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조르당 곡선에서 정사각형을 찾아라! 내접 사각형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중 하나죠. 정사각형은 100년 넘게 답을 못 찾고 있지만, 직사각형 찾는 문제는 이미 한참 전에 해결됐습니다. 미국 수학자 도로시 본이 위상수학의 방법을 이용해 멋지게 증명했지요. 원하는 모양의 사각형은 없을까? 가로세로 비율이 3인 직사각형도 항상 있을까요? 현재 수학자들은 원하는 ... ...
- part 1. 오일러 앞선 최석정의 직교라틴방진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무려 61년 앞서 최석정이 가로세로가 9칸인 ‘9차 직교라틴방진’을 만들었다는 것을 전 세계에 알렸습니다. 누가 먼저 알고 있었는지 따질 만큼 직교라틴방진이 중요한 이유는 ‘조합론 디자인’의 효시로 보기 때문인데요. 조합론 디자인은 반도체칩 설계부터 이동통신 시스템 구축까지 다양한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 - 도형의 닮음 편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닮음인 사진을 만들 수 있다고 했죠? 그런데 가로세로를 동시에 늘이거나 줄인다고 전부 닮은 건 아닙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가로세로를 같은 비율만큼 늘이거나 줄여야 닮음이지요. ‘비율’이라고 썼다고 어렵게 생각할 필요 없습니다. 쉽게 말해 가로의 길이가 2배 커지면 세로의 길이도 딱 2배 ... ...
- [DJ CHO의 롤링수톤] 김연자의 ‘아모르파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점에서 초기상태로 무한히 계속해서 돌아간다는 내용의 정리이지요. 즉 푸앵카레는 전체 크기가 유한한 공간이면,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그 공간에서 변환을 여러 번 시행했을 때 어떤 집합에서 출발해 결국에는 처음 상태로 돌아올 확률이 1이라고 증명했습니다. 그러니 만약 당시 푸앵카레가 ... ...
- 전해진 서울시립대 총장장학생 - “나만의 공부 방법을 만들어 보세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고분자를 이용한 연료전지나 태양전지를 설계하는 일에 관심이 생겼다”고 말했다. 전 씨는 예비 수험생들을 위한 격려도 잊지 않았다. “고등학교 1, 2학년 때 모의고사 성적이 그다지 좋지 않아서 정시로는 좋은 대학에 진학하지 못할 줄 알았어요. 때로는 저의 공부 방법이 잘못된 건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2] 지구 에너지의 근원, 태양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마스다르, 풍력발전 사업으로 차세대 그린 에너지의 가능성을 입증한 일본의 타치카와, 전기버스 운행과 보행자를 위한 다리 건설 등 대기 오염 방지 정책을 펼쳐 깨끗한 도시로 되살아난 미국의 채터누가, 친환경 대중교통 체계와 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를 신선한 과일이나 채소로 교환해주는 ... ...
- [핫이슈]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18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놀라게 했답니다. 참가자들은 식물, 외래 식물, 곤충, 버섯, 지의류 등 각 분야의 전문 연구원들과 함께 탐사하며 다양한 생물종을 관찰할 수 있었어요. 24시간의 탐사 결과 확인한 생물종은 모두 1368종! 관속식물이 607종으로 가장 많았고, 곤충 514종, 거미 47종 등이 뒤를 이었답니다. 이번 ... ...
- Part 2. 침대의 라돈이 더 위험한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속 유전자가 변할 가능성이 어른보다 높기 때문이에요. 시민방사선감시센터는 2010년 이전에 생산된 대진침대 사용자는 라돈 측정기로 방사선량을 확인하고, 수거 명령이 내린 침대 사용자는 대진침대가 수거해 가도록 즉시 신고할 것을 조언했어요. 수거가 될 때까지는 두꺼운 비닐로 침대를 감싸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이템을 모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자주 일으켜요. 새로운 돌연변이가 생기면 그에 맞는 백신을 새로 만들어야 해요. 이전에 만들어놓은 백신은 사용할 수 없지요. 우리가 매년 독감 예방접종을 해야 하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랍니다. 스토리 토끼의 미션을 해결한 채윤과 수호는 아저씨에게 다시 질문을 던졌어요.“계속 미션을 ... ...
- [과학뉴스] 중국, 1억 도 ‘인공 태양’ 성공과학동아 l2018년 12호
- 1억 도의 플라스마를 몇 초간 유지했는지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안정적인 핵융합 발전을 위해서는 고온의 플라스마를 장시간 유지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과거 일본 핵융합과학연구소 등 일부 기관은 1억 도를 달성하는 데 성공했지만, 지속 시간이 1~2초에 불과했다 ... ...
이전3433443453463473483493503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