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경로
경과
코스
절차
단계
진행
d라이브러리
"
과정
"(으)로 총 11,55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고통을 모르는 벌거숭이 두더지쥐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아주 미묘한 변화가 중요한 특징을 만들어냈다”며 “사막의 땅속에서 살아오는
과정
에서 열로 인한 통증을 느끼지 못하도록 진화한 결과”라고 추측했다. 연구 결과는 ‘셀 리포트’ 10월 11일자에 실렸다 ... ...
[과학뉴스] 인공 난자 탄생!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개의 배아 중 11마리만이 태어나 성공률이 약 3.5%로 낮았다. 대다수의 배아가 유전자 발현
과정
에서 돌연변이가 생기거나 염색체 수에 이상이 생겨 발생이 멈췄다. 윤리적인 문제도 있다. 이 방법을 인간에게 적용하려면 마찬가지로 난소 지지 세포를 추출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야시 박사는 현재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자세한 사정이야 어찌됐든, 소용돌이의 개수는 당연히 정수일 수밖에 없고, 따라서 관측
과정
이 아무리 복잡하게 얽혀 있어도 관측 결과는 정수일 수밖에 없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사울레스는 그의 학문 인생에서 또 한 번 소용돌이 이론으로 물리학에 잔잔한 혁명을 일으켰다.사울레스의 조력자와 ... ...
Part 2. 우주방사선을 극복하라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활용됐다. 이 기술은 재료(주로 콘크리트)를 층별로 쌓아 올리는 적층 방식으로 건축
과정
을 자동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각광을 받고 있다. 현재 NASA는 황 콘크리트를 사용할 수 있는 콘투어 크래프팅 기술을 개발 중이다. ESA는 영국의 건설회사 포스터 앤 파트너스와 함께 큰 하중을 견딜 수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C. elegans)의 성장 속도를 조절하는 유전자를 연구해 보니, 사실은 그 유전자가 복제되는
과정
에서 생기는 RNA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암브로스 박사팀은 22개의 염기서열로 이뤄진 RNA가 예쁜꼬마선충의 성장을 억제하는 단백질을 못 만들게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마이크로RNA(miRNA)의 ... ...
Part 4. 금연, 온가족이 함께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그럼 뇌는 도파민을 계속 분비하기 위해 담배를 피우고 싶은 충동이 들게 하지요.이러한
과정
은 어떤 행위에 중독되었거나 마약을 했을 때와 똑같아요. 그래서 오랫동안 담배를 피우지 않으면 집중력이 떨어지거나 짜증이 나는 등 금단증상을 느끼게 돼요. 이를 극복하지 못하면 다시 담배를 피우게 ... ...
[도전! 코드마스터] 논리적으로 생각하자! ‘컴퓨팅 사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코딩에서는 컴퓨팅 사고가 필수예요. 컴퓨터에게 시키고 싶은 일을 명확히 찾고, 그
과정
을 논리적 절차로 구성해서 컴퓨터에게 입력해야 하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프로그래머들은 문제 해결의 절차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순서도’를 이용해 프로그램을 검토한 뒤, 그 순서에 맞게 코드를 ... ...
[출동~! 섭섭박사] 호박화석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진흙과 같은 퇴적물에 덮인 채 오랜 시간 압력을 받아 암석이 되면서 만들어져요. 이
과정
에서 피부나 장기와 같은 부분은 썩어서 사라지고 생물의 딱딱한 부분만 남게 되지요.호박화석은 생물이 송진에 갇힌 뒤, 송진이 압력을 받아 암석처럼 변하면서 만들어져요. 실험에서는 송진 대신 액화수지를 ... ...
INTRO. 구부러진 세상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나는 지금 도시 한가운데 서 있다. 하늘 위로 쭉쭉 뻗은 아파트와 고층 건물에서 알 수 없는 무뚝뚝함이 묻어난다. 직선이 주는 날카로움 때문일까. 어어…. 그런데 갑자기 세상이 구부러져 보인다. 모든 것이 굽어보이기 시작했다. 눈을 비비고 다시 쳐다봐도 마찬가지다. 뭐라고? 세상은 사실 모두 ... ...
Part 3. 자꾸자꾸 굽어가는 세상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했다. 평면만 생각했던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굽은 곡면을 생각한 수학자들이 겪었던
과정
과 비슷하다.지난 6월 27일 이상영 울산과학기술원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팀은 이를 해결할 ‘종이 배터리’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일반 잉크젯 프린터로 종이 위에 출력한 글씨나 그림이 배터리가 되는 ... ...
이전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