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소
즉석
곧
즉시
당장에
바로
d라이브러리
"
직접
"(으)로 총 6,441건 검색되었습니다.
잃어버린 나를 다시 찾는다
과학동아
l
200511
뇌 안에 운동보조 칩을 삽입하시겠습니까?” 담당의사가 그에게 물었다. 그는 지난 2025년 암벽을 등반하다가 추락해 목 아래가 마비됐다. 이런 ... 사람의 지능에 반하기보다 도움을 줄 수 있게 하기 위해 우리는 뇌와 컴퓨터를
직접
연결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을 최대한 빨리 개발해야 한다 ... ...
"살찐 게슈타포 구출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0
있는 고정 도르래는 힘의 방향을 바꿔 줄 뿐 힘을 줄여 주지는 않습니다. 우물 같이 힘을
직접
쓸 수 없는 곳에 주로 쓰이지요. 움직 도르래는 도르래가 줄과 함께 움직이면서 힘을 줄여 줍니다. 대신에 힘의 방향은 바꿔 주지 않지요. 고정 도르래와 움직 도르래의 장점만을 결합한 도르래가 바로 ... ...
레고 블록같은 분자를 디자인 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0
완성되면서 거문고 줄의 길이나 줄을 매는 높이에 따라 달라지는 소리와 음에 대해
직접
느낄 수 있었습니다. 정말 신나는 수업이었죠.”이런 멋진 선생님의 가르침을 받으며 창의력을 쑥쑥 키울 수 있었어요. 하나 더! 백명현 교수님에게는 수학이라는 친구가 있었어요. 어른들조차 못 풀겠다고 ... ...
외계행성의 숨바꼭질
과학동아
l
200510
시작이었다. 앞으로 맞이할 10~15년의 기간은 외계행성과 생명체에 대한 구체적이고
직접
적인 증거를 제시할 수 있는, 인류사에서 매우 중요한 시간이 될 것이다.펄서 | 별의 최종 단계에서 만들어진 중성자별은 매우 빠른 속도로 회전하면서 전파를 발생한다. 이런 천체를 펄서라고 한다. 분광관측 | ... ...
침팬지에게서 사람의 향기를 느끼다
과학동아
l
200510
1/10에 해당한다. 연구팀은 이 500만개의 차이가 인간과 침팬지가 서로 다른 모습을 갖는데
직접
적으로 기여했을 것으로 추측했다. 전체 30억 개의 염기 서열에 비하면 소수에 불과하다.두 종의 단백질도 서로 비슷했다. 사람과 침팬지는 단백질 1개당 평균 아미노산 2개 정도의 차이를 보였을 뿐이며 29 ... ...
56년의 난제 다시 미궁에 빠지나?
과학동아
l
200510
되지 않고 있다는 점은 무엇을 시사하느냐”고 반문한다.발표된 결과의 독창성에 대한
직접
적인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금속절연체전이현상에서 모트의 이론은 하나의 가설이자 부분에 불과하다는 것. ETRI의 발표는 MIT 현상을 설명하는 모트의 이론 가운데 하나를 실험적으로 관찰했다는 ... ...
우리는 어떻게 행동을 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510
증거들이 속속 보고되고 있다.행동의 원천, 운동신경계운동신경계는 우리의 행동을
직접
실행하는 일을 담당한다. 걷기, 말하기, 글쓰기와 같은 일상적인 행동뿐만 아니라, 숙련을 요구하는 스포츠나 악기 연주에 이르기까지 인간이 하는 모든 행동은 운동신경계를 통해 이뤄진다.따라서 최근 ... ...
광야에서 외치는 고독한 예언자
과학동아
l
200510
있는 자연에 관심을 가지라”고 당부했다. 못 보던 식물이 있으면 도감도 찾아보고
직접
키워볼 때 자연의 신비를 알게 된단다. 그런 다음 설악산에 가면 그곳이 얼마나 자연의 보고인지 깨닫게 된다.“텃밭을 일궈보면 사람과 자연의 관계를 배우게 됩니다. 벌레가 얼마나 극악하게 덤비는지, ... ...
조류독감 비상사태를 선포한다
과학동아
l
200510
않기도 한다. 사람이 조류독감에 감염되는 경로는 두 가지. 조류 바이러스가 인체에
직접
침투하거나(남색), 조류와 인간의 바이러스가 돼지에 들어가 섞여 새로운 바이러스가 돼 인체를 공격한다는 가설이다(초록색). 이렇게 생긴 변종 바이러스가 사람끼리 전염되면(파란색) 판데믹이 된다 ... ...
3. 생명은 빛보다 빠르다
과학동아
l
200510
것이다.생명현상이 번개처럼 빠르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과학자들은 찰나의 현상을
직접
보고 싶어졌다. 포항공대 생명과학과 김정훈 교수는 “1970년대 독일의 사크만과 네어 박사가 세포막에 붙어 있는 이온 통로 하나만을 떼내 연구하는데 성공했다”고 말했다. 이들은 노벨상을 받았다.생명의 ... ...
이전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