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뉴스
"
길
"(으)로 총 3,91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 달 만에 2290km 이동하는 바다거북의 비밀
2015.03.16
다시 찾는다”며 “몇 년이 지나도 해변의 위치를 잊지 않는다”며 거북의 신기한
길
찾기 능력을 설명했다. 연구팀은 아직 바다거북이 이같은 능력을 얻게 된 이유까지는 밝혀내지 못했다. 다만 바다거북의 시력이 나쁘기 때문에 별을 보고 방향을 감지하는 것 같지는 않다고 설명했다. 또 방향이 ... ...
지긋지긋 꽃가루 알레르기… 약으로 치료하면 나쁘잖아? 아니래!! !
동아일보
l
2015.03.16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없다는 점. 공기 중에 날아다니는 꽃가루를 완전히 피할 수 있는
길
은 없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야외활동을 줄이고, 외출했을 때는 긴팔 옷, 마스크, 안경 등을 사용하는 게 좋다. 집에 돌아온 뒤에는 외출했을 때 입었던 옷을 곧바로 세탁하고 샤워를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 ...
심장 건강의 원흉은 야식이었어!
2015.03.15
건강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사실이 실험을 통해 밝혀졌기 때문이다. 슈로브로츠
길
솔크연구소 연구원은 “사람은 매일 같은 음식을 먹지 않을 뿐더러 생활 습관도 모두 다른 만큼 이번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는 힘들다”면서도 “야식 섭취를 줄이는 것이 심장질환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 ...
한국형 달 탐사 로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13
견뎌야 한다. -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위잉~, 위잉~!” 조그만 자동차가 울퉁불퉁한
길
위를 거닐어요. 저 멀리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도 보여요. 달 표면 위에 있는 듯한 이곳은 달 탐사용 탐사 로봇인 로버의 성능을 시험하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의 실험실이랍니다. 실험실에 들어가자 모래와 ... ...
장 속 가스 보면 질병 안다
2015.03.13
호주 연구팀이 소개한 장 내 가스 측정용 캡슐. - 트렌드 인 바이올로지 제공 지름 1.1cm,
길
이 2.6cm의 작은 캡술이 분석하는 것은 장내 미생물이 발생시키는 가스다. 연구팀은 미생물이 만들어내는 가스가 특정 질병과 관련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연구를 진행한 쿠로쉬 카란타르 자디 ... ...
[초대석] “세계 10大대학의 꿈, 8년 만에 달성 가능한 목표가 됐죠”
2015.03.09
갔다. 졸업 뒤 행정고시를 볼까 갈등하다 결국 서울대 대학원에 진학해 과학자의
길
을 걷게 됐다. 조 총장은 “그때의 어려움이 내 인생을 더 잘 만들어줬다”며 “행정고시 봤으면 지금 이 나이에 이렇게 일할 수 있었겠나”라며 웃었다. < 조무제 총장은 > ▽1968년 경상대 농화학과 졸업 ▽1970년 ... ...
“빅뱅 후 3분 우주에 무슨 일 있었나 확인”
2015.03.06
설계를 마치고 시제품을 제작해 성능시험을 하고 있다. 최근에는 라온의 핵심 장치인
길
이 1m가량의 원통형 가속관을 자체 제작해 캐나다 국립입자핵물리연구소(TRIUMF)에서 성능 검증까지 끝냈다. 가속관은 중이온을 빛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시키는 진공관으로 라온에는 450여 개가 필요하다. 정 ... ...
갤럭시s6 탁자에서 충전?… 앞으론 자동충전 세상온다
2015.03.05
쓸 수 있고 휴대전화도 충전할 수 있게 된다. - 전자부품연구원 제공 《퇴근
길
주머니 속 스마트폰에서 경고음이 울렸다. 배터리가 5%도 채 남지 않았다는 신호다. 하지만 김 과장은 집에 도착해 충전 케이블을 꽂지 않고 주머니에 넣어둔 채 재킷을 옷걸이에 걸어 버렸다. 다음날 아침 꺼내보니 ... ...
약하지만 센 힘 중력상수 G
과학동아
l
2015.03.05
올릴 수 있는 것을 생각하면 이 싸움은 필자의 완승이다. 평범한 사람도 지구를 쉽게 이
길
수 있을 정도로 중력은 정말 작다. 우리는 매일 지구의 중력을 느끼지만, 어느 누구도 옆 사람이 우리를 당기는 중력을 느끼는 사람은 없다. 중력에는 다른 힘과 달리 특이한 점이 하나 있다. 중력은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있었는데, 당시 그 실험실에는 마크 스토네킹 박사와 대학원생인 린다 비
길
란트가 있었다. 훗날 둘은 결혼했고 아이도 둘 낳았다. 1996년 펜실베이니아주립대 교수였던 마크는 안식년을 맞아 가족들을 데리고 독일 뭰헨의 패보 박사 실험실로 왔다. 패보는 린다와 가끔 영화를 같이 보곤 했다. ... ...
이전
341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