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d라이브러리
"
차이
"(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04. 핵융합 vs. 우주태양광 - 2050년 상용화 목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태양광과 다르지 않다. 다만 지구 궤도나 달과 같은 우주에서 태양에너지를 얻는다는
차이
가 있다. 지구 궤도에 태양전지판을 단 위성을 띄우거나 달표면에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하는 것이다.우주태양광이 화석연료를 대신할 만큼 많은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을까? 정 박사는 지상태양광과 ... ...
에어버스 보잉 차세대 여객기 격돌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보잉이 이처럼 서로 다른 노선을 선택한 것은 미래 여객기 시장의 성장 방향에 대한 시각
차이
때문이다.에어버스는 최근 세계 민간 항공사들이 합병, 동맹 등으로 덩치를 불려나가는 추세에 주목했다. 이런 상황이라면 수년 내에 여행객들은 허브에 해당하는 몇 군데 거점 공항을 통해 많이 이동할 ... ...
다윈의 핀치 부리 다양성은 단백질 때문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같은 집단에 속하는 3종 사이에도 BMP4의 발현 패턴이 조금씩 달라 부리 형태의 미묘한
차이
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결국 새로운 형태의 부리는 새로운 유전자가 생겨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유전자의 발현 시기와 양의 변화로 나타난 것이다 ... ...
한국 정말 핵무기 개발하려 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분리하는데 레이저를 사용했다. 레이저의 파장을 조절함으로써 질량이 약간씩
차이
나는 여러 가돌리늄 가운데 특정 동위원소를 가려낼 수 있다. 이 방법은 우라늄에도 똑같이 적용할 수 있다.천연상태에서 우라늄은 2가지 동위원소로 존재한다. 99.3%를 차지하는 우라늄-238과 0.7%의 우라늄-235가 ... ...
X선으로 본 요동치는 우주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블랙홀에 가까이 다가간 천체가 느끼는 중력의 세기는 블랙홀을 향한 부분과 반대쪽의
차이
가 크다. 그 결과 마치 종이가 찢어지듯 일부가 떨어져 블랙홀로 빨려 들어가는데 이때 수백만℃까지 온도가 올라가며 X선을 방출한다. 관측 결과 전형적인 은하의 경우 이런 현상이 1만년에 1번 꼴로 ... ...
정보통신부 장관 진대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크기 만한 개인휴대단말기(PDA) 시제품을 가져왔을 때 진 장관은 “원래보다 크기가 2mm
차이
가 난다”고 말했는데 실제 조사해보니까 정확히 2mm 틀렸더라고.해답 찾으려 분야 안가리고 발품 팔아이렇듯 기초가 탄탄한 덕에 남들이 못 푸는 문제를 향해 늘 과감하게 도전할 수 있었다. 진 장관이 ... ...
“보라호, 말 탄 것처럼 흔들렸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것일까.아직 보라호 추락의 정확한 원인은 베일에 싸여 있다. 보라호 추락을 놓고 입장
차이
를 보이는 항공대 교수들과 항우연 사이에 지금까지 합의된 사항은 사고가 일어난 만큼 분명 원인은 있을 것이라는 점과 항공기 결함이 있었을 가능성이다.앞으로 보라호는 어떻게 될까. 성봉주 박사는 ... ...
01. 10년내 진짜 석유대란 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10%로 높일 계획이다. 그러나 일본은 같은 해까지 비율을 20-30%로 높일 계획이어서 여전히
차이
가 크다.한국은 7월부터 울산시 부근 ‘동해-1 가스전’ 에서 천연가스를 생산하며 세계 95번째의 산유국이 됐다. 이곳에 묻혀 있는 천연가스는 약 5백만t 규모로 한국이 6개월 동안 쓸 수 있는 양이다.국내 ... ...
과학기술 앰배서더 강연 맛보기 : 대장균도 구르는 재주가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수 있지만, 기계는 같은 시간 동안 불과 1백개 밖에 만들지 못한다. 오차 발생률도 상당히
차이
가 난다. 대장균은 10억개 중 1개 정도로 잘못된 유전자를 만드는데 비해 기계는 1백개 중 1개를 잘못 만들어낸다.기계보다 대장균이 유전자를 더 빠르고 정확하게 만드는 것이다. 과학기술이 아무리 ... ...
티라노, 많이 먹고 일찍 죽었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나이에 폭발적으로 자랐지만 티라노만큼 빠르게 성장하지는 않았다. 연구팀은 “이
차이
가 티라노사우루스를 역사상 가장 큰 육식공룡으로 만든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이전
343
344
345
346
347
348
349
350
351
다음
공지사항