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뉴스
"
동물
"(으)로 총 6,016건 검색되었습니다.
현대판 노예들?
팝뉴스
l
2018.12.19
커뮤니티 리딧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실제로 노예 같은 남자들이 있고 주인은 노예를
동물
다루듯이 하는 것일까. 그렇다면 무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한편 예술적 공연의 한 장면 같다는 추리도 나온다. 타인을 노예 같이 부리는 사람들을 고발하는 퍼포먼스라는 것이다. ※ 편집자주 ... ...
음식 조금만 먹어도 포만감 주는 장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다시 평소대로 먹기 시작하며 몸무게가 정상 체중으로 돌아왔다. 연구진은 쥐보다 큰
동물
에도 실험을 해보고 임상까지 적용할 계획이다. 왕 교수는 “배터리 없는 장치는 다른 기술보다 비만을 잡는 데 훨씬 효과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 ...
알츠하이머성 치매, 전염 가능성 높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교수 연구진은 이번 연구에서는 알츠하이머병의 유발단백질이 전염될 수 있는지를
동물
실험을 통해 알아봤다. 연구진은 우선 베타 아밀로이드가 들어있는 단백질을 생쥐의 뇌에 주입했다. 그 결과 생쥐의 뇌에 베타 아밀로이드 덩어리가 생겼고, 쥐들은 대뇌 아밀로이드 혈관병을 앓았다. ... ...
자가면역질환 루푸스 근본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발현된 Ets1 단백질의 양이 더욱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 교수는 “Ets1 단백질이
동물
에서와 마찬가지로 환자의 증상 악화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임 교수는 “향후 Tfh2 세포의 생성과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면 제한적인 효능을 가졌던 기존 약물의 한계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백신이 못 잡는 독감 바이러스, 항체가 잡는다
2018.12.18
꽤 떨어져 있는 두
동물
군에서 수렴진화로 나타났다는 사실은 작은 항체가 이들
동물
의 생존에 꽤 중요함을 시사한다. 과학자들이 작은 항체에 주목한 건 덩치가 작기 때문에 기존 항체가 접근하기 어려운 부분을 항원으로 하는 항체도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독감 바이러스의 경우 ... ...
‘꽃잎 지는 원리’‘기억의 장소’규명…올해를 빛낸 생명과학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뽐낸 스타 과학자의 연구도 뽑혔다. ‘아데닌 염기교정 가위’를 이용해 처음으로
동물
(생쥐)의 DNA 중 원하는 것 하나만 바꾸는 데 성공한 김진수 IBS 유전체교정단장팀의 연구와, 전령RNA의 긴 아데닌(A) 염기 꼬리 부분에 다른 염기가 혼합된 꼬리가 존재하며 보호 기능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한 ... ...
익룡의 원시 털 비밀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연구팀은 익룡의 피크노파이버와 비슷한 털 또는 깃털을 다른 화석이나 현생
동물
에게서 찾았다. 깃털의 형태가 진화한 경로를 알기 위해서다. 그 결과 1번 피크노파이버는 프시타코사우루스 등 조반류 공룡의 털과 비슷했고, 2번은 에피엑시프테릭스 등 코엘루로사우루스 류 공룡 털과 비슷했다 ... ...
멸종위기 꿀벌 살릴 백신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17
꿀벌이 춤을 통해 정보를 교환하는것을 밝힌 공로로 1973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동물
학자 카를 폰 프리슈가 일했던 곳이다. 연구진은 프라임비를 바탕으로 자금을 모집하고 있으며, 향후 곤충백신회사인 ‘다란 애니멀 헬스’를 설립해 곤충을 위한 백신 개발에 전념할 계획이다. 프라이탁 ... ...
화성 향한 전기차부터 마지막 북부흰코뿔소의 최후까지…올해의 과학 이미지
동아사이언스
l
2018.12.16
네이처가 뽑은 올해의 과학 이미지 22選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12일(현지시간) 올해를 장식한 과학 연구와 자연의 놀라운 모습을 담은 사진들을 선정 ... 하기 위한 기본 신경 회로를 가졌음을 발견했다. 이 발견은 사지를 가진 모든 척추
동물
이 신경회로를 진화시켰음을 시사한다.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아빠 없는 하늘 아래
2018.12.16
것이죠. 현생 수렵채집인의 식량 공급 패턴을 보면 제법 그럴 듯한 주장입니다.
동물
성 단백질의 대부분과 벌꿀의 거의 전부를 남성이 획득합니다. 모두 양질의 음식이지만 구하기 어려운 것이죠. 하지만 시대가 바뀌었습니다. 마트에 가면 쉽게 고기를 구할 수 있고, 달콤한 벌꿀은 너무 많아서 ... ...
이전
342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