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d라이브러리
"
인류
"(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1) 우주탄생 비밀 캐는 새방법 제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모르고 있는 것이다. 이제까지의 정보는 전자파에 의해 얻은 것일 뿐이다. 중력파가
인류
앞에 모습을 드러낼 때는 지금까지는 꿈도 꾸어보지 못한 새로운 세계가 펼쳐 질지도 모른다." 포도주 한병을 놓고 자신의 라이벌인 오스트라이커와 내기를 하고 있는 칼텍의 천체 물리학자 손의 말이다 ... ...
(2) 길이 4㎞ 레이저 간섭계로 미세진동 추적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같은 시간의 것을 비교해 보아야 한다. 중력파를 누군가가 독점하려고 한다면
인류
는 영원히 중력파를 검증할 수 없을 것이다." 중력파 연구의 라이벌이었던 칼텍과 MIT의 경쟁에 종지부를 찍고 새로운 협력관계를 열어 2천3백만달러짜리 LIGO 계획을 가능케 했던 보그트 박사의 말이다.이 말에는 ... ...
우주발전 현실로 다가온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국제협력 없이는 이룰 수도 없는 기술이다. 따라서 다가오는 우주시대에는 전 세계가 한
인류
임을 인지하고 서로 협력하는 시대가 돼야 할 것이다. 우주발전이 우리에게는 상당히 요원한 이야기일 수 있으나, 21세기를 이끌 패기에 찬 젊은 과학도들에게 기대를 걸어본다.지구는 인간이 살 수 있는 ... ...
유전공학 6대 논란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크게 다르다고 이대실 박사는 말한다. 서울대 의대의 박주배 교수도 "이 문제는
인류
유전학에서 다룰 것이지만, 분석의 방법이나 해석의 차원에서 문제제기나 반론이 심하다"고 밝혔다. [5] '이기적 유전자설' 설득력 있나이기적 유전자란 '자연선택은 어떤 차원에서 이루어지는가'는 논쟁 속에서 ... ...
'페르마의 정리' 350년 만에 해법찾았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것이며 그것이 바로 진리로서 받아들이기 위한 조건이다. 이러한 진리들이 축적돼
인류
의 보물이 되는 것이다.명백한 사실인데도 반드시 증명해야 된다고 믿기에 수학에는 많은 난문제들이 있었다. 그것들을 해결하지 않고서는 앞으로 나갈 수가 없는 것이다. 수학의 발전을 위한 약점이 곧 ... ...
먹을 것 구하기 위해 두뇌 발달했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이어졌다. 그 결과 동료간의 커뮤니케이션이 발달하는 등 사회성을 강화하게 되었다.
인류
는 출현 이래 고기를 식탁에 올려왔는데, 초식동물이었던 먼 선조로부터 소화관의 구조가 크게 바뀐 것은 아니다. 공업선진국의 인간들은 섬유질의 섭취가 매우 부족하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 ...
지구과학- 방사능이 지구의 역사를 알려준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화산재가 굳어진 응회암의 연령 측정도 가능하다. 최근 아프리카에서 응회암층에 남겨진
인류
의 발자국 화석도 이 방법으로 연대를 측정해 3백만년 전의 것임을 밝힐 수 있었다 ... ...
화학- 기름·물 모두 친한 알칼리대명사 비누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농도는 감소한다(그림3).비록 CFCs는 우리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것이지만 오존층 파괴는
인류
의 생존을 위협하는 것이므로 그 사용을 규제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에어로졸의 사용을 규제하였는데 CFCs의 사용이 줄어들지 않고 오히려 다른 부분에서의 사용량이 급증하자 결국 오존층의 보호에 ... ...
우주감마선의 진원지는 중성자별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있다. 거의 하루에 1번꼴로 어마어마한 에너지가 우주공간에 흩뿌려진 셈이다. 만약
인류
가 이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다면 '에너지 위기'란 말 자체가 무색해질 것이다.왜 감마선은 분출되는 것일까. 근원은 어디일까. 별들이 충돌할 때 생기는 것일까, 아니면 초신성이 폭발할 때 나오는 빛일까. ... ...
임금님의 궁전을 보호하는 외각성들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쌍안경을 이용하여 관측하면 성도에 나타나지 않은 별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인류
가 발견한 첫번째 소행성이다. 50mm표준렌즈를 가지고 이 지역을 5일 간격으로 고정촬영해보자. ASA400 필름을 쓰고 f수는 1.4정도로 해서 15초씩 노출을 주어 찍게 되면 움직이는 별을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 ...
이전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