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d라이브러리
"
세포
"(으)로 총 3,701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귀에 들리지 않는 곳에서 맹활약한다 초음파의 세계
과학동아
l
198906
사용할 수 있다. 초음파 현미경은 반도체의 내부결함을 조사하거나 살아있는
세포
의 구조를 보는데 적당하다. 이밖에 초음파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면 액체가 흐르고 있는 곳의 유속이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 초음파와 광파의 상호작용을 이용하면 레이저 광을 변조시킬 수도 있다.초음파의 ... ...
DNA분자를 처음 보다
과학동아
l
198906
엉켜있다.DNA가 자신과 같은 분자를 만들때 두개의 사슬은 풀어지고 각개의 사슬은
세포
액에서 약간의 원자군(群)을 취합, 정확히 자신과 똑같은 새로운 사슬을 만든다. 각개의 사슬은 자신의 동반자를 만들때 표준으로 기여한다. 결국 각개의 DNA는 정확히 똑같은 두개의 DNA분자를 만드는 셈이다.이 ... ...
오이뿌리가 AIDS치료제로
과학동아
l
198906
몸을 방어하는
세포
인데, 이곳에 AIDS바이러스가 잠복해있다가 문제의 T
세포
와 만나면 T
세포
를 와해시킨다실제로 실험관내 실험에서는 식물성 단백질의 효능이 입증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안심할 수 없다. 구체적인 생체내 실험이 완료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안전성도 미지수.따라서 성급한 ... ...
청소년에는 철분이 긴요
과학동아
l
198906
미치는가 하는 점이다. 또 우리가 전(全) 두뇌의 잠재력을 1백% 발휘할 수 있을지, 그리고
세포
수의 제한이 지적 자극에 의해 어느정도 극복될 수 있는지가 연구의 과제로 남아있다.인간의 영양생활은 태아기에서부터 시작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실은 그렇지 않다. 그 훨씬 이전 즉 부모의 영양 ... ...
유전자 연구계획
과학동아
l
198905
일탈되거나 다소 변형되면 효소의 작용수행능력은 완전히 변하게 된다.각개의 효소는
세포
의 핵내에 있는 염색체내의 유전인자에 포함된 명령에 따라서 생성된다. 각 유전인자는 기다란 끈 모양의 핵산분자로 구성되어 있는데, 핵산의 구조는 '왓슨'과 그의 공동 연구자인 '프란시스 크릭'에 의해 ... ...
병렬처리 컴퓨터
과학동아
l
198905
이상이 모여 풀 수 있는 성질의 응용분야를 연구하고 있다.이는 사람의 뇌나 감각 신경
세포
와 원리가 유사하다하여 신경망모델 또는 신경망컴퓨터 등으로 불리고 있다. 이 분야는 극도의 병렬성이 요구되므로 기존의 병렬알고리즘 정도와는 달리 특별 모델이 제시돼 인간의 감각기관과 비슷한 ... ...
생물의 갖가지 형태가 갖는 의미
과학동아
l
198905
관련시켜야 할 것이며, 기계의 일부로 보아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반사궁의 하나 하나의
세포
는 모두 운동의 전달에 의해서가 아니라 자극의 전달에 의해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자극은 주체에 의하여 지각되어야 한다."이와 같은 생물학자와 생리학자간의 '기계와 기관사'논쟁은 아직도 ... ...
왜 아픈가?
과학동아
l
198905
유해자극을 척수의 후각
세포
및 뇌간의 지각 종지핵에 전달한다.2단계 신경원은 후각
세포
나 종지핵에서 시상(thalamus)에서 끝난다. 3단계 신경원은 시상에서 시작하여 대뇌피질에서 끝난다. 머리부위를 제외한 모든 감각전달은 이 방법을 따른다.다만 머리부위는 삼차신경전도로를 통하여 ... ...
종(種)의 보존을 위한 의지 발생의 신비
과학동아
l
198904
된다.예를 들면 바다에 사는 연체동물(굴 고둥따위)의 일부는 초기 난활과정에서
세포
질의 일부가 한쪽 할구로부터 돌출, 극엽(Polar Lobe)을 형성한다. 만약 이 극엽을 2
세포
기 혹은 4
세포
기에 제거하면 근육, 안포등과 같이 중배엽성조직으로부터 유래하는 기관의 형성이 저해, 불완전한 개체가 ... ...
생체와 음악을 잇는 리듬의 비밀 흔들림 현상
과학동아
l
198904
보았다.생체중에는 자발적으로 전기신호를 발신하고 있는
세포
가 있다. 인체에서 이런
세포
를 떼어낼 수는 없으므로 '아프리카·마이마이'라는 큰 달팽이에서 자발적으로 전기신호를 내보내는거대한 뉴런(Tonically Autoactive Neurone·TAN)을 실험에 썼다. 이 뉴런을 달팽이의 몸에서 떼어내 생리적 식염수 ... ...
이전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