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들에게 세상의 경계는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영감을 얻었으므로 철새와 함께 비행하며 촬영하는 아이디어의 원조는 빌 리쉬먼인
셈
이다. 새들이 경비행기를 보고 도망치지 않고 함께 날 수 있었던 것은 알에서 깨면서부터 사람의 손에 길러졌기 때문. 알에서 막 부화한 새들은 처음 눈에 들어온 대상을 어미로 인식해 따라다닌다. 이런 현상은 1 ... ...
우주의 닭이 머리 숙여 모이 쪼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닭이 새벽을 깨우며 목청껏 우는 소리도 인상적이지만 햇볕이 따뜻한 한낮에 마당 한쪽에서 병아리들과 함께 모이를 쪼아 먹는 모습도 정겹다. 2005년은 을유년(乙酉年)으로 닭의 해 ... 머리에서 파랗게 빛나는 별들은 충돌의 아픔을 딛고 알영부인이나 김알지처럼 새로 태어난
셈
이다 ... ...
4. 디지털 카메라에 숨어 있는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가질 수 있다. 일상생활과는 상관없을 듯한 상대성이론이 사실은 매우 가까이 있는
셈
이다.미국 콜로라도대 밀 애쉬비 교수는 “1970년대 군사용 GPS위성을 처음 띄웠을 때 상대성이론 효과가 나타난다는 쪽과 그렇지 않다는 쪽으로 첨예하게 나뉘었다”며 미국 과학잡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 ...
인류와 가장 가까운 새, 닭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알을 낳은 뒤 부화시키고 또 한번 그 과정을 밟는다. 즉 일년에 고작 20~30개의 알을 낳는
셈
이다. 오늘날 난용종(卵用種)의 10분의 1 수준이다.알을 많이 낳게 하는데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 적당한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과 품종을 개량하는 것. 겨울이 지나고 봄이 오면 낮이 길어지고 따뜻해진다. ... ...
BMW 속도 무제한의 비결은 첨단기술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독일의 아우토반은 원래 ‘속도 무제한’으로 유명하다. 최근에는 도로 중간에서 속도 제한 표시를 만날 수 있지만 그런 표시가 없으면 자동차는 능력껏 속도를 낼 수 있다. 기자를 태 ... 있을 것이다. 수소연료 연소방식은 청정연료로 속도감을 즐기는 일석이조의 장점을 가진
셈
이다 ... ...
별박사 이태형 별따기 하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19호
모두 1,000억 개쯤 된답니다. 그러니까 우주에 있는 별의 개수는 '1,000억 개x1,000억 개'인
셈
이지요. 숫자의 단위를 잘 아는 사람들은 이것을 100해라고도 읽는답니다. 수학에서는 이 수를 10의 22승이라고 읽어요.이것은 1뒤에 0이 22개 있다는 뜻입니다 ... ...
하늘을 감동시킨 과학자 황우석교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19호
따질 수 없는 결실을 얻어냈답니다. ‘지성이면 감천’이라는 속담을 몸소 실현한
셈
이죠.10년 뒤 노벨상을 받는 제자가 나왔으면이렇게 힘들게 연구하고 고생하는 만큼 교수님의 실험실은 마치 가족 같은 분위기가 흘러 넘친답니다. 일년 내내 같이 먹고 자고 하니 정말 가족과 다름이 없죠. 같이 ... ...
코와 골짜기가 만든 동해 가스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지층 속에 있으니 앞서 말한 일들은 이때부터 1000만년 이상의 시간 속에서 일어난 사건인
셈
이다.땅속 1만2000m까지 석유 시추 가능 석유 탐사는 인공위성이나 비행기를 이용해 간단한 물리 검사부터 시작한다. 중력 또는 자력 검사다. 석유는 바위보다 중력도 약하고 철 성분이 없어 자력도 작기 ... ...
3. 손의 비대칭은 인류 진화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않았지만 뇌와 손에 대한 최근의 연구결과는 이들이 인류의 소수정예임을 시사하고 있는
셈
이다.오른손, 왼손잡이 결정의 유전학오른손잡이를 결정하는 D유전자와 기능하지 못하는 C유전자가 8:2로 존재하고 둘이 대등하게 기여한다고 가정하면 우세한 손과 관련된 통계를 설명할 수 있다. 즉 DD형은 ... ...
인간의 유전자는 멀티 플레이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네이처’에서 주장했다. 유전자의 세상에서는 나비의 날개짓이 태풍을 일으키는
셈
이다.이제 우리는 어느 때보다 더 정확하게 인간 유전자의 실체를 보고 있다. 유전자 수로 우열을 논하던 시대는 지났다. 우리는 유전자의 정확한 숫자와 기능을 넘어 단백질의 종류와 네트워크 등을 파악하는 ... ...
이전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