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
밑
아래위턱
위턱
웃턱
윗턱
이하
d라이브러리
"
아래
"(으)로 총 5,599건 검색되었습니다.
에이즈 치료하는 알약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속칭 수산화나트륨(가성소다)·수산화칼륨(가성칼리) 등을 가성알칼리라고 한다 성대
아래
의 기관점막(氣管粘膜)이 갑자기 심하게 붓기 때문에 기관의 내강(內腔)이 좁아져 생기는 상태 가성 위막성후두염(假性僞膜性喉頭淡)이라고도 한다 가소성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특수한 내화물 내화 점토를 ... ...
중력의 마술, 서커스 퀴담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때 딛고 있던 바닥이 위로 솟아오르면 그 높이의 제곱만큼 더 높이 올라갈 수 있다. 대신
아래
를 받치는 장정들의 무게는 올라간 사람의 무게보다 월등히 커야 한다. 농구공과 야구공의 예처럼 운동량은 질량과 비례하기 때문이다.뱅퀸 공연을 끝으로 퀴담은 막을 내렸다. 연기자들은 관객의 계속된 ... ...
파일럿이 두려워하는 메가번개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꼭대기(고도 15km)에서 가느다랗게 솟구치는 메가번개다. 보통 초속 100km로 전리층 바로
아래
인 고도 40~50km까지 도달한다. 블루 제트는 0.1~1ms 정도 지속돼 스프라이트보다 빨리 사라지고 스프라이트와 달리 지상 번개와 연관이 없다.블루 제트가 생기는 원인을 우주에서 날아오는 중성미자에서 찾는 ... ...
동양식 피타고라스 정리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나무까지의 거리를 알면 삼각형의 비례를 이용해 나무의 높이를 구할 수 있다. 곱자를
아래
로 향해 측량하면 마찬가지 원리로 낭떠러지의 깊이를 잴 수 있다. 나무 꼭대기나 낭떠러지에 직접 가보지 않고도 구고의 원리를 이용해 높이나 거리를 알 수 있으므로 구고의 원리는 중국에서 수학 전체를 ... ...
바닷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무엇입니까?나 선장 : 바다의 수면이 낮아지면 바다가 갈라져 길이 생깁니다. 얕은 바다
아래
있던 땅이 드러난 것이지요.‘모세의 기적’이라고나 할까요?기자 : 바닷길은 왜 생기죠?나 선장 : 달과 지구 사이에는 만유인력이 작용합니다. 달과 지구의 힘겨루기 때문에 바다의 높이가 변하는데, 달의 ... ...
PART1 지구의 미래가 녹고 있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2배나 더 빠르게 올라갔다.대양대순환의 원리북극 주변의 차갑고 짭짤한 물은 밀도가 커
아래
로 가라앉으며(01) 적도의 뜨거운 해류인 멕시코만류(02)를 북대서양까지 끌어올리는 엔진 역할을 한다. 대양대순환이 있기에 영국은 따뜻한 겨울을 보낸다. 그러나 그린란드나 북극해의 얼음이 녹으면서 ... ...
러시아 소유즈호 발사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우주발사장을 건설하는 중이라 바이코누르 우주발사장을 유심히 둘러봤다. 발사대
아래
에는 로켓이 발사될 때 나오는 엄청난 화염과 연기를 옆으로 배출하기 위한 웅덩이가 깊게 파여 있었다.우주선 옆에는 발사 직전까지 우주선을 지지해주는 클램프가 있었는데 미국의 우주왕복선 발사장처럼 ... ...
야광구름 생성의 범인은 온실가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대기를 식히는 역할을 하는 셈이다.또 하나의 가능성은 여름철 극지방의 더운 공기가
아래
층의 먼지를 밀어 올려 구름을 만드는 응축핵이 됐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이 먼지는 우주에서 대기로 떨어진 운석의 파편일 가능성도 크다. NASA는 인공위성에 구름의 화학적 특성을 밝힐 태양빛 엄폐장치와 ... ...
혈액형 바꾸는 효소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각각 마주보기가 가능하지만 다른 네 손가락끼리는 마주보기가 불가능하다 엄지
아래
에 있는 두틈한 근육인 '엄지맞섬근' 때문에 사람의 엄지는 강한 힘을 내며 크게 회전할 수 있다운동성을 갖는 단세포 미생물의 일종으로 크립토스포리디움, 지아디아와 같은 기생성 원생동물은 수인성 전염병의 ... ...
하늘에 이름 새기려는 욕망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남서쪽 지평선너머로 사라지는 은하수 끝에는 시리우스가 마지막 빛을 뿜는다. 그
아래
고물자리를 보고 싶지만 지평선이 가로막고 있기 때문에 반 밖에 볼 수 없다. 오스트레일리아 같은 남반구로 가야만 제대로 볼 수 있기 때문에 고물자리에 있는 다양한 볼거리에 망원경을 겨누다보면 항상 ... ...
이전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