화를 짐작할 수 있고, 호수와 습지에서
발견
한 꽃가루화석, 빙하코어로는 수십만 년 전의 기후까지 복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해저퇴적물의 경우 수백만 년 전의 기록을 담고 있을 만큼 ‘기억력’이 좋다.안교수는“과거의 기후 정보를 얻기 ... ...
EPISODE3 인류구원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02
태양과 비슷한 별이 적색거성을 거쳐 준 왜성(subdwarf)이 되는 과정에서 살아남은 행성을
발견
했다고 ‘네이처’ 9월 13일자에 발표했다. 지구에서 4500광년 떨어져 있는 ‘페가수스자리 V391’이란 별을 돌고 있는 이 행성은 목성보다 3배가량 무거운 가스행성으로 밝혀졌다.흥미롭게도 이 행성은 V391이 ... ...
태양보다 뜨거운 반도체칩?
과학동아
l
200802
개발됐다. 펠티에 효과란 1834년에 프랑스의 과학자 장 샤를 아타나스 펠티에가
발견
한 현상으로 다른 도체 두 개를 붙여 만든 회로에 직류전류를 흘리면 한쪽 도체는 가열되는 반면 다른 한쪽은 냉각되는 현상이다. 칩 뒷면에 펠티에효과가 나타나는 실리콘과 금속으로 이뤄진 전극을 붙여 전류를 ... ...
노벨문학상 수상자 암 치료한 차가버섯
과학동아
l
200802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소나무잔나비버섯은 현재 포스텍에서 약용 물질을
발견
해 그 물질의 효능을 과학적으로 밝히고 있는 중이다. 다년생버섯에 왜 약용 성분이 많을까. 나무와 함께 오래 살다 보니 나무의 리그닌이나 셀룰로오스를 분해하면서 버섯 자체에 항암 작용을 하는 기능성 ... ...
21세기 청진기, 의료영상
과학동아
l
200802
장을 실은 덕에 일약 스타덤에 올랐다. 그 사진이 부인 안나의 손 X선 사진이었다. 전자를
발견
한 조세프 톰슨은 이를 두고 “뢴트겐은 외과의사에게 X선을 알려줘 인류의 고통을 줄이는 데 가장 크게 공헌한 사람”이라고 평가했다. 뢴트겐이 부인의 속을 봤듯, 현대 의사도 환자의 속을 보기 ... ...
이전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