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볼"(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름다운 LED 조명으로 반짝 반짝 크리스마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4호
- 만들기로 했답니다. 투명한 루돌프의 머리에 조명을 넣어 반짝반짝 빛나게 하자.그럼 LED 볼을 넣으면 되겠네!마구 흔들거나 어딘가에 부딪히면, 그 충격으로 전기회로에 전류가 흐르면서 불이 들어오는 원리지~.이번 크리스마스도 산타클로스가 선물을 배달하는 데 문제 없겠네 ... ...
- 날아라, 신통방통 미래 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3호
- 특이한 모습의 비행기도 있답니다. 과학자들이 상상하는 독특한 미래 비행기를 만나볼까요? 미래 비행기 시대, 어떻게 변했을까?우주공간으로 날아 서울에서 뉴욕까지 45분 만에 도착하는 비행기와 날개 없는 비행기, 샴쌍둥이처럼 여러 대가 붙어버린 비행기, 몸체가 투명해지는 비행기라니 정말 ... ...
- 과학동아천문대 서울의 중심에서 별을 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3호
- ‘그가 나의 이름을 불러주어 비로소 꽃이 되었다’라는 시처럼 별도 우리가 바라볼 때 비로소 밝게 빛날 거예요.‘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 가까운 곳에 있는 천문대를 방문해 봐. 겨울 하늘을 수놓은 멋진 별처럼 친구들의 가슴에 남는 멋진 체험이 될 거야 ... ...
- 똑똑한 게임 즐거운 공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3호
- 말고도 수학, 영어 같은 다른 과목도 게임으로 공부하면 더 쉬울 거야~! 내가 한번 만들어 볼…, 헉! 정말? 이미 그런 게임들이 개발돼 있다고?캐릭터와 영어로 대화를!교육용 게임 중 가장 많은 종류의 게임이 개발된 과목은 바로 영어예요. 게임을 하면서 영어 소통 능력, 단어 암기 실력 등을 ... ...
- 아이손, ‘혜성’처럼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사색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였습니다.별은 멀리 있지 않습니다. 시골 천문대에서만 볼 수 있는 대상이 아닙니다. 단지 별을 보고 싶은 마음이 멀리 있을 뿐입니다. 동아사이언스가 그 길을 열어드리겠습니다. 달과 별과 행성을 관찰했을 때 느끼는 아름다움은 바로 감탄사로 이어집니다.이번 ... ...
- 자석과 부력으로 오르락내리락 정신없이 바쁜 자석 바람개비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거예요?이 실험에 숨어 있는 또 하나의 힘을 제대로 찾기 위해서지~. 일단 한번 만들어 볼까?3 부력과 자기력으로 바람개비 돌리기수수깡은 자석을 끼워도 물보다 밀도가 가볍기 때문에 물 위로 떠오르려 한다. 이렇게 중력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부력’이다. 또 자기력 덕분에 네오디뮴 ... ...
- 괴짜 천문대장, ‘저벼리 빈나리’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가 볼까요? 천체의 모습을 돔형 스크린에 비춰 보는 곳이랍니다. 그럼 자세히 알아~ 볼 줄 알았죠? 여기서 문제!”썰렁홈즈는 빈나리 천문대장의 어이없는 개그에 몸 둘 바를 몰랐다. 하지만 상품에 눈이 어두워 문제에 다시 집중했다.미션4 수상한 천문대장의 몸무게“우헤헤, 대단합니다. 자~, ... ...
- 무한도전 & 무한변신 미래 디스플레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때문에 TV를 더 가깝게 볼 수 있어요. 그만큼 두 눈에 화면이 가득해져, 영상에 푹 빠져서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생기지요.84인치(213㎝) 초고선명 TV는 21인치(54㎝) 고선명 TV 16대를 붙여 놓은 것과 같아요. 기술적으로는 단지 크기만 키운 것처럼 보이지요. 하지만 한 화면에 표현되는 화소가 16배로 늘어 ... ...
- 카메라 VS 디지털 카메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디지털방식의 저장매체에 저장하지요. 필름을 현상하거나 인화하지 않아도 바로 사진을 볼 수 있어요. 세계 최초의 디지털카메라는 1975년, 미국 코닥사의 스티브 새슨이 발명했는데, 겨우 1만 화소의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이미지센서를 가지고 있었고, 촬영된 사진은 카세트 테이프에 저장됐답니다. ... ...
- 멸종위기 바다거북을 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있어요. 제주 바다도 마찬가지로 수온이 오르고 생물들의 서식지가 바뀌면서 과거에는 볼 수 없었던 생물들이 많이 발견되고 있지요. 이런 생물들을 구조하기 위해 메디컬센터에 있는 해양생물구조팀과 수의사가 제주 바다로 구조 활동을 나간답니다. 가벼운 상처를 입은 생물은 현장에서 치료해 ... ...
이전3423433443453463473483493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