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어린이과학동아
"
적은
"(으)로 총 3,830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립부산과학관에 다녀와서
기사
l
20160711
안녕하세요. 김기담 기자입니다. 오늘은 작년에 개장한 국립부산과학관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국립부산과학관은 작년 12월에 개장했으며, 어과동에 소개 된 적이 있습니다. 먼저 국립부산과학관은 부산시 기장군 근처에 위치하여 있고 1관:자동차-항공우주, 2관: 선박, 3관: 에너지 방사선의학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1관은 우주나 자동차에 대하여 ...
조개 안에 낳는 각시붕어
탐사기록
l
20160624
독립합니다.각시붕어를 비롯한 우리나라의 납자루아과 13종과 중고기 속 2종의 어류가 조개 몸 속에 산란합니다.그리고 자신의
적은
알을 천적으로 부터 조개를 통해 지킵니다.하지만 최근 다른 생물들도 비슷하지만 하천 개발과 외래어종 배스의 침입으로 점점 줄고 있습니다ㅠㅠ더이상 멀어지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여러분도 기회되면 꼭 보시기 바랍니다^^사진 ...
[서울 용산, 내친구봄이] 제비 160613-1
탐사기록
l
20160613
서울 용산 보광동 1548구름 조금덥고바람 적고어제까지 둥지에 있었던 새끼들오늘은 이소하고둥지를 비웠다.비행하고 잠깐 다니러 온 아빠사진과 빈둥지 ...
프로그래밍을 배우는 2016 온라인코딩파티 체험교실
기사
l
20160607
안녕하세요. 이동원기자입니다. 저는 지난 6월 4일에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열린 온라인 코딩파티 사전 체험 교실에 참여했습니다. 1시 30분쯤에 도착하여 코딩파티 단체 티로 갈아입고 플레이존에서 햄스터 로봇 프로그래밍을 했습니다. 그리고 테트리스를 했습니다. 점토에 전선을 꽂은 상태에서 한 손에 다른 전선을 잡고 다른 손으로는 점토를 누르면 움직이는 것이 신 ...
아침을 먹습니까?
기사
l
20160605
여러분은 아침을 매일 먹나요? 매일 먹는다면 걱정 할 거 없어요. 하지만 종종 늦게 일어나거나, 입맛이 없어 아침밥을 안 먹을 때가 가끔씩 있을 수 있어요. 아니면 혹시 먹고 싶지 않아 일찍 일어나도 아침을 안 먹고 학교를 매일 가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런 학생들이 있다면 이번에 식습관을 고쳐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1번(늦게 일어나거나 입맛이 없어 ...
인기를 끌고 있는 전자담배의 원리와 위험성
기사
l
20160602
이번 어린이과학동아 11호에 담배에 대한 기사가 있어서 전자담배에 대한 글을 올리게 됬습니다. 전자담배는 사람들이 담배를 피울 때 발생하는 유해성분을 피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품입니다. 전자담배가 일반 담배보다 피해가 적다는 소문을 듣고 전자담배를 찾는 사람이 많습니다. 하지만 전자담배가 일반 담배보다 건강에 덜 나쁘다는 이야기는 아직 과학적으로 명확히 ...
#제1회 수청이 탐사 패션쇼#
탐사기록
l
20160529
수청이 탐사 준비 완료~ ^^아빠도 장화 장착~^^ 수청아~~ 우리가 왔다~~^^ 귀여운 수청이 뒷다리 잡고~~^^;; 미안타 수청~^^그래도 반가웠어~~~^^ 물방개도 만났어요~엄마아빠 어릴 적엔 흔했다는 물방개가 너무 예뻤어요~~^^ 수청아, 물방개야 다음에 또 만나자~^^ ...
발명...
포스팅
l
20160522
저..여러분은 생활 속에서 불편을 느꼈던 적이 있나요?? 실과 수행평가가 발명품 생각하는 건데...생활 속 불편함을 고칠 수 있는 것을 발명해야한대요... 근데 저는 지금 생활에 만족해서(?) 불편한 걸 못 찾겠어요... 댓글 올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몽당지우개
포스팅
l
20160518
가로 5센치 세로 3센치 였던 지우개가 가로세로 3센치보다 작아졌어요 전 항상 잃어버리는데 거의 신기록이네요 뭐 연필은 한 세로 3센치 될때까지 쓴적이 있긴 하지만요 ...
인공지진과 자연지진, 어떻게 구분할까?
기사
l
20160517
안녕하세요? 지세하입니다. 오늘은 인공지진과 자연지진의 차이에 대해 설명하려고 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에서도 지진에 대해 다룬 적이 여러번 있었는데요. 2015년 11호에서는 네팔 대지진에 대해서, 가장 최근 호인 2016년 10호에서는 불의 고리의 대지진에 대해 다뤘습니다. 이번 호에서 불의 고리에 관한 기사를 읽으면서 문득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 ...
이전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