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도"(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말 VS 당나귀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1호
- 가족끼리 제주도에 놀러갔는데 농장에 당나귀가 있는 거예요! 신이 나서 “당나귀다!”라고 외쳤는데 엄마께서 말이라고 하셨어요. 말과 당나귀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이시현(광주 능원초 5)말말과의 동물인 말은 6000년 전부터 사람과 가깝게 지냈어요. 옛날 사람들은 주로 말을 타고 이동하거 ... ...
- 중국의 ‘선녀’, 달로 돌아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중국의 무인 달 탐사 위성인 ‘창어 3호’가 현지시간으로 지난 12월 14일 오후 9시 12분 경 달 표면에 착륙하는 데 성공했어요. 이로써 중국은 미국과 러시아에 이어 세계 세 번째로 달에 도달한 나라가 되었답니다.창어 3호는 12월 2일 중국 쓰촨성 위성발사센터에서 발사된 뒤 12일 간의 우주여행 끝 ... ...
- [화보] 찰나의 순간, 수학을 포착하다!수학동아 l2014년 01호
- 찰나는 1초를 75로 나눈, 약 0.013초밖에 안 되는 아주 짧은 시간을 말한다. 이처럼 짧은 순간은 사람의 눈으로 포착하기 힘들기 때문에, 우리는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모르는 짧은 순간을 ‘찰나’라는 말로 표현한다. 하지만 이런 찰나의 순간에도 수많은 일들이 일어난다. 그리고 그 중에는 수학으 ... ...
- 옥토끼, 달에 중국 국기를 꽂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12월 15일 일요일 새벽(중국 시간) 달 표면에 착륙한 중국의 무인 달 탐사선 ‘창어3호’가 이동로봇 ‘옥토끼’ 위투호를 조심스럽게 내보냈다. 부드럽게 굴러간 위투호는 달 지면에 선명한 바퀴자국을 찍으며 나갔다. 아시아에서는 처음, 세계에서는 구 소련과 미국에 이어 세 번째로 인류의 손길 ... ...
- 그들은 어떻게 과학을 지배하고 있나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사이언스, 네이처, 셀, 그리고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현재 세계 최고로 불리는 과학학술지(저널)다. 이들 학술지에 논문이 게재되는 순간, 과학자는 스타가 된다. 하지만 몇 개 학술지에 관심이 집중되는 현상을 놓고 우려의 목소리도 크다. 이들이 어떻게 현재의 지위를 갖게 됐는지, 이들을 ... ...
- 지구 반대편에 있는 가족의 뺨을 만지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가상으로 만들어낸 촉각을 실제처럼 느낄 수 있는 시대가 온다. 지구 반대편에 사는 가족과 가상으로 포옹하면서 손을 맞잡고 뺨을 어루만지는 촉감까지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손가락 위의 머리카락까지 알아채는 예민한 감각인 촉각을 어떻게 속일 수 있을까. 그리고 인공촉각이 넘쳐나는 시대 ... ...
- INTRO. 겨울잠 스위치 켜고 우주여행 떠나자과학동아 l2014년 01호
- “극도의 추위나 가뭄은 자연선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찰스 다윈이 ‘종의 기원’에서 밝힌 말이다. 인간을 필두로 포유류가 지구를 지배하게 된 데는 거대한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선택이 있었다. 그때 혁혁한 공을 세운 것이 바로 겨울잠이다.인류의 몸속에는 아직도 그날의 영광을 잊지 ... ...
- PART2. 화성여행의 비결은 겨울잠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003년 달에 기지를 건설하고 화성을 개척한다는 ‘달, 화성, 그리고 그 너머(Moon, Mars and Beyond)’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2012년 화성에 착륙시킨 큐리오시티 탐사로봇도 이 계획의 일환이다. 민간기업 씨넷-스페이스엑스는 2030년경 화성에 8만 명을 이주시킨다는 계획을 발표했 ... ...
- 목성 위성 유로파에 높이 200km 분수가?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목성의 위성 유로파 남반구에서 높이 200km에 이르는 거대한 물기둥이 얼음 표면을 뚫고 7시간 이상 치솟는 현상이 발견됐다. 유로파는 지구보다 두 배나 많은 바닷물이 있어 태양계에서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가장 큰 곳이다.이번 물기둥은 미국 남서부연구소(SWRI) 로렌츠 로스 박사팀이 허블 우 ... ...
- 진화론의 ‘첨단’을 읽는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미묘한 책 두 권이 동시에 나왔다. 에드워드 윌슨의 최근작 ‘지구의 정복자’와, 스티븐 굴드의 ‘플라밍고의 미소’다. 책을 받아 드니 세 가지 상반된 감정이 동시에 스친다. ①현대 진화생물학의 최고 대가이자 과학계의 시인 두 명의 책이 동시에 나왔다. 반갑고 기쁘다! ②하지만 생전에 두 사 ... ...
이전3413423433443453463473483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